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금산농악의 노래와 축원(덕담) : Songs and Words of Blessing in Geumsan Nongak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숙-
dc.date.accessioned2014-06-13T01:36:10Z-
dc.date.available2014-06-13T01:36:10Z-
dc.date.issued2013-12-
dc.identifier.citation동양음악, Vol.35, pp. 167-183-
dc.identifier.issn1975-02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2221-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농악의 다양성 추구와 현대적 계승을 위한 목적에서 우선 농악에 사용되는 성악적 요소를 활용해 보고자 금산농악 속의 성악을 분류하고 정리해 본 것이다. 오늘날의 농악을 고사굿(혹은 마당밟이)과 판굿으로 나눌 때, 노래는 고사굿에서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고사굿은 판굿에 비해 전승이 위축되어 있으므로, 농악에서 성악적인 요소도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농악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만큼 지정 당시의 형태를 계승해야 할 의무가 있지만, 농악의 다양한 변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호남농악에서는 일찍이 소리굿을 두어 노래를 위한 마당을 마련해 두었지만, 그에 불리는 노래는 필요에 의해 삽입되고 복제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판굿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면서 다양한 성악곡을 활용하고 있는 예는 구례 잔수농악에서 볼 수 있다. 판굿에는 고사소리를 거의 넣어 부르기 어렵지만 몇 부분을 발췌하거나 그때의 상황에 맞게 생략하거나 조절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기악위주의 농악에 대하여 성악을 적절히 삽입하여 부르거나 새롭게 발굴하여 판굿의 형태를 다양하게 짜서 공연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시도를 한다면 판굿의 소리굿 부분은 따로 독립하여 공연하기 좋은 굿거리가 될 수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현재 판굿에는 노동요보다는 잡가나 통속민요를 삽입하여 부르는 식이 일반화되어 있지만, 농악의 무대화 및 지역적 특징을 살린 농악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농요를 활용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레파토리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능숙한 연주와 더불어 농악 치배들 간의 성악적인 단련도 필요하다. 오늘날의 판굿 역시 지속적으로 변모되고 새롭게 형성되어왔음을 인식하고, 다양한 굿놀음과 지역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데 농요의 긴요함을 환기해 볼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and the inheritance of farmers music, focusing on songs and words of blessing during performance. The music of Korean farmer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Gosa-kut(Madangbalbi, ritual and religious one) and Pan-kut(artistically organized one). Songs and words of Blessing have been mostly transmitted in Gosa-kut. However, today Gosa-kut is disappearing as Pan-kut prevails. The original form of Nongak, i.e. farmers music, is assumed to be transmitted as a cultural asset, however the diversity and the modification of the music should be considered. It is easy enough to verify that Nongbuga, one of the farming songs in south-west part of Korea, has gradually been spread through 1960s by womens band of farmers music. In some areas any kind of folk songs were used as the vocal section of farmers music. The most outstanding example is Zansu Nongak in Gurye province. Zansu Nongak is a type of Pan-kut which is commonly regarded as an instrumental music, but still folksongs are abundant in it. In conclusion, farmers music will be practiced better by modification, and the vocal section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n a theatre stage or for elementary music class.-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dc.subjectFarmer’s music-
dc.subjectGeumsan Nongak-
dc.subjectPan-kut-
dc.subjectGosa-kut-
dc.subjectsongs-
dc.subjectwords of blessing-
dc.subject농악-
dc.subject금산농악-
dc.subject판굿-
dc.subject고사굿-
dc.subject노래-
dc.subject덕담(축원)-
dc.title금산농악의 노래와 축원(덕담)-
dc.title.alternativeSongs and Words of Blessing in Geumsan Nongak-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In-Suk-
dc.citation.journaltitle동양음악(Journal of the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dc.citation.endpage183-
dc.citation.pages167-183-
dc.citation.startpage167-
dc.citation.volume3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