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여중생의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Dysfunctional Eating Attitude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미란; 이지연; 장진이

Issue Date
2014-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4, pp. 143-165
Keywords
perceived parent controldysfunctional eating attitudenegative emotionexpectancies of neagtive emotion regulation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역기능적인 섭식태도부정적 정서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
Abstract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변인을 확인하고, 이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여중생 2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부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 등 관련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모형 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아닌 경쟁모형 2가 최종모형으로 검증되었다. 경쟁모형 2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직접적인 경로와 부정적 정서와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직접적인 경로를 설정하지 않은 모형으로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정서 자체는 직접적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와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관계와 부정적 정서와 역기능적인 섭식태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반면, 부정적 정서는 지각된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정서 조절 기대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기능적인 섭식태도에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올바른 섭식태도 형성을 위한 예방적 개입에서 정서조절 능력 향상과 부정적 정서 조절에 대한 기대 등에 대해 초점화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n important variables related with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included 204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Metropolitan area. Results of testing the model showed that perceived parent control directly influenced on negative emotion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But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negative emotion didn't directly influence on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testing of mediating effects indicated that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and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dysfunctionl eating attitude. But negative emo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parent control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This results implicated that the ability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expectancie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the dysfuctional eating attitud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negative emotion regulation in guidance and counseling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41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