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도 자료에 대한 이해도 조사 : An Examination of Student Perceptions of Press Releas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명선-
dc.contributor.author강보선-
dc.contributor.author이기연-
dc.date.accessioned2016-08-04T01:29:50Z-
dc.date.available2016-08-04T01:29:50Z-
dc.date.issued2016-06-
dc.identifier.citation국어교육연구, Vol.37, pp. 137-195-
dc.identifier.issn1227-882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6903-
dc.description.abstract공공언어란 공공 기관에서 사용하는 공적 언어에서부터 넓게는 불특정 다수의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공적 언어까지를 아우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공공언어의 생산자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공언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공공언어 수용자에게 접근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대표적인 공공언어 텍스트인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수용자의 공공언어 이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국민 공통교육과정을 모두 마친 고2, 3학년 학생 493명과 대학생 58명으로, 보도자료 텍스트를 일반 성인들이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는가를 가늠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보도 자료에 사용된 어휘에 주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대개 보도 자료가 무엇인지 모르고 있었으며 보도 자료가 갖는 특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고등학생보다는 대학생이 보도 자료를 좀 더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고, 보도 자료에 사용된 단어가 낯설거나 어려운 단어인 경우, 그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국어 성적이 좋을수록, 독해력과 어휘력이 좋을수록, 한자어와 외래어를 많이 알수록, 모르는 단어를 국어 사전에서 자주 찾아볼수록, 글 읽기에 흥미가 있을수록, 신문이나 책을 자주 읽을수록, 보도 자료에 대한 인식이 있을수록 보도 자료 이해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보도자료 이해도 조사 결과는 어휘 교육을 제대로 담보하고 있지 못하는 현 국어교육의 실태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으며 공공언어 텍스트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about press releases as a public language. Public language is the language used in public institutions, which has publicity and popularity. We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bout press releases by focusing on the vocabulary and through a survey that is set up fo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Further, this survey is for the consumers of the public language instead of the producers of the same.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most students do not know what the press release is (the concept of the press release) and do not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release. However, the college students appear to understand the press release bett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most cases, the unacquainted words or difficult words in the press release could not be understood. The students who have high scores in Korean subject, high comprehension, excellent lexical competence, big lexicon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words, understand the press release better than those who do not have these capacities.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enhance vocabulary and increase knowledge about public releases in regular Korean curriculum.-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dc.subjectPublic Language-
dc.subjectPress Release-
dc.subjectPublic Language Vocabulary-
dc.subjectPublicity(public interest)-
dc.subjectModel-
dc.subjectPopularity-
dc.subjectPublic Language Education-
dc.subject공공언어-
dc.subject보도 자료-
dc.subject공공언어 어휘-
dc.subject공공성-
dc.subject모범성-
dc.subject대중성-
dc.subject공공언어 교육-
dc.title보도 자료에 대한 이해도 조사-
dc.title.alternativeAn Examination of Student Perceptions of Press Release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n, Myungsu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Bosu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i, Kiyoun-
dc.citation.journaltitle국어교육연구-
dc.citation.endpage195-
dc.citation.pages137-195-
dc.citation.startpage137-
dc.citation.volume3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