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확률론적 나노미세구조물을 이용한 OLED의 광추출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ght extraction efficiency enhancement of OLED employing stochastic nano-structur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창희-
dc.contributor.author박우영-
dc.date.accessioned2017-07-13T07:18:22Z-
dc.date.available2017-07-13T07:18:22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48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1923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전기·컴퓨터공학부, 2016. 8. 이창희.-
dc.description.abstract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는 차세대 광원과 평판 디스플레이용으로 큰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이는 OLED가 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비하여 빠른 응답속도, 백라이트의 불필요, 에너지 효율, 낮은 구동 전압, 넓은 시야각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organic layer는 저온 열증착 또는 스핀코팅을 통하여 각 층을 쌓을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기판과 결합하여 flexible 디스플레이로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높은 색 재현성은 고화질 텔레비전이나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Tablet 컴퓨터 등에서 활용되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유리기판 위에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여러 레이어들이 겹겹이 쌓여있는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내부에서 생성된 photon이 wave-guided mode, substrate mode, surface plasmon polariton mode 등으로 소모되어 실제적으로는 약 20%의 outcoupling efficiency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내부에서 손실되는 빛의 외부 추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OLED 소자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고 그중 대표적인 것중에 하나가 미세구조물을 이용하여 Bragg scattering을 일으켜 소자 내부에서 생성된 photon을 외부로 발광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미세구조물들은 photolithography 공정이나 laser interference를 이용하여 주기구조물을 구현하였고 이들은 광 추출효율 개선에 괄목할만한 성과들을 보여주었으나 대부분의 방법들이 면적의 증가에 따라 공정비용이 치솟고 특정파장에서만 효과를 볼 수 있어 그 적용이 제한적이었으며 결정적으로 각도의존성이 심하여 특정 각도에서의 발광특성이 일그러져 실제 디스플레이나 광원에 적용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위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고효율의 OLED소자를 구현할 수 있도록 플라즈마 공정으로 구현된 확률론적 미세구조물이 탑재시킨 OLED 소자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러가지 실험들을 진행하였으며 발광효율은 기존의 소자 대비 확률론적 미세구조물을 OLED 소자에 적용하였을 때 각각 30%~60%가량의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발광효율의 상승 메커니즘 알아보기 위해 Classical ray optics와 Bragg 이론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Full-wave optics simulation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Bottom-emitting OLED와 Top-emitting OLED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실험결과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이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에 사용될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OLED 소자의 광추출 효율 향상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필요한 고가의 리소그라피와 같은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전체 면적에 대하여 1step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uniformity가 보장되는 환경에서 제작할 경우 대면적의 적용에도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컨셉은 OLED에 적용된다면 적은 비용을 소자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2 장 OLED 기초이론 및 소자의 동작원리 4
2.1 OLED의 발전역사 4
2.2 OLED의 기본원리 8
2.2.1 소자구조 8
2.2.2 동작원리 11
2.2.3 소자효율 계산 12
2.2.4 소자 안정성 15
2.3 OLED 기술동향 18
2.3.1 OLED 디스플레이 장점 18
2.3.2 Passive- vs active-matrix OLED 디스플레이 20
2.3.3 OLED 전극의 전하 주입 27
2.4 OLED 기술동향 46
2.4.1 OLED의 내부전반사 효과 46
2.4.2 OLED의 Surface Plasmon Polariton 48
2.4.3 Periodic 구조를 이용한 광효율향상 방법 51
2.4.4 Random 구조를 이용한 광효율향상 방법 60
2.5 결론 65

제 3 장 TEOLED의 설계 66
3.1 TEOLED의 구성 66
3.2 TEOLED의 종류 70
3.2.1 TEOLED의 발광색깔에 따른 분류 70
3.2.2 TEOLED의 사용 음극에 따른 분류 78
3.3 TEOLED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캐비티 이론 79
3.3.1 Fabry-Perot Cavity 79
3.3.2 EL 스펙트럼 81
3.3.3 Full Width at Half-Maximum 82
3.4 TEOLED의 Outcoupling 84
3.4.1 SPP mode 파워 손실 84
3.5 결론 86

제 4 장 OLED의 시뮬레이션 모델링 및 계산 88
4.1 시뮬레이션의 목적 88
4.2 Maxwells Equation을 이용한 다이폴 소스 모델링 88
4.3 FEM을 이용한 매트릭스화 92
4.4 FEM으로 구현된 다이폴 소스 simulation 100
4.5 FEM으로 구현된 OLED 소자 simulation 103
4.6 전극 표면에 주기적인 나노구조물이 삽입된 OLED 소자 simulation 116
4.7 확률론적, 불규칙적 요철의 나노구조물이 삽입된 OLED 소자 광효율 125
4.8 결론 129

제 5 장 열처리를 이용한 OLED 구현 130
5.1 열처리를 활용한 요철 공정법 130
5.2 공정완료된 소자의 표면물성분석 131
5.3 OLED 소자 제작 실험 148
5.3.1 OLED 소자 제작 챔버 148
5.3.2 Green Color TEOLED 소자 광학특성 152
5.3.3 Blue 및 Red Color TEOLED 소자 광학특성 161
5.4 OLED Lifetime 169
5.5 결론 170

제 6 장 Mask-free plasma etching을 이용한 OLED 구현 171
6.1 Mask-free plasma etching 공정법 171
6.2 Mask-free plasma etching 처리를 이용한 TEOLED 소자 특성측정 187
6.3 Blue and Red TEOLED 소자 실험 198
6.4 결론 201

제 7 장 결론 202

참고 문헌 205

Abstract 21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0644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플라즈마(plasma)-
dc.subjectsurface plasmon polariton (SPP)-
dc.subject유기전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dc.subject전면발광형 유기전기발광 다이오드(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c.subject확률론적 미세구조물(stochastic nano-structure)-
dc.subjectBragg 이론(Bragg theory)-
dc.subject외부양자효율 (external quantum efficiency)-
dc.subject.ddc621-
dc.title확률론적 나노미세구조물을 이용한 OLED의 광추출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light extraction efficiency enhancement of OLED employing stochastic nano-structure-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215-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전기·컴퓨터공학부-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