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 정악의 향유 양상 : The Aspects in Appreciating Jeongak in the Late J ose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종수

Issue Date
2004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24, pp. 41-70
Abstract
18세기에 대청(對淸) 대일(對日) 무역에 관여한 역관과 내수사 · 상의원(尙衣院) 둥의 관청에 종사하다가 시장경제에까지 세력을 확장할 수 있었던 기술직 중인층 등이 경제적 부를 축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경제력의 신장은 지적 능력 함양과 결부되어 18세기에 중인층이 문화계의 핵심으로 부각되었다. 대개 중인층들은 예술적 취향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여 음악을 중심으로 한 풍류활동을 벌였고, 19세기에 이르면 도시의 난만한 성장에 따른 유흥공간의 비약적인 확대로 예술 수용층이 서민층에 이르기까지 널리 확산되었다. 따라서 조선전기에 음악문화를 설명하던 아악 · 향악 · 당악이란 용어로, 조선후기의 변모된 음악문화를 설명하기에 부족하므로, 학계에서는 정악과 민속악이란 용어를 쓰고 있다. 송방송이 1984년에 펴낸 『한국음악통사』에서 조선후기 음악사를 서술하면서 풍류방 음악을 정악으로 정의하고, 정악은 중인층의 지식인이나 지방선비 사회에서 형성되었으며, 가곡과 줄풍류 음악이 그 대표적인 곡이라. 고 하였다.



As jungin 中人 class including yeokgwan 譯官 engaged in trade, and technicians commonly accumulated their fortune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y began to emerge as a cultural center with the help of their intellectual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period some of jungin were dilettantes of art, who entertained themselves mainly with music.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burgeoning growth of cities brought about the sharp expansion of entertaining facilities and allowed even the low class people to have access to art. In this respect, such musical terms as aak 雅樂, hyangak 鄕樂, dangak 唐樂, which are used to explain the early Joseon Dynasty music, are no longer sufficient to explain the new musical tre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the terms like jeongak 正樂 and minsogak 民俗樂 are being used by musicologists in Korea.
ISSN
1975-021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