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三竹琴譜> 소재 변주선율의 성격 :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Melodies in Samjukgeumbo(三竹琴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미선-
dc.date.accessioned2016-03-09T02:07:40Z-
dc.date.available2016-03-09T02:07:40Z-
dc.date.issued2014-12-
dc.identifier.citation동양음악, Vol.36, pp. 53-89-
dc.identifier.issn1975-02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5679-
dc.description.abstract(1842)는 가곡, 보허사, 여민락, 영산회상, 가사, 시조 등 방대한 악곡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다른 고악보에서는 보기 어려운 많은 변주선율이 병기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지금까지 ??삼죽금보??에 전하는 변주선율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변주선율의 성격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삼죽금보??에 전하는 다양한 변주선율을 분석하여 그것에 내재된 의미와 성격을 밝히기 위한 시도로서 변주선율의 구조 방식을 비롯하여 그 변주선율이 과거와 당대 그리고 이후의 변천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여민락과 가곡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하였다.

1. 변주선율은 본 선율을 4 또는 7괘로 타는 부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2. 변주선율이 둘 이상인 경우, 대체로 그 중 하나는 옥타브 위, 아래 수직적 이동으로 변주하는 사례가 많으며 이 때에는 역괘법이 쓰인다. 3. 본 선율이 반복되는 부분에서 그 변주선율도 동일하게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4. 변주선율이 본 선율 또는 현행보다 더 복잡한 형태를 띠기도 한다. 본 선율에 비해 변주선율이 미래지향적 변화를 추구한 경향이 나타난다. 5. 우조에서는 대체로 2괘가 쓰인 악곡에는 변주를 기피한 것을 알 수 있다. 2괘로 타는 부분을 변주하더라도 옥타브로 이조하는 단순한 형태를 띤다. 계면조에서는 2괘 또는 3괘가 쓰이는 악곡이나 선율에는 변주를 기피하는 양상을 띠며, 5괘로 타는 부분에서의 변주도 적은 편이다. 6. 역괘법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에는 변주선율이 적다. 7. 여민락 7장 중 1․5․6장에는 변주선율이 없다. 그 이유에 대한 추론은 다음과 같다. 1장은 매우 느린 데다 역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특별히 2괘가 자주 쓰이는 점, 5장도 1장 다음으로 2괘가 많이 쓰이는 점, 6장은 첫 부분과 끝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4괘로 타지만, 끝에 2괘로 타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요컨대 변주선율의 유무 또는 빈도의 정도에 있어 2괘법 사용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8. 가곡에서는 우조보다 계면조에서 변주가 많이 이루어진다(예: 우롱과 평롱의 차이). 우조와 계면조 가곡 모두 대여음에서 가장 다양한 변주선율이 등장한다.
-
dc.description.abstractSamjukgeumbo (a geomungo [6-stringed zither with 16 frets] manuscript published in 1842) contains a large number of musical pieces, including works of gagok, gasa, and sijo, Boheosa, Yeomillak, Yeongsanhoesang, and many others. Furthermore, many alternative melodies that are rarely found in other old musical manuscripts are also included. Although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done on the music in Samjukgeumbo, few serious academic studies have looked at the alternative melodies in the book, and ev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melodies have not been discus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lluminate the implicit meaning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melodies.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alternative melodies, and explores how the process of change in those musical structures reflects the meanings of the music, past and present. For this, I analyze the alternative melodies of Yeomillak and gagok pieces,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Alternative melodies appear most frequently when the primary melody is played on the fret 4 and fret 7 positions. 2. When there are more than two alternative melodies, one of them is played in an octave higher or lower position, and in this case, the melody is played with yeokgwaebeop (fret changing technique). 3. When the main melody is repeated, the alternative melodies usually also repeat. 4. Sometimes the alternative melodies are in more complicated forms than the main melodies in the manuscript, or the current version of the melody. In these cases, the alternative melodies display a more future-oriented tendency in their changes than do the main melodies. 5. In ujo mode, when a piece is played on the fret 2 position, alternative melodies are avoided. If the main melody is played on the fret 2 position and there is an alternative line, it is a simple variation in octave. In gyemyeonjo mode, melodies or pieces played on the fret 2 and fret 3 positions have hardly any alternative melodies. In addition, melodies and pieces played on the fret 5 position also rarely have substitutes. 6. In sections where yeokgwaebeop is frequently used, alternative melodies seldom appear. 7. In Yeomillak, consisting of seven movements, there is no alternative melody in the first, fifth, and sixth movements. I conclude this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movement is in extremely slow tempo, yeokgwaebeop is frequently used, and fret 2 position is frequently applied; the fifth movement displays the most frequent use of fret 2 position after the first movement; and in the sixth movement, the ending part of the movement is performed on the fret 2 position, although the middle section is played on the fret 4 position. In sum, the use of fret 2 position performs an important role regarding the existence of alternative melodies and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8. In gagok, alternative melodies more often occur in gyemyeonjo mode than in ujo mode. (For instance, as shown in the difference between Urong and Pyeongnong.) In both ujo and gyemyeonjo modes, it is in the daeyeoeum (an instrumental prelude or postlude) sections where various alternative melodies appear.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dc.subjectSamjukgeumbo-
dc.subjectyeokgwaebeop-
dc.subjectalternative melodies-
dc.subjectgagok-
dc.subjectYeomillak-
dc.subjectgyemyeonjo-
dc.subjectujo-
dc.subject변주선율-
dc.subject역괘법-
dc.subject여민락-
dc.subject가곡-
dc.subject우조-
dc.subject계면조-
dc.subject삼죽금보-
dc.title소재 변주선율의 성격-
dc.title.alternative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Melodies in Samjukgeumbo(三竹琴譜)-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im, Mi-Sun-
dc.citation.journaltitle동양음악(Journal of the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dc.citation.endpage89-
dc.citation.pages53-89-
dc.citation.startpage53-
dc.citation.volume3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