Browse
S-Space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언어교육원)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Volume 02 Number 1/2 (1966)
附隋音素(其二) : 英語의 强音과 强音型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李季順 | - |
dc.date.accessioned | 2014-01-07T05:53:53Z | - |
dc.date.available | 2014-01-07T05:53:53Z | - |
dc.date.issued | 1966 | - |
dc.identifier.citation | 어학연구, Vol.2 No.1, pp. 129-142 | ko_KR |
dc.identifier.issn | 0254-4474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85406 | - |
dc.description.abstract | 英語의 音聲組織을 硏究하는데 있어서 個個의 斷音素(segmental phoneme)와 그 音素屬音(allophone)을 硏究하는 것이 重要한 것은 勿論이거니와 英語構造를 形成하는 그밖의 要素인 咐隨音素(supra-segmental phoneme)를 解得하지 않고서는 完全한 英語의 音聲構造나 言語構造를 硏究할 수 없다. 咐隨音素는 斷音素와 같이 意味分別要素이므로 그 要素과 그 配列이 달라짐에 따라 말의 意味가 바뀌어진다. 그러므로 音調나 强調가 잘못 됨으로서 傳達에 큰 障害를 招來하는 경우가 많다.
咐隨音素中 音度(pitch)와 未尾連接(terminal juncture), 그리고 이러한 要素로서 形成되는 音調型(intonation pattern)에 對해서는 本誌 第一卷 第一號의 pp.56~74까지에 論하였고 여기에서는 强音(stress), 內開連接(internal open juncture), 그리고 强音型(stress pattern)에 對해서 考察해 보기로 한다. | ko_KR |
dc.language.iso | ko | ko_KR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 ko_KR |
dc.title | 附隋音素(其二) : 英語의 强音과 强音型 | ko_KR |
dc.type | SNU Journal | ko_KR |
dc.citation.journaltitle | 어학연구 | - |
- Appears in Collections:
-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언어교육원)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Language Research (어학연구) Volume 02 Number 1/2 (1966)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