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Modelling and measuring production of Korean universities : knowledge production function and scientific collabor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종욱

Advisor
이정동
Major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knowledge production functionscientific collaborationuniversity researchpartner selectionco-authorship networkknowledge spillover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2014. 8. 이정동.
Abstract
본 연구는 지식 생산의 과정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과학계량학적 관점, 계량경제학적 방법론, 사회 연결망의 견해, 성장 이론의 생삼함수 접근법 등을 차용하였다. 이들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연구협력의 특성을 포함한 지식 생산 과정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치중하였다.
첫째로, 최상위 대학을 포함한 대학 간 협력이 영향력 높은 학술지 논문을 생산함을 설명하였다. 또한 우수 대학들은 하위 대학들과의 협력 시 영향력에 있어 손해를 보는 반면, 하위 파트너들은 협력을 통한 영향력 이득을 취함을 밝혔다. 한국 대학들은 같은 층위의 대학들과 협력하지 않는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로, 공저자 행위와 같은 상호 관계를 연구하는 데 적합한 사회연결망분석(SNA)을 사용하여 한국 대학들로 구성된 연구협력망 내에서의 구조 관계를 그려냈다. 이러한 목적으로 국내 비 대학 기관들과 외국 기관들을 묶어 대학 외부라 정의하고, 이를 대학 내부와 구분지어 비교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 학계의 학술지 공저자 연결망 내에서의 구조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연결망 그림을 완성하였다.
셋째로, 학술지 생산 과정에서의 협력적 특성을 고려한 지식생산함수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연구 활동이 대학의 내부뿐 아니라 외부에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 하에 지식의 생산 과정을 모형화 하였다. 세부적으로, 학술지 단위의 연구개발 투자수익을 결과로 제공하는 지식생산함수를 대학 간 스필오버 및 미국 발 스필오버의 두 가지 스필오버 효과를 포함하여 확장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한국 대학의 지식 생산 과정에서 스필오버 효과는 실존하며 연구협력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구개발의 투자수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필오버 효과가 작게 나타난 것은 국내 대학들의 협력이 양적·질적으로 부족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기에 연구협력을 유도하는 다양한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nature of the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we exploit the scientometric perspective, econometric methods, social network standpoint, and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derived from the endogenous growth theory. All of them combine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with a focus on scientific collaboration.
First, we demonstrated that multi-university collaboration produces higher-impact articles when it includes a top-tier university. It is also found that elite universities experience impact degradation of their scientific results when they collaborate with lower-tier institutions, whereas their lower-tier partners gain impact benefits from the same collaboration. We also revealed that Korean universities are unlikely to work with other universities from the same tier.
Second, we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hich is appropriate for examining interactive relationships such as co- authorships, to depict structural relations within the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of Korean universities. We defined the external world as the coupling of domestic non-university institutions with organizations from foreign countries, separating them from the university world. Then, we have drawn a bigger picture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in scientific co-authorship networks for Korean academia.
Third, we developed a model of knowledge production function, embed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llabora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ientific production process. The analysis was undertaken from a university world perspective,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universities should be affected by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university world. It provided an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returns to investment in university research,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two spillover effects: One is cross- university, and the other is from the US. The results implicate that spillover effect has a real existence and a deep relation with scientific collaboration, while this effect is weaker than the influe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xpenditures on scientific results. The small spillover effect requires either much greater collaboration 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operation.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199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