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Music (음악대학)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동양음악연구소)
Journal of the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동양음악, JAMRI)
민족음악학 Volume 17 (1995)
傳統記譜論에서 拍의 集合論과 分割論의 合理性과 效用性
- Authors
- Issue Date
- 1995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 Citation
- 민족음악학, Vol.17, pp. 19-40
- Abstract
- 근대 서양음악의 拍子論은 音標(Notes) 를 기준으로 構設하고 있다. 그런데 이 음표라는 것이 서로 2 배 비율을 나타내는 關係音標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음악에서 실제로 보통 빠르게 느껴지는 拍(Beat) 즉 여늬박 1) 을 나타내는 總對音標가 따로 없다. 그리고 또 서양음악이론에는 음표들이 2배 비율로 되어 있어 3배 비율을 나타내는 음표가 없기 때문에 8분의 3박자로 된 음악이 매우 빨라서 한 소절이 여늬박 하나로 느껴지는 경우에도 이를 한 박이라 이르지 못하고 3박이라 이를 수밖에 없는 不合理性을 지니고 있다. 이럼 음표로 말미암은 불합리성을 지닌 서양음악 박자론을 응용하여 우리 전통음악의 박자론을 세우게 되면 역시 우리 음악의 박자론도 불합리성을 지니게 될 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박자론과 괴리가 생긴다. 우리 전통음악에는 여늬박을 적는 井間이라는 기보 방식이 있다.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