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선 추적을 통한 옥외광고물 시각탐색의 과업성능 분석 : An eye movement analysis of perceived outdoor advertising clutte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명환-
dc.contributor.author김하나-
dc.date.accessioned2017-07-14T03:22:38Z-
dc.date.available2017-07-14T03:22:38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513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355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산업공학과, 2012. 8. 윤명환.-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옥외 광고물에 사용된 글자를 인지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에 있어 실제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가로 환경에서 촬영한 사진을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고, 시선 추적 기법을 통하여 옥외광고물 개선사업 전•후 사용자가 인지하는 혼잡도를 분석하였다. 옥외광고물 개선사업이 시각 탐색 과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피험자의 눈의 움직임의 특성의 차이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시선추적기법을 통한 옥외광고물 개선사업 전•후 실제 사진에 대한 탐색 과업 성능을 비교하는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선사업 후 과업에 소요된 시간(Rt)은 짧아졌다. 개선사업 후 응시 횟수(Fc)는 감소하였다. 응시 횟수는 사용자가 탐색해야 하는 자극물의 개수와 관련 있다. 적은 응시 횟수로 탐색 과업을 수행한 결과는 개선 사업 후의 탐색에 걸린 시간은 줄어들고 탐색 효율은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탐색과업에서 과업에 소요된 시간은 목표물을 찾는 시간과 옥외 광고물의 글자를 읽고 정보를 처리하는 시간으로 구성된다. 개선사업 후 응시 지속시간(Fd)은 증가하였다. 이는 탐색 시간은 짧아지고 광고물의 텍스트 정보처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선 사업후의 정보전달 효과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개선사업 이후 시각 탐색 과업에서 주사경로의 길이(SpL)는 짧아 졌으며, 주사경로의 평균 값인 도약 진폭(Sa)역시 짧아졌다. 따라서 옥외광고물 개선사업 이후의 탐색 과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옥외 광고물 개선 사업 후 가로의 입면에서 탐색 과업의 성능은 향상되었으며 사용자가 지각하는 혼잡도는 줄어들었다.
-
dc.description.abstractObjective: In the present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ived outdoor advertisement clutter and visual search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street improvement projects was investigated

Background: To determined the perceived clutter I examined the edge density (Oliva et al, 2004) and the search efficiency as a measure of subjective visual complexity of scenes that were the execution of the improvement project for the outdoor signboard in Seoul, as well as the difference of eye movement pattern. Features of their scanpath with respect to various saccade and fixation parameters were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y behaved with eye movement strategies.

Method: 30 Viewers looked at images of outdoor advertisement as their eye movements were recorded using an infra-red recording technique (Tobii x60) during performance of visual search task. The edge density was measured to be determined for complexity of signboard and precisely quantitatively specified.


Results: The Longer latencies for previous scenes resulted from a greater fixation count and longer scanpath length needed to locate a target. The results indicate quite clearly that perceived visual clutter correlates with search performance in scenes as assessed both by response time and by eye movement metrics.

Conclusion: Eye movements helped corroborate increased visual search efficiency of the new outdoor signboards under visual search tasks. The signboards before the street improvement projects produced more fixations with longer scanpath length, which meant more difficult searching. The longer reaction time indicates less efficient scanning behavior. Fewer, yet longer, fixations were made with the task of after street improvement projects. Shorter scanpaths indicate that the given signboard names were easy to fin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1
1.1.1 옥외광고물 경관 규제 제도와 실태 1
1.1.2 수용자 중심의 광고 효과성 측정 5
1.2 연구 목적 7
1.3 논문의 구성 9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1
2.1 옥외광고물 규제와 관련 이론 11
2.1.1 옥외광고물의 정의 및 개념 11
2.1.2 옥외광고물의 특성 12
2.1.3 옥외광고물의 문제점 13
2.1.4 옥외광고물 개선사업의 한계 18
2.2 시각적 주의(attention)와 관련 이론 21
2.2.1 옥외광고물의 시각적 요소 21
2.2.2 시각적 주의와 광고 효과성 측정 26
2.3.3 선택적 주의 집중과 광고 회피 28
2.3 혼잡(clutter)현상과 관련 이론 30
2.3.1 광고 혼잡(clutter)과 혼잡 지각(perceived clutter) 30
2.3.2 혼잡도 측정에 관련한 선행연구 (Method of evaluating clutter) 32
2.3.3 혼잡도와 탐색 효율 (Search Efficiency) 34
2.4 눈의 움직임에 대한 연구 36
2.4.1 눈의 움직임 37
2.4.2 눈의 움직임에 대한 선행 연구 41
2.4.3 눈의 움직임과 시각 탐색 42
2.4.4 눈의 움직임 측정 척도 (Eye-movement metrics) 46
제 3 장 연구 방법과 범위 56
3.1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56
3.1.1 연구문제의 설정 56
3.1.2 연구 가설 설정 (research hypothesis) 57
3.2 변인의 조작적 정의와 특성(operation of variables) 59
3.2.1 독립 변수 60
3.2.2 종속 변수 63
3.3 실험 절차 및 분석방법 67
3.3.1 피험자 선정 및 실험 개요(participants) 67
3.3.2 실험 장비 및 분석도구 (eye tracking apparatus) 68
3.3.3 실험 순서(task procedure) 70
3.3.4 실험 분석 방법 72

제 4 장 분석 결과 및 논의 74
4.1 가설 검증 74
4.2 옥외 광고물 개선사업 전•후 비교 분석 78
4.2.1 탐색 효율성(Search efficiency) 78
4.2.2 지각 혼잡도(Perceived clutter) 80

제 5 장 결 론 86
5.1 연구결과 요약 86
5.2 연구의 의미 87
5.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제시 88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참고문헌-
dc.description.tableofcontents90-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5678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선추적-
dc.subject탐색효울-
dc.subject지각혼잡-
dc.title시선 추적을 통한 옥외광고물 시각탐색의 과업성능 분석-
dc.title.alternativeAn eye movement analysis of perceived outdoor advertising clutt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na Ki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x,99-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산업공학과-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