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야나기 무네요시의 생명사상과 1920년대 초기 한국시의 공동체 문제 : Yanagi Muneyoshis Thought of Life, and Issues of Community in the Poems of Early 1920s i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호영

Issue Date
2014-08-15
Publisher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Citation
일본비평, Vol.11, pp. 238-273
Keywords
poems of the early 1920’sconsciousness about lifeprinciple of life by TaishoreligionYanagi MuneyoshiTunashima RyosenOh SangsunNamgung Byeoksorrowbabyplacentainternal community1920년대 초기 시생명의식다이쇼 생명주의종교야나기 무네요시쓰나시마 료센(綱島梁川)오상순남궁벽비애태(胎)내부공동체
Abstract
이 글은 1920년대 초기 시와 담론에 나타난 생명의식을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의 생명 담론과의 관련성에 따라 검토해 보고 그 내적 특수성을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1920년대 초기의 문인들과 야나기 무네요시의 실증적인 교우 관계를 바탕으로 1920년대 초기 문학에 나타난 생명의식의 연원을 밝히고 그 특수한 차이에 대해 지적하고 있으나, 그 생명의식이 외부 담론과의 영향 관계의 산물이라는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1920년대 초기 조선의 맥락에서 차지하는 생명의식의 지향점에 대한 해명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실제로 담론의 측면에서 야나기 무네요시는 생명의 충동과 표현을 문학, 종교, 철학을 넘어서는 보편적인 실재에서 찾고 전체를 위한 총체적 활동에 귀속시킴에 따라 내셔널리즘으로 함몰될 위험성을 노출하고 있으나, 1920년대 초기 문인들은 종교와 문학을 분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을 통한 생명의식을 전개해 간다. 특히, 야나기 무네요시가 당시 조선의 미라고 규정한 비애는 1920년대 초기 시와 담론에 나타난 생명의식의 특수한 지점을 보여준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을 비판하고 내부의 시선으로 외부를 이해해야 된다는 전제 아래 조선 내부의 특질로 비애를 내세우지만 1920년대 초기 시인들은 그러한 비애의 수동적이고 결정론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일체의 것을 파괴하고 새롭게 건설하려는 유동적 생명의 표현으로서 비애를 도입한다. 또한 그들은 상실되었거나 다다를 수 없는 거리감으로 존재하는 자신들의 기원에 대한 탐색으로 생명의식을 전개해 나가며 아이-태(胎)의 이미지를 통해 구체적인 생명의식을 표현했다. 이 글은 그러한 생명의식을 전통주의로의 회귀나 민족주의 운동의 산물로 환원할 수 없는 내부 공동체의 한 표상으로 해명하려 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about life expressed in poems and discourses of the early 1920s and explain the internal particularity in accordance with its relevance to Yanagi Muneyoshis discourse on life. In existing studies, the origin of consciousness about life was revealed and the specific difference was indicated by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itterateurs of early 1920s and Yanagi Muneyoshi. However, the consciousness was only viewed as the product of the relationship with external discourse, and failed to lead to the explication towards the directivity of consciousness about life that had occupied the contexts of early 1920s Joseon. Yet in reality, in the view of discourse, Yanagi Muneyoshi tried to find the impulse and expression of life in the universal existence beyond literature, religion, philosophy and he was exposed to the risks of falling into nationalism by reverting to the comprehensive activity for the entirety. The litterateurs of the early 1920s not only separated religion and literature but also developed the consciousness about life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the sorrow that Yanagi Muneyoshi referred to as the beauty of Joseon shows a specific point of consciousness about life expressed in the poems and discourses of the early 1920s. Yanagi Muneyoshi criticized the Japanese imperialists pillage and refers to sorrow as the internal property of Jose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outside world should be understood from internal perspective. But the poets of the early 1920s went beyond those passive and deterministic views on sorrow and introduced sorrow as a fluctuating expression for life that destroys every existing thing and newly constructs them. Also, they developed consciousness about life as a search for the origin of their own loss and distant existence, and expressed it specifically through the image of baby-placenta.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the consciousness about life as a representation of the internal community that cannot be reduced to traditionalism or as the product of nationalist movement.
ISSN
2092-68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30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