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조 정치질서의 법가적 이해 : A Fachianistic Understanding on the Political Order in Chosu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종성

Issue Date
2006
Publisher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Citation
한국정치연구, Vol.15 No.1, pp. 1-47
Keywords
조선조 정치질서법가형벌통치공학Political Order in Chosun DynanstyFachianPunishmentRuling Engineering
Abstract
조선의 정치질서를 유가의 눈으로 바라보는 일은 너무나 익숙하다.「예와 충을 다하여 군을 섬기고 인과 의를 더하여 민을 위한다」는 논리는 그러나 이제 설득 기반을 잃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 아직도 옳다고 믿고 있는 그것 은 습속의 껍데기이자 내다 버리기 싫은 익숙함 의 또 다른 얼굴은 아닌가 알아서 엎드리지 않으면 모든 것을 잃을 것이란 공포 때문에 나라에 대한 두려움 더욱 컸고 이를 진작부터 간파한 권력은 되레 그 속내 가리려 유교에서 다스림의 외피를 구했던 건 아니었을까. 유교는 핑계였고 그렇다면 실질은 따로 있었던 걸까. 이 글은 가능한 논의의 대안을 죄와 벌 의 통치 공학에서 찾는다. 공포에 의한 타율적 복종이 자발성의 가면을 빌리고 왕실 권위를 정점으로 한 지배세력의 힘이 민중 전체를 강박처럼 압도할 때 체제의 존치는 의외로 수월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대가는 극히 부자연스러웠다는 데 이 글은 주목한다 유교국가의 정치질서를 법가의 눈으로 다시 들여다보는 일은 그래서 단순하지 않다. 필자는 이를 위해 특히 조선의 형벌을 눈여겨본다.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추상같은 통제의 문법을 구축하고 일벌 백계의 강고한 의지를 민중에 과시함으로써 권력자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조선 사회에서 벌 은 정치적 강자의 지배도구였고 죄 는 이를 영원
히 제도화할 수 있었던 절호의 핑계였다 더욱이 권력이 강고 있는 것을 빼앗겠다고 서슴없이 넘보며 덤벼드는 이들 앞에서 자기 수호와 온갖 통치의 기제는 본능적으로 마련되고 있던 터였다. 그리하여 초주검으로 업혀 나가는 죄수들과 봉두난발 창끝에 꽂힌 죄인들의 얼굴은 곧 유교권력의 폭력적 반어에 다름 아니었다 유교는 여기서 가없이 떨며 흔들리며 바라보는 군중의 육신과 질서의 준수를 외치는 세도가(勢道家)의 존체(尊體) 모두를 품을 수 있었던 가장 그럴듯한 의지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민중의 반(反)유교적 행태는 계속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민중과 권력 사이에 흐르던 긴장의 빛깔 들을 역사 속 저 예외적 장구함으로 확인할 때 조선의 형벌은 억압과 저항을 유인한 도구이자 강력한 계기로 때맞춰 되살아난다. 그것은 압제의 핑계이자 동시에 분노를 유발한 체제의 짐이었다 민중은 숨기(隱週) 편했고 권력은 가리기(糊塗) 좋았던 유교 이데올로기의 정치적 회로판을 법가의 연장(練匠)으로 해부하는 일은 그래서 이제라도 치밀하게 나서 보아야 할 과업으로 우리 앞에 펼쳐진다.

This article aims for a new understanding of how the patrimonial monarchy persisted in Chosun in the light of Crime and Punishment based on formal records in Sillok. It was assumed that this system on the whole had relied mainly on the Confucian belief system for unprecedented long standing in history as a matter of fact. Undoubtedly, this way of interpretation has a dominant influence to this day. However, Confucian interpretation could not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y had so many people deeply deviated from main current of politico-social order all the time, 2) What kind of discontent and dissonance in their mind pushed for protest and psychological intransigence, 3) How can we recognize the violent social control and severe ruling of authority to them without discontinuation? These questions raise some other argumentative problems, but the traditional method of understanding does not promote nor develop any eligible heuristic device. This study focuses on an alternative excavation for the new relevant explanation and seeks for variable theorization about discontinuous continuity in patrimonial system of Chosu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hian (Bup-Ga / Legalist) way. This work had largely relied upon accumulative data of records on criminals and judicial executions in Sillok and others. An analytical viewpoint had converged on unforeseeable vicissitudinary trends and cyclic curve of occurrence around Crime and Punishment in history. Although the decisive contents of data sharply tilted on ruling class, there were innumerable floggings, imprisonments, exiles and death penalties which had been charged to inescapable criminals. Moreover, the criminal history of Chosun manifested a large amount of unaccountable punishment of outlaw privately. They included arbitrary executions and atrocious tortures that were held by persons of high standing beyond the control of authority and out of jurisdiction. Therefore, it is absolutely difficult to concretely and scientifically collect records on historical punishment as a whole. And it is hard to say that any clear-cut division between bureaucratic comments and judicial decisions would be given to relevant macro-analysis of historico-politics. But there had been some clear tendencies about punishment politics that the major comments on death penalty were predominant, exiles were representative and beheadals and hangings were most typical paths among the death field. These were main aspects of formal executions and the other words of ruling engineering as well. In other words, Punishment was an excuse for suppression and political catalyst to anger people at the same time. It was an unpredictable burdensome obstacle and cheap way of governing also.
ISSN
1738-747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0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