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희망과 탄력성, 성취목표지향성 향상을 위한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 Development and Testing of Effectiveness of Group Mentoring Program for Improving Hope, Resilience and Goal Orientation of Low-Income Adolesc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백인혜; 오인수

Issue Date
2012-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4, pp. 189-223
Keywords
저소득 청소년희망탄력성성취목표지향성멘토링 프로그램Low incomeHopeResilienceAchievement goal orientationGroup mentoring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희망증진을 위한 집단 멘토링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저소득 청소년의 희망증진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모형 설계에 따라 희망 이론을 바탕으로 요구조사와 전문가 자문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다. 개발된 멘토링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도시 A중학교의 1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운영하여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교육 및 상담관련 전공 대학원생 3명이 멘토로서 멘티를 지도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멘티의 희망, 탄력성, 성취목표지향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멘토링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한달 후 에 총 3차에 거쳐서 설문지를 실시하고 공변량분석 및 평균차이검증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희망과 탄력성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사후검사 평균 차이가 나타났으며, 희망과 탄력성 모두 프로그램 실시 후 1개월간 효과성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성취목표지향성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희망이론과 요구조사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집단 멘토링 상담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저소득 청소년의 희망 및 탄력성 향상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ntoring counseling program designed for enhancement of hope among students in low-income family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mentoring program by following a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based on needs assessment and literature review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lso tested by implementing the program to 29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e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ree mentors who majored in counseling or related field provided 8 mentoring sessions to ten mentees as a form of small group, which focuses on improving hope, resil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t-test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gram and a t-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continuing effectiveness over the four weeks. The results show that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articipants' hope and resilience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its effectiveness lasted for four week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mentoring program customized for enhancing hope, resil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in low-income family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Implica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mentoring program for students in low-imcome family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3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