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용자 중심의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 방향 연구 -국어 교사의 실제 선정 활동 분석을 토대로- : Developing User-oriented Selection Criteria for Korean Textbook - Based on analyzing selecting processes of Korean teachers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은성; 김호정; 박재현; 남가영

Issue Date
201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Citation
국어교육연구, Vol.31, pp. 371-400
Keywords
국어 교과서국어 교사교과서 선정 활동사용자 중심의 교과서 선정 기준Korean TextbookKorean TeachersTextbook Selecting ActivityUser-oriented Selecting Criteria for Korean Textbook
Abstract
본고에서는 교과서 선정 맥락 안에서 교사가 능동적 의사결정 주체라는 점에 주목하고, 교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제 교과서 선정 활동의 흐름과 선정 활동시 주목하는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한 후, 이러한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교과서 선정 시 주목하는 요소로 목차, 단원, 제재, 학습활동, 학습목표, 평가, 설명(이상 내적 요소), 저자, 출판사, 보조 자료(이상 외적 요소), 분량, 디자인(이상 물적 요소)의 12개 항목이 추출되었으며, 교과서의 물성을 이루는 지각 단위가 평가의 단위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교과서 선정 흐름을 살펴본 결과로 일관되고 정형화된 흐름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내적․외적․물적 범주별로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거시적 단위에서 미시적 단위로 나아가는 흐름이 일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국어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우선, 지각 범위, 지각 단위, 참조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서 선정 기준 틀을 세우고 개별 지각 단위별로 유의미한 평가 요소를 추출하여 제시한 후, 교사에게는 특정 지각 단위의 선택, 지각 단위별 특정 평가 요소의 선택, 선택한 평가 요소의 의미화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교과서 선정 주체로서 교사의 능동적 지위를 공고히 하되, 교과서 선정 활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하고 해당 과정에서의 소통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d for developing user-oriented selecting criteria for Korean textbook. Through interviewing Korean teachers, mainly focused items when selecting textbook and their selecting processes are exposed.

Based on these results, user-oriented selection criteria for Korean textbook is designed. Its concrete principles are as follows:

Firstly, selecting criteria is composed of 'perception unit', such as 'text', 'activity', 'objectives'. And also 'perception scope' such as macro-/microscopic, and 'reference area' such as learners, other teachers, national curriculums are intervened importantly.

Secondly, each perception unit has main important points for selecting textbook, so they are exposed to teachers as 'assessment items' for selecting textbook. Then, teachers could select some items, and discuss how to use those items when selecting textbook, then crystallize them as 'assessment criteria'.

Through this selecting criteria, teachers could make their position secure as active textbook-selector. Also, in selecting processes, this criteria could be more effectively and lively used.
ISSN
1227-882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2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