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각적 접근과 노출 모델을 통한 범죄발생장소의 시각적 특성에 대한 연구 : An Analysis of the Visaul Characteristics of Crime Locations through Application of the Visual Access and Exposure Mode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재필-
dc.contributor.author정은석-
dc.date.accessioned2017-07-14T03:49:36Z-
dc.date.available2017-07-14T03:49:36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9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00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3. 2. 최재필.-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다양한 형태의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도시건축 분야에서는 늘어나는 범죄 발생에 대해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범죄예방에 기여하고자 해왔다. 그중에서 CPTED라는 것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으로 최근 국내에서는 CPTED학회가 생길만큼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한 가지 주장으로 자연적인 감시의 기능을 높이면 범죄발생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범죄발생은 시각적인 특성과 연관이 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범죄행위가 일어나는 지점들 사이에 공통적인 어떤 시각적 특성이 있다면, 이는 범죄발생예방 차원에서 효율적인 방범에 기여하여 범죄발생건수의 감소나 예방비용의 축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범죄의 특성과 관련한 문헌 및 공간분석도구를 활용한 문헌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연구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VAE 모델이 기존의 도시건축이론에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B시 세 개의 동에서 발생한 절도범죄에 대해 시각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VAE 모델을 토대로 범죄발생지점과 그 외의 지점들을 서로 비교하였는데, VAE 모델을 도시공간에 적용하는 데에 있어 한계점을 찾게 되어, 공간구문론을 통한 새로운 실험 모델을 제안하게 되었다. 모든 실험결과 데이터는 GIS도구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PASW를 이용한 T-Test를 실시하여 결과 데이터간의 유의미성을 찾아보았다.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3개의 동 모두 범죄발생지점에서 공통적인 시각적 특성이 나타났다. 데이터의 유의미성 측면에서는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데이터들의 방향성이 일치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새롭게 제안된 VAE 모델은 이전의 모델에 비해 검증능력이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AE₁모델은 통계적 유의성이 기존 모델과 동일하였고, VAE₂모델은 S동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VAE 모델을 통해 도시건축에서 방어공간의 개념을 시각화하여 실제 범죄발생공간의 시각적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도시설계의 측면에서 그 활용가능성에 있어 한계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VAE 모델을 도시설계에 적용하는 것에 있어 그 가능성을 찾았고, 추후 연구를 통해서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2.1. 연구의 방법
1.2.2. 연구의 절차

제 2 장 범죄의 공간적 분포
2.1. 범죄의 특성과 관련한 문헌 검토
2.1.1. 범죄행동의 원리에 관한 연구
2.1.2. 범행대상의 선택에 관한 이론
2.1.3. 범행지 선택의 기준에 관한 연구
2.2. 공간분석도구를 활용한 문헌 검토
2.2.1. VAE 모델을 이용한 연구
2.2.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연구
2.2.3. GIS를 이용한 연구
2.3. 기존 공간분석도구를 활용한 연구들의 한계
2.4. VAE 모델과 방어공간

제 3 장 VAE 모델을 이용한 범죄발생공간의 분석
3.1. 대상지 선정
3.1.1. K동
3.1.2. S동
3.1.3. B동
3.2. 실험의 설계
3.2.1. 가설의 설정
3.2.2. 실험의 방법
3.3. 실험의 결과
3.3.1 사분할도결과
3.3.2 통계처리결과
3.3.3 소결

제 4 장 VAE 모델의 한계와 범죄발생공간의 새로운 분석
4.1. VAE 모델의 한계점
4.1.1. VAE 모델에서 관측점의 의미
4.1.2. 현실공간에서의 상호 시각량
4.2. 새로운 VAE 모델의 제안
4.2.1. 관측점의 생성 논리
4.2.2. 관측점 간격의 설정 방식
4.3. 실험의 설계
4.3.1. 새로운 VAE 모델의 추가
4.3.2. 가설의 설정
4.3.3. 실험의 방법
4.4. 실험의 결과
4.4.1. VAE₁
4.4.2. VAE₂
4.4.3. 소결

제 5 장 VAE 모델의 도시건축적 의의
5.1. VAE 모델과 도시설계
5.2. 도시설계에서의 활용가능성
5.2.1. 단지계획
5.2.2. CCTV 위치 선정
5.2.3. 순찰경로 설정

제 6 장 결 론
6.1. 연구의 종합
6.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3677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범죄예방-
dc.subjectCPTED-
dc.subject시각적 접근과 노출이론-
dc.subject공간구문론-
dc.subject.ddc690-
dc.title시각적 접근과 노출 모델을 통한 범죄발생장소의 시각적 특성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the Visaul Characteristics of Crime Locations through Application of the Visual Access and Exposure Model-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eong, Eunseok-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 84-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