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술대학 기초실기 교수활동에 반영된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형숙-
dc.contributor.author최기호-
dc.date.accessioned2017-07-13T17:05:07Z-
dc.date.available2017-07-13T17:05:07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474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52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미술교육 전공, 2012. 8. 김형숙.-
dc.description.abstract시각적 문해력은 1960년대 상징처리이론과 형태심리학의 영향으로 등장했다. 이후 많은 미술교육자들에 의해 미술 재능(artistic talent)이나 미술 능력(artistic abilities), 창의성과 같은 개념을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학습개념으로서 주목받았다. 한국에서도 2000년대에 들어 시각문화교육, 다문화 미술교육과 같은 새로운 미술교육 담론의 도입과 함께 시각적 문해력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시각적 문해력의 연구는 형태심리학의 이론적 접근으로부터 최근에는 이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실증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를 실증적으로 접근하는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구자들은 시각적 문해력을 학습 가능한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노력해왔다. 그러나 시각적 문해력의 연구는 때로 인지나 심동적인 측면에서 단편적으로 다뤄지거나 지나치게 다양한 개념이 혼재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연구는 서울소재 4년제 미술대학의 기초실기 과정에서 인식되고 사용되고 있는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을 탐색하고 개념화함으로써 시각적 문해력이 가진 교육적 함의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시각적 문해력을 전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집단인 미술과 기초실기 과정의 교수와 강사 15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그들의 작품 활동과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과제의 수행내용에 반영된 시각적 문해력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행동 사건 면접(behavioral event interview)을 실시했다. 행동 사건 면접은 시각적 문해력이라는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개념을 조사, 탐색하는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가 특별한 조건하에서 행동한 내용들을 질문하게 된다.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시각적 문해력의 하위요인들의 구성과 개념에 기초하여 주제 구성도를 제작했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하는 시각적 문해력의 활용사례들을 분석하여 기존의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군의 개념을 정교화하고 재구성하는 한편 새로운 역량군과 하위요인들을 생성하였다.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들은 모두 26개가 구분되고 26개의 역량은 8개의 주제로 구분되었다. 8개의 주제는 각각 ① 조형언어의 이해와 적용, ② 조형적 은유체계의 습득, ③ 매체의 사용과 전달, 소통 방식에 대한 이해, ④ 사회문화적 관습에 도전하는 조형적 시도로서 비판적 재구성, ⑤ 재료와 도구로부터 새로운 의미 찾기, ⑥ 주제와 형식의 실험, ⑦ 인간과 삶에 대한 관심과 이해, ⑧ 개인적 경험에서 서사를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으로 구분되었다.
26개의 역량 가운에 6개의 역량이 자료분석에 기초해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으로 새롭게 추가되었다. 6개의 하위요인은 조형물의 제작에 관여하는반성적으로 사고하기와규칙찾기라는 두 개의 요인과 다양한 생활의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탐색하는 문제의 인식,일상을 낯설게 보기,소통의 접점 찾기.이야기꺼리 만들기등으로 구성되었다. 시각적 문해력의 새로운 역량개념의 발전은 현대미술의 관심이 미술자체보다 일상의 특별한 순간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이 맥락적으로 재구성되는 발견적 개념이라는 전제아래 시각적 문해력이 사용되는 실제적 맥락인 창작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개념과 구성요인들을 형성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미술대학의 기초 실기라는 실제적 맥락에서 인식된 시각적 문해력의 개념은 단순히 시각이미지를 읽고 쓰는 능력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적 의미체계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소통하기 위한 지식과 기능, 태도, 기질로서 정의될 수 있었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term of visual literacy first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art education in the 1960s borrowing ideas from the symbol processing theory and Gestalt psychology. Since then, a number of art educators have paid attention to visual literacy as a concept that would significantly transform the meaning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rt. The reason that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attracted art educators at that time was they found the potentials of the concept in replacing the long standing notions of artistic talent, artistic abilities and creativity. In Korea, since the 2000s, new discourses of art education such a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VCAE)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ere introduced by a small group of visionary art educator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se new thoughts,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on visual literacy in Korean art education.
As the Gestalt psychologists initiated the studies on visual literacy, early forms of the studies on visual literacy were mostly theoretical. A number of researchers from diverse backgrounds have increasingly tried to establish a consensus definition of visual literacy as well as observable constructs of it so as to use them in the educational contexts. Thus, some studies on visual literacy have encompassed a broad spectrum of constructs while other studies have limited the concept only into a few fractions of it.
Since its inception, the studies on visual literacy have highlighted the responsive aspects of visual literacy such as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visuals. Differentiating from those studies focusing only on the responsive aspects of visual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onceptualize the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enacted in the foundation courses of studio art programs at the college level in Korea.
Competency modeling was employed to explore and to conceptualize the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Six instructors and nine professors teaching in the foundation courses of studio art programs were involved in the course of the study as participants. The depth interview, behavioral event interview (BEI) was effective for the researcher to go through the constructs of visual literacy unknown but used as tacit knowledge in authentic settings of studio art programs.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ised and used for the instructors and professors to describe the details of the assignments and the evaluation criteria to teach their students how to communicate through visuals.
The questions of questionnaire and the thematic structure used for this study were taken from the structures and the constructs made by the previous studies on visual literac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and the analysis of participants' statements on the respective cases, the existing structures and constructs of visual literacy were sophisticated and reconstructed, revealing new criteria, and producing new constructs.
As a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analysis, the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enacted in the foundation courses of studio art programs at the tertiary level were clustered into 8 mid-criteria with 26 competencies. 8 mid-criteria respectively consist of ① appreciating and applying visual languages, ② attaining and improving visual metaphors, ③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ways of visual communication defined by their specific domains, ④ critical reconstruction, as a challenge to preexisting visual conventions, ⑤ finding intrinsic meanings or other possibilities for the meaning construction from materials and tools, ⑥ experimenting with the combination of new ideas and forms, ⑦ being interested in and apprehending humans and other lives, and ⑧ eliciting and sophisticating visual narratives from one's own experiences.
6 competencies out of all the 26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were what were newly added to the thematic structure of visual literacy made by the analysis of the data. Newly added 6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include: reflective thinking, discovering intrinsic meanings as one's working with materials and tools, and as ways of eliciting themes for visualization from daily experiences, setting problems, making things unfamiliar, finding contact points (with others' experiences), and making visual narratives consist in the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These newly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flect that much attention of contemporary visual arts are moving from art for arts' sake or beauties to finding meanings from our daily lives.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form, reconstruct and further delineate the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with the 15 participants teaching in studio art programs, as authentic settings in which visual literacy is being enacted. This study is guided by an assumption that visual literacy is a heuristic concept responsive to the contexts. The current study implies that visual literacy can not be reduced to an ability of encoding and decoding visuals. Rather, it is a collection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predispositions in order to produce new meanings in visual forms and to professionally communicate with others. In addition to that, newly competencies of visual literacy in this study concerns more on small narratives than art for arts' sake. Another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students' personal narratives and looking into their own lives can be driving forces to motivate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and emergence within a subject matte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3. 연구문제 4
4. 용어의 정의 5
1) 시각적 문해력 5
2) 미술 재능 8
3) 창의성 10
4) 비판적 사고 11
5) 역량모델링 13
5. 연구의 제한점 14

제 2 장 시각적 문해력 16
1. 시각적 문해력 개념의 변화 16
1) 시각적 문해력의 개념 구분 16
(1) 시각전달이론의 관점 16
(2) 미술교육의 관점 20
(3) 미학의 관점 23
2) 시각적 문해력의 재개념화 26
2. 선행연구: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 30
1) 랜다와와 버어뱅크등의 연구 31
2) 브릴 등과 애브제러누의 연구 36
3) 플러드와 캘러우의 연구 40
4) 레이니와 황연주의 연구 49
3. 한국 미술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의 개념 52
4.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 55

제 3 장 연구방법 57
1. 역량모델 57
1) 역량 57
2) 연구절차 60
2. 연구대상 63
3. 자료의 수집과 분석 66
1) 자료의 수집 66
2) 자료의 분석 69
3) 분석과정 70
(1) 1차 결과분석 70
(2) 2차 결과분석 73
(3) 3차 결과분석 77
4. 연구의 타당화 81

제 4 장 연구결과 84
1.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 87
1) 조형언어의 이해와 적용 87
(1) 조형요소와 원리 87
(2) 전문분야의 표현방식 89
2) 조형적 은유체계의 습득 91
3) 전문분야의 소통방식에 대한 이해 94
(1) 감각양식과 전달매체의 이해 95
(2) 전문분야의 소통방식 98
4) 재료와 도구를 통해 새로운 의미 찾기 102
5) 비판적 재구성 106
6) 주제와 형식의 실험 110
7) 인간과 삶에 대한 관심과 통찰 112
(1) 일상을 낯설게 보기와 소통의 접점찾기 112
(2) 미술의 사회적 역할탐구와 사회참여 115
8) 개인적 경험을 서사로 발전 117
3.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 121

제 5 장 결론 125
1. 논의 125
2. 제언 131

참고문헌 134
Abstract 142
부록 147
표 차 례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284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각적 문해력-
dc.subject시각적 상징체계-
dc.subject역량요인-
dc.subject미술대학-
dc.subject기초실기-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미술대학 기초실기 교수활동에 반영된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vii, 149-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