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저층주거지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fficient use of parking spaces in a low-rise residential a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진현조

Advisor
Lee, seog jeong
Major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저층주거지주차공간주차수요관리공유주차Low-rise residential areaParking spaceParking Demand ManagementShared park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14. 8. 이석정.
Abstract
서울시의 저층 주거지는 대부분 70~8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단독주택의 필지로 공급되었으나, 단독주택이 다세대·다가구의 주거형태로 변화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주차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반시설의 확충 없이 계속되는 차량유입의 급증과 과다한 주차공간의 공급이 불필요한 차량통행과 불법주차를 일으켜, 다세대·다가구 주택가에 무질서한 주차환경을 유발시켰다. 그 결과, 저층주거지의 가로 및 오픈스페이스는 차량으로 점유되어 주거 및 보행환경을 악화시켰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주차상황이 열악한 다세대·다가구 주택가를 대상으로 주차공급정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용산구에 시범적으로 거주자우선주차제를 시행한 이래로, 서울시 전역에서 시행하였으며 그 밖에도 그린파킹사업, 공용주차장 설치 등과 같은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를 통한 결과 표면적으로는 2002년부터 서울시 전체 주차면 수가 연 4.92%의 비율로 증가하였고 주택가만을 고려했을 때에도 주차면 수 증가율이 연 4.38%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세대·다가구 주택가에 주차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음은 서울시의 주차공급정책이 주차수요의 대응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주차정책의 대안으로서 주차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현 시점에서 지속적으로 주차장 면수를 늘리는 기존주차정책으로는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현재의 공급위주의 정책기조에서 주차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주차수요관리의 필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마포구 연남동 일대를 선정하여 세대수, 주차면수, 차량 대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상지에서 Housing (주거지역)과 Non- Housing (주거와 상업지역)을 구분하여 주간과 야간의 주차공간의 이용률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차량 대수에 비해 주차 면수가 많이 조사되어 양적으로는 주차공간이 부족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Housing지역은 주간에 비해 야간에 주차수요가 많고, 반대로 Non-Housing지역은 주간이 야간에 비해 주차수요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주차공간이 항상 부족하게 느끼게 되는 이유가 절대적으로 주차공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주차공간이 주차수요와 공급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의 주차시스템이 주차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패턴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조사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파악한 조사결과를 통해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방안을 계획하였다. 블록 간의 주차공간의 교환이라는 개념을 통해 주차정비 방안을 모색하여 실제로 주차공간을 교환하는 단계별 시행방안을 통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현재 일부 주차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주차공유를 확대하여 공유주차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차구역 내에서 주차공유를 유도한다면 주차공간을 늘리지 않고도 주차공간의 탄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차관리 수법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주차유형에 따라 일반주차와 조업주차를 나누고, 관리주체를 민간과 공공으로 구분하여 주차의 수요와 이용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이런 주차공간의 교환을 실현하기 위해서 IT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주차정보를 공유하고 유도하여 시간대별로 주차를 관리할 수 있는 공유주차 시스템을 예상해 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방향이 주차관리 정책과 주차수요에 대응하는 양적공급의 제도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시작하였다. 과거, 주차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한계를 지적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주차공간의 관리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대상지의 주차현황조사를 파악하고 주차관리방안을 단계별 시행방안을 통해 구현해보는 것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를 갖고자 한다.
Most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City were supplied during 1970s and 80s as lots for single houses throug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but as the dwelling pattern transformed to multiplex and multi-family housing, it called for corresponding parking spaces. However, the influx of vehicles and excess supply of parking spaces with no infrastructure expansion caused unnecessary vehicular traffic and illegal parking, consequently leading to a chaotic parking environment in multiplex and multi-family areas. As a result, avenues and open spaces in front of the low-rise residential areas are occupied with vehicles, aggravating living conditions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To address this issue, the City of Seoul continuously pursued the Parking Supply Policy in multiplex and multi-family areas with poor parking conditions. Since the Yongsan Constituency implemented the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on a trial basis, the entire Seoul City has adopted this policy along with other projects, such as the Green Parking Project and building public parking lots. As a result of this series of changes, the number of parking lots in the entire Seoul City increased at the rate of 4.92% per year since 2002, and the number of parking lots in residential areas increased as well at the rate of 4.38% per year. Nevertheless, the fact that parking is still causing serious problems in multiplex and multi-family areas indicates that the policies implemented have limitations in meeting parking deman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more efficiently utilize parking spaces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policies. Since it seems difficult to resolve the parking issues under the existing policies of parking lot expansion, this study seeks to figure out the need for Parking Demand Management that raises the efficiency of parking spaces under the current supply-oriented policies.
To this end, we selected the Yeonnam-dong area in the Mapo Constituency and surveyed the number of houses, parking lots and vehicles. Also, we separated Housing areas from Non-Housing areas to figure out the utility rate of parking spaces during daytime and night.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re were enough parking lots for the number of vehicles and there is no shortage of parking spaces quantitatively.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the Housing areas have greater parking demands at night than during daytime while the Non-Housing areas experienced greater parking demands during the day. From this point, we identified that the reason for the shortage of parking spaces comes from improper reflection of parking demands and supply, not from the definite insufficiency of parking spaces. Also, the survey confirmed that the current parking system is not fit to reflect the user patterns at all.
From the survey results, we have established a plan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parking spaces. Through the concept of parking space exchanges between blocks, we showed the feasibility of this plan by seeking ways to organize parking and pursuing the phased action plan to actually exchange parking spaces. We believe, if we set the Parking Sharing Zone by expanding parking exchanges currently underway and elicit people to parking in these zones, the elasticity of parking spaces could be greatly enhanced even without the expansion of parking spaces. On the basis of this point, we suggest various parking management methods as an alternative solution. This involves classification between ordinary parking and operational parking by parking pattern and classific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by demand and utilization to make proper responses. Finally, to realize this parking space exchanges, we anticipated a Parking Sharing System that can share real time parking information and manage parking by time with IT technologies.
This study began with the critical viewpoint against the existing policy direction towards quantitative supply in responding to parking demands and management. We sought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past viewpoints on the parking issues and show the feasibility of efficient utilization of parking spaces by suggesting parking management methods from a new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surveying the actual parking conditions in the target areas and realizing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s with the phased action pla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24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