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급식 및 청소활동 참여 문화 : An Investigation of Problems Caused by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the Cleaning of Early-grade, Elementary classroom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金達孝

Issue Date
2005-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6 No.1, pp. 83-103
Keywords
초등학교 저학년학부모급식 및 청소활동
Abstract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는 학교 및 학급경영의 민주화, 다양화, 질적 향상 등의 기능에서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포함하는 학교효과성(Levine & Lezotte, 1990; Sammons, Hillman, & Mortimore, 1995)과 학교개선(Hopkins, 2001; West, 2000)에 영향을 미치며, 학교문화를 형성하는 근원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면서도 요구되는 활동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는 공식적 그리고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공식적인 측면에서는 후원회, 사친회, 기성회, 육성회의 순으로 변천되어 왔으며, 비공식적인 측면에서는 학부모 개인의 관심 차원에서 묵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 순기능보다는 단순한 재정적 후원조직, 참여하는 학부모의 비자율성, 불만족, 치마바람 등의 역기능이 오히려 많이 도출됨으로써 결국 실패로까지 간주되고 있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활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얼마나 했는지 자문해보아야 한다.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는 첫째,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이지훈, 2004 등), 둘째,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이정희, 2002 등), 셋째,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효과(김정애, 2003 등), 넷째,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실태와 개선 방안(김순향, 1998 등)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모두 양적 연구방법과 거시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다.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는 학교현장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복합성, 역동성, 다양성, 불예측성 등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적 연구방법과 거시적인 관점만으로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의 본질까지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Lincoln과 Guba(1985)에 따르면, 인간과 사회현상은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에 의하여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자연과학적 방법을 응용한 양적 방법은 복잡하고 미묘한 인간세계를 이해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양적 연구는 총체적인 문화, 즉 행위주체자들의 행동, 신념, 태도, 가치,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구성하는 문화적 요소들을 이해하도록 해줄 수 없기 때문이다(이정선, 2002 재인용). 특히, 우리나라의 학교교육 현실상 교사는 강자의 위치에 있고 학부모는 약자의 위치에 있다(신옥순, 2002)는 점, 학부모의 참여는 과도한 교육열과 관련한 문제이다(김정효, 2000)는 점, 초등학교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는 상호 이해와 협력 관계라기보다는 불신과 갈등관계가 더 빈번하다(황기우, 1992)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일회성 설문조사 등의 양적 연구방법보다는 오랜 기간 동안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를 파악하는 것이 쉽게 드러낼 수 없는 실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부모의 급식 및 청소활동 참여는 그것이 제도적, 강제적, 명시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공식적 조직이라고 볼 수 없지만, 현실적인 면에서 실제적, 보편적, 조직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비공식 조직이라고도 볼 수 없는, 그 중간적 위치의 성격을 띠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급식 및 청소활동 참여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의 실제를 명확히 규명해보는 것은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현실을 이해하는 데뿐만 아니라 좀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피드백 자료로서도 매우 의의 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들의 급식 및 청소활동 참여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실제로 참여 과정은 어떻게 행해지는지, 학부모들의 참여 목적과 유형은 어떠한지, 급식 및 청소활동 참여와 교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교사는 학부모의 급식 및 청소활동 참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는지, 그리고 학부모와 교사 간에 인식의 차이는 있는지 등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 through quality research methods - problems caused by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the cleaning of early-grade elementary classroom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First, only parents did the cleaning work, while the teachers did not (usually) help.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was not parallel, but vertical with the teachers merely supervising the parents' cleaning. Third, sometimes the parents did not only clearing tasks, but also some of the teachers' work. Fourth,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lassroom clearing were alienated from other teachers. In addition, parents and teachers saw the motivation behind the work differently. Parents saw the cleaning tasks as compulsory - their children benefiting from their sacrifice - while they bore the burden both in terms of time and money, but resenting work that should be done by teachers and students. The teacher, on the other hand, felt that the work was voluntary, but should be done by the parents. While it is true that parent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fluence students' self-concepts and motivation, that participation should be voluntary and appropriate. Teachers must demonstrate both ethical and appropriate behaviour that provides good examples for their students and enhances an appropriate relationship with parents without coercion..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0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