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복합도시건축의 교외성 연구 : Architectural Suburbanity in the Urban Commercial Complex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지학

Advisor
김광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외건축의 교외성복합도시건축교외쇼핑센터소비 공간도시 모사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2. 8. 김광현.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의 대도시 공간 환경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일련의 현상들에 대해서 건축의 교외성으로 규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교외라는 장소적 조건이 건축적으로 지니는 의미를 어떻게 규정해야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외의 조건이 생산한 건축유형인 교외쇼핑센터의 실험과정을 분석하여 건축의 교외성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교외쇼핑센터의 건축 유형이 교외의 특수한 조건에서만 기능했던 것이 아니라, 소비 문화를 통해서 하나의 계보를 이루며 그 연속선 상에 복합도시건축이라는 도시적 유형으로 잔존하면서, 도시 내부에 교외성이라는 현대 도시의 특징적 현상들을 드러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방법 아래 수행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도시사회학에서 다루는 교외론의 검토를 통해서 교외를 성립시키는 조건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근대 사회의 대중소비문화와 모빌리티기술의 발전을 배경으로 생산된 교외는 전통적인 도시와 근본적인 차이점을 지닌다. 교외는 장소를 상품화시켜 추상적인 정보로 환원하여 비교와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교외의 라이프스타일을 이미지화하여 대중적으로 통용이 가능한 소비의 대상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교외의 건축이 전통적인 도시의 논리와 본질적으로 차이를 지니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에는 기술과 문화적인 배경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다. 모빌리티기술은 거주지의 확산으로 균질한 비장소적 공간 환경을 교외에 형성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대중소비문화는 소비를 통해 교외인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역할을 했다. 이처럼 교외화는 장소와 비장소의 경계에서 발생한 문제였다. 이를 통해서, 교외를 성립시키는 것은 전통적인 도시 형성의 주요한 요인들이 부재하면서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부재의 요소는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로, 교외는 도시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광장이나 시민공간(civic space)과 같은 밀집공간을 결여하고 있다. 그리고, 저밀도로 확산된 공간 구조를 지니는 교외는 인프라스트럭쳐로 연결되는 모빌리티에 공간의 경험을 의존하게 되면서, 공간 소통의 원칙인 근접성이 약화된다. 마지막으로, 교외는 도시로의 접근성과 거주자의 경제력이라는 추상적인 정보에 따라 모여서 형성된 사회이기 때문에, 공동체의 기반을 이루는 역사, 문화가 결여되어있다. 이는 장소성을 만드는 맥락이 부재한 채로 사회가 먼저 형성된다는 전복된 상황을 이끈다.

교외는 근대 문화의 영향을 온전하게 담고 있는 새로운 장소로서 중요성을 띄는 동시에, 대중이 소구하는 공간의 형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교외화는 공공공간과 소비공간을 도시에서 드러나던 형식으로부터 변형하여 집합소비공간이라는 새로운 양태를 이끌었다. 집합소비공간은 교외인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이상적 환경으로 존재하는 것이었는데, 교외쇼핑센터는 이러한 집합소비공간이 건축화되어 성립된 시설로서 의미를 지닌다. 여기에는 20세기 중반, 전후의 미국 교외쇼핑센터가 정통적인 모더니즘 건축의 계보로부터 벗어나서, 경제성과 대중성을 주요한 가치로 내건 건축유형이라는 특성이 중요하게 관찰된다. 이러한 교외쇼핑센터를 통해 드러나는 건축의 교외성은 교외를 성립시킨 부재의 도시 요소들인 도시의 밀집공간, 지역의 토대를 이루는 맥락, 그리고 근접성을 기반으로 하는 소통공간에 대한 건축적 해결책을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형성이 되었다.
이에 따라, 건축의 교외성은 다음과 같은 교외 건축의 언어들을 통해 규정된다. 우선, 교외쇼핑센터의 몰 공간이 도시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밀집공간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몰은 교외의 중심적 장소로 조성되었고, 이를 위해, 외부 환경의 조건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내향적 체계를 띄게 되었다. 또한, 물류와 쇼핑객의 이동을 담지하는 모빌리티가 공간 경험의 주체로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교외쇼핑센터는 공간의 소통에 있어서 근접성의 역할을 약화시켰다. 이는 장소의 경험이 인프라스트럭쳐로 조직되는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연결성의 소통에 따라 디자인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교외쇼핑센터의 몰은 교외의 사회가 요구하는 이미지가 투사되는 장소의 역할을 했다. 몰을 통해 교외쇼핑센터가 표상했던 바는 점차 커뮤니티의 공동체에 이바지하는 공공적 삶의 장소로부터 소비행위로 동질의식을 공유하는 대중을 위한 집합소비공간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즉, 장소를 만드는데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역사적 맥락이 부재하는 교외에서 건축은 표상을 통해 인공적으로 장소를 모사하는 성격을 지닌다.

교외쇼핑센터를 통해 형성된 교외성이 대도시 공간 환경에 전이되는 과정에는 70년대 다운타운의 교외화 현상과 라스베가스 건축이 과도기적 단계로서 존재했다. 도심의 다운타운은 대형 건축물의 아트리움과 인공가로체계를 통해 외부 도시와 분리된 멸균된 소비 공간을 조직하였다. 이는 소비에 최적화되어 도시인들이 이상적이라고 여겼던 교외의 공공공간을 도시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리고, 경험경제의 영향을 받은 라스베가스의 복합상업시설은 교외쇼핑센터의 건축 유형에 엔터테인먼트와 레져의 요소를 강화하며 형성되었다. 이때, 복합상업시설은 테마파크의 디자인 수법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내부의 스펙타클을 강화하면서, 고밀도의 도시 환경에 적합한 건축 유형으로 교외쇼핑센터를 변용해 나아갔다. 이러한 사실들은 복합도시건축이 대중성과 경제성의 원리에 기반하는 건축 유형인 교외쇼핑센터의 계보 위에 연속된 과정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도시건축은 교외쇼핑센터와의 유형적 동질성을 통해 대도시 공간 환경에서 교외성을 발현한다. 이 유형적 동질성은 내향적 체계, 연결성의 소통, 장소의 모사와 같은 교외건축의 언어들을 공유하면서 형성되었다. 내향적 체계는 복합도시건축을 자체적으로 완결된 도시 단위로 만들어서 주변의 공간을 배제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는 외부의 도시를 타자로 다루는 현상으로서 복합도시건축이 외부에 대해 지니는 부정적 태도를 표출한다. 공간의 경험에 있어서는 두 가지 의미있는 현상이 발견된다. 하나는 도시의 경험이 신체적인 근접함을 통한 이해보다는 인프라스트럭쳐, 기호, 그래픽과 같은 미디어를 통해 매개되는 특성을 띈다. 즉, 공간의 구조를 인식하기 위해서 추상적으로 환원된 정보를 독해하는 과정이 소요된다. 그리고, 고밀도 개발을 통한 효율적 공간 사용이 요구되는 복합도시건축은 인프라스트럭쳐에 의존한 도시 경험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복합도시건축은 경험에 있어서 신체적, 물리적 측면을 약화시키고, 연결성의 소통을 강화시킨다. 한편, 복합도시건축은 인공적으로 도시를 만들고, 경험을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특정한 테마에 따라서 인공적으로 장소의 분위기를 만들어간다. 이때, 동원되는 테마는 대중적으로 소구되는 경제성을 지니는 이미지에 국한되어 맥락과 무관한 시각적 수단으로 소비된다. 테마와 이미지를 통해 인공적으로 장소의 내러티브를 만드는 것은 복합도시건축이 외부 도시와 분리된 자율적 세계에 해당된다는 것을 인지시키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와 같이, 건축의 교외성은 모빌리티의 변화에 따른 도시의 소통과 소비 문화가 도시 조직의 논리로 작용하는 사회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건축의 교외성은 교외라는 특정한 지역적 조건에 국한되지 않고, 보편적인 대도시의 공간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 가능성은 교외와 도시의 맥락에서 교외성이 지니는 지향점의 차이로부터 명확해진다. 교외쇼핑센터가 지닌 교외성은 도시 요소의 부재에 대한 건축적 대응에서 비롯되어, 교외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존재하는 도시를 모사하는 것을 근본적인 원리로 지닌다. 도시의 모사는 몰이라는 교외쇼핑센터의 특징적인 건축 요소를 기반으로 도시의 밀집환경을 모사하는 동시에, 도시의 환경이 지닌 예측불가능한 위험 요소를 배제하여, 안전하게 보호받는 쾌적한 공간 환경을 만들려고 했다. 이는 교외쇼핑센터가 현실의 도시를 모델로 이상적인 도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선택적으로 재현하는 태도였다. 따라서, 교외쇼핑센터는 교외 속에 도시를 이상화하여 재현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교외-도시성이라고 정의하였다.
교외-도시성이 도시의 모사라는 동일화의 논리로 작동하였다면, 복합도시건축의 교외성은 외부 도시와 무관한 자율성을 지니는 내부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교외의 건축 언어가 활용되었다. 즉, 복합도시건축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외부 도시를 배제하며 교외의 소비 공간이 지닌 균질하고 안전한 장소 감각을 보편화시켜 유사-도시를 형성한다. 이처럼, 복합도시건축의 도시-교외성은 외부를 타자적 영역으로 두고 배타적인 내부를 만드는 차이의 논리를 따른다. 교외쇼핑센터가 도시를 이상적으로 재현했다면, 복합도시건축은 교외를 다시 도시성이 이상적으로 집약된 원(原)도시 모델로 보고 이를 다시 도시로 전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교외-도시성과 도시-교외성은 교외와 도시 사이에서 상호 참조하는 순환의 개념 관계를 지닌다. 그 참조의 과정은 결국 소비사회의 도시 공간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이상화와 정제의 과정을 반복한다.
건축의 교외성이라는 주제는 현대적인 도시건축을 생성하기 위해 도시와 교외의 상호 관계 속에서 구축되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이 궁극적으로 중요성을 지닌다고 본 연구가 다루고 있는 이유는 교외와 도시의 상호 관계 속에서 현대 도시건축론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이슈들인 역사, 내부도시, 공공영역의 재설정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의도한 바는 교외와 도시의 이분적 구도를 정립하여, 이를 도시건축론을 사고하는 하나의 개념틀로 구체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 이유는 소비 문화, 모빌리티, 공공성과 같은 현대도시의 주요한 문제들이 교외와 도시의 구도 속에 내재된 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의 교외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문제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대규모 복합화된 상업시설에 한정하여 진행했다. 하지만, 건축의 교외성은 현대 도시 문화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제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주거 커뮤니티, 공공건축, 교통시설과 같은 도시건축의 여타 유형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a series of phenomena in the contemporary metropolitan built environment through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uburbanity'. Initially, by examining the requirements when forming a suburban place, I established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uburbanity' by analyzing the experimental design development of suburban shopping center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mid-20th century, which was affected by suburban requirements. Subsequently, I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the building types of suburban shopping centers were not limited within suburban areas but transformed continuously into the urban commercial complexes by casting architectural suburbanity in metropolitan areas.
The conclusions are stated below.

Suburban are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ss consumption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mobility technology in modern times were essenti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cities. Suburban areas reduced a physical built environment to abstracted information, and introduced consumer goods into lifestyles to establish new types of suburban businesses. This acted as the basis for differentiating suburban architecture from traditional urban architecture. Suburban areas were invented in the absence of urban elements,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rganizing traditional cities. The absent urban elements in suburban areas included the following three factors. First, suburban areas were lacking in highly dense spaces such as plazas or civic spaces which bring diversity to cities. Secondly, as the suburban space organization became more dependent on mobility accompanied by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proximity, the principle of experiencing the space structure, was undermined. Lastly, due to suburban randomness in forming a society, the context of history and culture which should create foundations for the community environment did not exist in suburban areas.

Suburbanization led to the emergence of a new type of public and consumption space called a 'collective consumption space', which the masses desired as their ideal space. Accordingly, suburban shopping centers concretized this conception of a collective consumption space. Architectural suburbanity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solutions for reaction to the absence of urban elements as revealed by suburban shopping centers.
Hence, this study proposes the term architectural suburban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urban shopping centers' design. Above all, as the mall type of suburban shopping center was intended to perform like the densified space in urban cities, it became a focus of suburban society and featured an 'interiorizing system' which kept it distant from the outside world. The mobility related to the flows of logistics and shoppers diminished the role of proximity in experiencing suburban shopping centers. This can be construed as designing the spatial structure of suburban shopping centers according to a 'connective configuration' which relies on suburban networks organized by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Moreover, the mall type of suburban shopping center became the image of the place required by suburban societies. Thus, suburban shopping centers had the characteristic of a 'simulating place' by representing images desired by the public.

The transition of architectural suburbanity as established by suburban shopping centers into a metropolitan built environment involved the suburbanization of downtown areas in the 70s and Las Vegas-style architecture. These two historical facts acted to urbanize suburban public spaces and reinforce the economic impacts on commercial mixed-use buildings. The language of Las Vegas architecture developed by theme parks and brand-oriented design transformed suburban shopping centers into commercial mixed-use buildings applicable to the metropolitan built environment. This implies a typological identity between the suburban shopping center and the urban commercial complex.
Therefore, the urban commercial complexes expressed architectural suburbanity in contemporary cities using suburban idioms such as an 'interiorizing system', 'connective configuration', and a 'simulating place'. The interiorizing system treated surroundings as the other by creating an interior city with commercial architecture. When it came to the experience of the urban space, the urban commercial complexes, depending on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emphasized a connective configuration rather than physical proximity.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place-making and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the urban commercial complexes simulated popular images and themes.

As such,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uburbanity has the ability to explain universal metropolitan characteristics. This ability is clarified with opposed goals in urban and suburban contexts. Originating from the seeking of a solution to the aforementioned absence, architectural suburbanity in suburban shopping centers fundamentally simulated the downtown environment in the mall to imitate urban density and secure a pleasant air in a consumption space. Thus, the attitude was to create a selective representation of a city as a means of constructing an ideal one.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defines architectural suburbanity as appearing in suburban shopping centers as 'suburban-urbanity'.
'Suburban-urbanity' aims to identify with existing cities, whereas architectural suburbanity in urban commercial complexes is utilized for building an interior city, an analogous city which maintains a secure and homogeneous place, separate from the outside world. Like this, 'urban-suburbanity' in urban commercial complexes conformed to the differentiating logic of an exclusive interior city. Whereas suburban shopping centers recreate a downtown environment as an ideal city, urban commercial complexes treat suburban areas as the model of an ex-urban city, where urbanity is ideally integrated. Thus, 'suburban-urbanity' and 'urban-suburbanity' have a rotating relationship with reciprocal references between a suburb and a city. The process of the reciprocal references which repeat idealization and refining stages finally serves to generate an urban model in a mass-consumption society.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issue of architectural suburbanity is related to the conceptual framework construction of suburbs and cities so as to produce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e. As its underlying reason, this study deals with architectural suburbanity because this theme is deeply related to various contemporary issues such as history, interiority, and the public realm.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186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