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Song of Chŏksŏng as Perfonned by Yi Hwajungsŏn and Sŏng Uhya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Transfonnation of Musical Configuration and Expression of Ujo : 적성가를 통한 우조의 표출성 연구 : 이화중선과 성우향의 적성가에 준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Kim, Sumi

Issue Date
2003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25, pp. 25-57
Abstract
It is well known that P'ansori is an oral tradition, and in the process of the transmission of a tradition without a written notation, professional P' ansori singers or kwangdae have introduced slight differences and modifications from the performances of their masters. In doing so,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musical style or che, and unique vocal and narrative innovation or tŏnŭm. Therefore,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 oral tradition has become the subject of th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ansori performance, the process of which can be hypothesized by examining surviving contemporary performances which have certain standardized structure. This structure is mainly revealed through the constituent elements such as text, rhythmic pattern or changdan, added rhythms as a result of text setting or puch'imsae, melodic ornamentation or sigimsae, and melodic mode or akcho.



판소리가 구전심수로 전승되고 있음은 다 아는 바이다. 악보를 사용하지 않고 구전으로만 전해지는 과정에서 판소리는 창자에 따라 다소 다르게 불리워지기도 하고, 더러는 자신만의 독특한 더늠을 개발하기도 한다. 이화중선(1899~1944)과 성우향(l933~)은 동편제 김세종바디 춘향가를 부르는, 각각 근대와 현대를 대표하는 여류 명창이다. 그리고 그들이 부른 적성가는 춘향가 앞부분에 나오는 곡으로 비교적 사설과 장단 그리고 붙임새가 크게 변하지 않고 현재까지 전승된 우조의 대표적인 소리대목이다. 그러나 두 소리를 직접 들어보면 사설, 장단, 붙임새 측면에서는 변화의 폭이 적다 할지라도 시김새나 창법 등이 달라 곡 전체의 분위기는 서로 다르게 들린다. 이처럼 판소리의 표출성은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표출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는 현대 판소리와 고제 판소리를 구별하는 양식과, 그에 따른 음악적 변화의 추이를 가늠하게 하기도 한다.
ISSN
1975-021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