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적 개별주의 연구: 예술비평에서 개별주의 접근의 전망 : A Study on Aesthetic Particularism: The Prospect of the Particularist Approach in Art Criticis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완-
dc.contributor.author최근홍-
dc.date.accessioned2017-07-14T01:04:38Z-
dc.date.available2017-07-14T01:04:38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213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163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학과, 2017. 2. 이해완.-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예술비평에서 미적 개별주의의 전망을 탐색한다. 예술비평은 예술작품을 비평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말하자면, 비평가들은 예술작품의 의미를 찾아 적절하게 해석함으로써,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작품을 평가한다. 이렇게 이해된 비평은 평가에 이르게 된 합리적 이유를 밝히는 작업에 속한다. 비평가는, 이를테면 이 그림은 미적으로 좋다라고 그저 선언하고 멈추는 것이 아니라, 이 그림은 우아하다. 그러므로 이것은 미적으로 좋다라는 식의 논증을 제시한다. 그런데 비평가가 방금 제시한 것이 논증이라면, 여기에는 숨겨진 전제가 하나 더 있는 것 같다. 그것은 비평가들이 비평의 기준 혹은 일반 원칙으로 삼는 진술일 것이다. 말하자면, 이 논증에서 그 진술은 한 예술작품에서 우아함이라는 미적 개념은 언제나 미적으로 좋음을 함축한다일 수 있다. 이는 예술작품에서 우아함이 갖는 평가적 성격, 여기서는 긍정적인 가치 기여를 보여주는 하나의 일반 원리이다. 이런 원리는 다른 차원에서도 진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대상의 색이 오직 옅거나 흐릿하기만 하다면, (색깔의) 야함이라는 미적 속성은 그 대상에 귀속될 수 없다라는 진술은 예술작품에서 (색깔의) 야함이 갖는 외연적 성격을 규정하는 일반 원리이다. 이처럼 비평 담론에서 미적 개념이나 속성이 갖는 외연적 혹은 평가적 성격을 체계적으로 정식화한 진술이 미적 원리이다.
비평철학 영역에서 이른바 일반주의 대 개별주의 논쟁은 바로 이러한 미적 원리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쟁점을 다룬다. 일반주의에 따르면 비평가가 비평의 근거로 제시하는 원리는 일반적인 이유들이다. 말하자면, 비평가가 제시하는 이유들은 상당한 정도의 일관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일반주의자는 그 이유들이 모종의 규칙성, 즉 어떤 논리적(개념적) 관계나 경험적(통계적) 경향성을 따른다고 믿는다. 반면에, 개별주의자는 그러한 미적 원리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이때 일반주의자가 즉각적으로 갖게 되는 의문은, 미적 원리 없이 어떻게 비평이 정당화될 수 있겠는가?이다. 따라서 양 진영 사이의 논쟁은 미적 원리가 있는지의 여부를 따지는 것에서 나아가 미적 정당화를 다루는 논의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면 개별주의자는 어떤 근거에서 미적 원리가 없음을 주장하는가? 또한 이 경우 미적 정당화의 문제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나는 본고에서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답변하고자 한다. 먼저, 미적 개별주의를 위한 논증으로 나는 메타-미학 이론들의 묶음을 일괄 제시한다. 그 묶음은 참 상대주의와 형태없음 논제를 통해 모습을 갖춘 전체론이다. 나는 미적 개별주의가 기본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전체론의 귀결로 간주된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참 상대주의는 비평적 진술의 진위에 관한 판정자 중심의 의미론으로서, 전체론을 일종의 맥락의존성으로 이해할 때 그 맥락이 무엇인지를 설명해 준다. 참 상대주의에 따르면, 그 맥락이란 판정 맥락의 미적 파라미터를 뜻한다. 말하자면, 그것은 판정자의 미적/도덕적 감수성과 판정자에 의해 취사선택된 작품 관련 서술적 정보 상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형태없음 논제는 미적 (가치)귀속이 비-미적 차원에서라면 의미 있는 공통점을 갖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형태없음 논제는 판정 맥락에 의해 인도된 특징들이 미적 (가치)귀속의 이유로 여겨질 때 체계적인 일반 원칙을 따르지 않는다는 점을 함축한다. 그러므로 참 상대주의와 형태없음 논제의 연합은 전체론(맥락의존성)에서 맥락과 의존성을 구체화함으로써 미적 원리가 없다는 개별주의 결론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나는 미적 수반과 관련하여 개별주의자가 취할 수 있는 입장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미적 정당화를 위한 개별주의자의 대안적 수단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형태없음 논제와 미적 수반(일관성 제약으로서의 분배적 수반)은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개별주의자는 미적 수반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미적 수반의 부정은, 이를테면 우아함이 전형적으로 미적 장점이지만 때로는 미적 결함을 함축한다는 식의 가치 역전 주장을 함축한다. 따라서 미적 수반을 부정하는 개별주의는 그것을 수용하는 입장보다 강한 입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주의의 지형에서 미적 정당화를 위한 대안적 수단으로 내가 제안하는 것은 미적 추정이다. 나는 미적 정당화가 연역 또는 귀납(통계적 경향)이 아닌, 추정적 정당화라고 주장한다. 추정은 절차적 타당성 조건만을 요구하므로 원리보다 유연하면서도, 잘 확립된 비평 관행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개별주의자의 미적 정당화 수단으로서 적합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
Ⅰ 예비적 고찰 14
1 예술비평과 평가 14
1.1 예술비평의 요소들 15
1.2 예술비평의 평가적 성격 17
1.3 평가적 비평과 비평의 미적 원리 23
2 미적 개별주의 논쟁과 메타-미학의 입장들 28
2.1 전체론(holism)과 원자론(atomism) 31
2.2 실재론과 반-실재론 34
2.3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35
2.4 미적 수반과 형태없음 논제(shapelessness thesis) 37
3 예술비평에서의 미적 개별주의 접근 40
3.1 미적 개별주의 접근의 스펙트럼 40
3.2 미적 개별주의 논증을 위한 이론 묶음 42
3.3 미적 (평가의) 정당화 문제 47
4 요약 및 결론 49
Ⅱ 평가적 비평의 미적 진술과 그 의미 50
1 예비 사항들 50
1.1 예술비평에서 미적 진술의 중요성: 미적 원리 및 미적 판단과 맺는 관계 51
1.2 미적 진술의 의미: 대면 원칙과 미적 불일치 52
1.3 미적 진술의 의미를 설명하는 이론의 구분: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56
2 비-인지주의와 그 문제점들 57
2.1 소박한 표현주의(simple expressivism) 57
2.1.1 소박한 표현주의의 기본 입장 57
2.2.2 소박한 표현주의 비판 58
2.2 세련된 표현주의(sophisticated expressivism) 63
2.2.1 세련된 표현주의의 기본 입장 63
2.2.2 세련된 표현주의의 해결책 및 그에 대한 비판 66
2.3 요약 및 결론 71
3 인지주의 71
3.1 이론적 배경 72
3.1.1 다양한 인지주의 관점들: 객관주의, 맥락주의, 그리고 상대주의 72
3.1.2 가능세계 의미론과 미적 술어의 맥락민감성 74
3.1.3 맥락주의와 상대주의의 구분 79
3.1.4 요약 및 결론 83
3.2 객관주의 84
3.2.1 객관주의의 핵심 주장 84
3.2.2 객관주의 비판 88
3.3 지표적 맥락주의 96
3.3.1 지표적 맥락주의의 핵심 주장 96
3.3.2 지표적 맥락주의 비판 99
3.4 참 상대주의 103
3.4.1 상대주의의 일반의 기조 103
3.4.2 상대주의에 대한 표준적 반론과 상대주의의 대응 107
3.4.3 참 상대주의와 판정 맥락 (1): 판정 맥락의 도입 108
3.4.4 참 상대주의와 판정맥락 (2): 판정 맥락의 파라미터 114
3.4.5 참 상대주의의 설명력: 대면 원칙과 미적 불일치 123
3.4.6 참 상대주의와 미적 개별주의 131
4 요약 및 결론 134
Ⅲ 미적 개념의 외연 136
1 예비적 구분들 136
1.1 미적 개념의 내용: 지향적 내용과 인지적 내용 136
1.2 미적 개념의 두께: 두터운 개념과 엷은 개념 137
2 환원주의 기획과 형태없음 논제 139
2.1 비-환원주의의 동기 139
2.2 환원주의 기획과 그 문제점 141
2.2.1 두 요소 분석과 환원주의 141
2.2.2 소박한 환원주의와 형태없음 논제 142
2.2.3 형태없음 논제와 환원주의 수정 전략들 146
3 형태없음 논제에 대한 적극적 반론과 가능한 답변들 151
3.1 일반주의자의 적극적 반론: 개념 구사력과 형태있음 151
3.2 개별주의자가 제시할 수 있는 가능한 답변들 153
4 형태없음 논제의 귀결 157
4.1 형태없음 논제와 미적 개별주의 158
4.2 형태없음 논제의 귀결: 체계화 불가능성 159
5 요약 및 결론 161
Ⅳ 예술비평과 개별주의 접근 162
1 미적 개별주의 접근의 가능성 162
1.1 참 상대주의와 형태없음 논제의 연합 162
1.2 예술비평에서 개별주의 접근의 가능성 166
1.2.1 미적 수반과 관련된 구분 166
1.2.2 미적 정당화와 관련된 구분 169
2 평가의 역전과 미적 개별주의 170
2.1 개별주의 직관과 가치 역전 현상 170
2.2 개별주의자의 미적 수반 부정 전략: 가치 역전의 세 유형 173
2.3 수반 부정 개별주의 접근의 가능성과 한계 176
3 미적 정당화와 개별주의 접근 181
3.1 비평의 합리성과 인식적 정당화 181
3.2 인식적 정당화 수단으로서 미적 원리 183
3.3 미적 정당화에 대한 개별주의 접근의 적용 범위 184
3.4 미적 개별주의와 추정적 정당화 187
3.4.1 인식적 정당화 수단으로서의 미적 추정 189
3.4.2 예술비평과 추정적 정당화 191
4 요약 및 결론 193
결론 195
참고문헌 198
Abstract 20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263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적 개별주의-
dc.subject참 상대주의-
dc.subject형태없음-
dc.subject미적 수반-
dc.subject미적 정당화-
dc.subject미적 추정-
dc.subject.ddc111-
dc.title미적 개별주의 연구: 예술비평에서 개별주의 접근의 전망-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Aesthetic Particularism: The Prospect of the Particularist Approach in Art Criticis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unhong Choi-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208-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미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