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토지피복 변화를 통해서 살펴본 사막화의 시·공간적 변화 - 네이멍구 쿠부치 사막을 사례로 - : Temporal-spatial change of desertification in the Kubuqi Desert and its adjacent regions, inner Mongolia, Chin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진숙

Issue Date
2009-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Citation
지리학논총, Vol.53, pp. 97-117
Keywords
사막화중국네이멍구쿠부치 사막황사Landsat 위성영상원격탐사GIS토지피복변화DesertificationChinaInner MongoliaYellow sandLandsat imagesRemote SensingGISLand Cover Changekubuqi desert
Abstract
2000년대 들어와 황사의 발원지가 점차 동쪽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빠르고 강한 황사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 결과, 황사 물질을 공급하는 사막화된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은 그 관심의 주 대상이다. 네이멍구 자치구는 중국 사막화 지역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쿠부치 사막은 농목교착 지대에 존재하는 유일한 사막으로 다른 사막이나 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지 않으며, 조림이나 토지복원 등 사막화 방지사업과 관련된 연구만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 지역의 사막화의 경향과 요인을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네이멍구 쿠부치 사막과 그 주변지역 사막화의 시 ·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토지피복분석을 통해서 사막화 면적의 증감을 파악하였다. 1970년대 후반(1977년과 1979년 것을 모자이킹), 1991년, 2002년, 2007년의 Landsat 위성영상 4장을 구득하였으며, 원격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지피복변화를 통해 사막화 면적의 증감을 파악한 결과, 1970년대 후반과 1991년 사이에는 초지, 관목 등의 식생 지역이 사막과 나지로 변화하여 사막화가 심화되었으나, 1991년에서 2007년으로 오면서 사막과 나지면적이 감소하고 초지, 관목 등의 식생 면적이 증가하면서 사막화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 쿠부치 사막과 그 주변지역은 사막화 면적이 감소하고 초지, 관목 등의 식생 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사막화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이 지역의 생태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환경 정책이나 전략을 수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우리나라로 불어오는 황사를 경감시키기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Beginning from the year 2000, the source areas of Yellow Sand have moved further to the east, and as a result, Yellow Sand has had a greater and more severe effect to the Korean Republic.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Yellow Sand Phenomenon,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in the desertfied regions, especially towards China because of its geographic proximity to Korea. Inner Mongolia, which accounts for 40% of the desert regions in China, consists of the main desert regions, one of which is the Kubuqi Desert. There has been a surprisingly low number of desertification studies on the Kubuqi Desert, which is the only desert that is located in an agro-pastoral transitional zone in China, compared to that of other desert regions. There have been only a few number of researches on the Kubuqi Desert, focusing on combating desertification such as afforestation and restoration of grassland. This shows a great necessity on implementing more research based on analyzing the effects of deser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dynamic temporal-spatial changes in the Kubuqi Desert and its adjacent regions in Inner mongolia. So 1 describes the study of the fluctuation of desertification areas by analyzing the land cover change. In order to assess the status of desertification, 4

multi-temporal Landsat images taken in accordance with the administrative boundary in 1977/79(mosaic image), 1991, 2002 and 2007 have been acquired and Remote Sensing and GIS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of the land cover change shows that the area of desert and bare land" in this region have increased beginning from the late 1970s to 1991. 까is increase in desertified land is mainly due to the decrease of vegetation such as grassland" and shrubland" . However, from 1991 to 2007, the land cover of desert and bare land" has decreased, thereby resulting in an increase in grassland and shrubland" . π1Ì shows that the current state of desertification has declined. 1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a great deal of help towards policies based on the restoration of desertified lands and its ecosystems. Furthermore, 1 hop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reducing the Yellow Sand Phenomenon, which is showing to be a hazard towards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people.
ISSN
1226-588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7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