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병원 간호사의 건강 구조모형 - 건강생성이론 기반으로-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 Based on the Theory of Salutogenesis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스미-
dc.contributor.author김경숙-
dc.date.accessioned2017-07-13T06:43:03Z-
dc.date.available2017-07-13T06:43:03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897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1876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2013. 2. 최스미.-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급격한 의료 환경의 변화 속에서 간호사는 높은 스트레스와 건강상의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 간호사의 건강과 건강행위는 직무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높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의 핵심요인인 통합력과 직무 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 지지, 그리고 건강행위가 간호사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건강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직, 간접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부서별, 연령별 층화무작위표출을 시행하여 352명의 간호사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 1일에서 5월 30일까지 시행되었고,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총 34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통합력은 간호사의 건강상태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인 직무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행위를 통해서 건강상태에 유의한 간접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건강상태는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건강행위를 잘 수행할수록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직무 스트레스가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무스트레스는 통합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낮았고, 이 중 통합력의 효과가 더 컸다. 건강행위는 통합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야간근무를 하지 않는 군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통합력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직무 스트레스에 직접효과를 미치고 있었고, 이를 통해 건강상태에도 유의한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력은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요한 역량이라 할 수 있고,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으로 통합력과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제안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국문초록 i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 정의 4

Ⅱ. 문헌고찰 7
1. 건강개념의 변화 7
2. 건강생성이론 9
3. 통합력과 건강관련요인 11
4. 건강관련 직무특성과 건강관련요인 15
5.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요인 19
6.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관련요인 22
7. 건강행위와 건강관련요인 25

Ⅲ. 연구의 이론적 기틀 28
1. 개념적 기틀 28
2. 가설적 모형 33
3. 연구가설 34

Ⅳ. 연구 방법 35
1. 연구 설계 35
2. 연구 대상 35
3. 윤리적 고려 36
4. 측정 변수 및 도구 37
5. 자료수집 45
6. 자료분석 46

Ⅴ. 연구결과 47
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47
2. 간호사의 건강상태 49
3. 측정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 52
4. 측정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54
5. 잠재변수의 타당성 평가 56
6. 구조모형 분석 57
7. 연구가설의 검정 63

Ⅵ. 논 의 65
1. 간호사의 건강 구조모형의 적합성 65
2. 간호사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67
3. 간호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1
4. 간호사의 건강구조모형 연구결과의 적용 74
5. 간호학적 의의 77

Ⅶ. 결론 78

Ⅷ. 제언 79

참고문헌 80

부록 99

Abstract 123
List of Tables
Table 1. Measurement Scales used for This Study 44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48
Table 3. Physical Component Summary(PCS) and Mental Component Summary(M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50
Table 4. Health Status in Nurses regarding the Short Form-36 Domains 51
Table 5. Descriptive Statistics of Observed Variables 53
Table 6. Correlations among Observed Variables 55
Table 7. Factors Loading and Total Variance Explained for the Convergent Validity of Latent Variables 56
Table 8. Fitness Statistics for Hypothetical Model 57
Table 9. Standardized Estimates for Hypothetical Model 59
Table 10.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on Endogenous Variables for Hypothetical Model 61



List of Figures
Figure 1. Relationship of Antonovsky's Concepts to Study Variables 31
Figure 2.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32
Figure 3. Hypothetical Model 33
Figure 4. Path Diagram for the Hypothetical Model 62



List of Appendixes
부록 1. 연구대상자 보호 심의 결과 통보서 99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100
부록 3. 연구 설문지 101
부록 4. 추가분석 114
부록 5. 도구사용 허가서 11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556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통합력-
dc.subject직무 스트레스-
dc.subject지각된 사회적 지지-
dc.subject건강행위-
dc.subject건강상태-
dc.subject.ddc610-
dc.title병원 간호사의 건강 구조모형 - 건강생성이론 기반으로--
dc.title.alternative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 Based on the Theory of Salutogenesis --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Kyeong Sug-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24-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