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 속성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영

Advisor
최재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내부가로동선체계복합 상업시설공간구문론백화점디큐브 시티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3. 2. 최재필.
Abstract
인간의 소비욕구가 폭넓고 다양해지면서 소비 공간 역시 단순히 상품을 사고파는 기능을 넘어 복합적이고 다의적인 양상을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판매와 문화, 여가활동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복합 상업시설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대형화·복합화된 복합 상업시설 내부에는 도시에서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등장하였고 사람들은 도시를 이용하는 것처럼 건축물 내부를 거닐면서 복합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는 도시에서의 공공가로 역할을 건축내부의 가로가 수행하게 되면서 현대도시의 가로가 건축내부에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복합 상업시설에 대한 연구의 경향은 전반적인 계획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엔터테인먼트 요소 도입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복합 상업시설과 도시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연구나 설문조사를 통한 정성적 연구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실제 사례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구체적인 복합 상업시설의 속성을 도출해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도시 환경요소를 적용한 분석항목으로 각 사례를 비교분석하였고 문헌조사와 행태조사 뿐만 아니라 축선도 분석과 V-ERAM 과 같은 공간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사례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흐름은 크게 세 가지로, 먼저 '상업시설 내부가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상업공간의 변천사와 선행연구 등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신세계 백화점과 디큐브 시티를 비교분석 대상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례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백화점과 비교되는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 속성을 도출하였다.
현대의 복합 상업시설은 상업가로를 활성화하여 기능성과 효율성에 기초해 계획되는 획일적인 형태에서 탈피하여 소비자의 체험을 풍부하게 하고 소비심리를 촉진할 수 있도록 계획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상업시설의 내부가로를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본 연구에서는 내부가로(Internal street)를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동장소로 기능하는 건축물의 가로로써 건축의 공간구조와 형태를 결정하는 요소로 사회적 행위가 유발되는 건축 공용공간으로 정의하였다.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로가 가지는 속성을 밝혀내기 위해서 케빈 린치가 주장한 5가지의 도시 환경 이미지를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통로(Path), 랜드마크(Landmark), 경계(Edge), 결절점(Node), 구역(District)을 건축적 관점으로 적용하여 수직·수평의 동선체계, 상징조형물 및 키테넌트 계획, 지하철 연결 방식 및 출입구 계획, 중심공간계획, 용도 구성 및 세부상점계획이라는 분석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도출한 복합 상업시설 내부가로의 속성은 연속된 경계, 주동선의 중심성과 수평동선의 강조, 비정형의 분산된 중심공간계획, 복합화된 용도 사이의 전개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는 지상과 지하,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계시켜 도시가로를 연장한다. 건물 내부의 오픈 스페이스와 외부 상점을 통해 내부가로는 내외부의 관계를 재편하고 도시와의 연속성을 확보한다. 둘째,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는 주통로와 부통로의 위계를 명확하게 하고 주통로를 시설의 중심공간으로 만든다. 특히 시설 내부에서는 비연속식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하여 순환하는 수평가로가 강조되고 폭이 넓은 주통로 상에서 휴식과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도록 복합적으로 계획한다. 셋째,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는 분산 배치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오픈 스페이스와 결합하여 고객의 시각적 경험을 다양하게 하고 단조로운 보행환경에 활기를 부여한다. 이러한 경험은 고객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장
방형의 중정과 같은 방향으로 조성된 내부가로는 방향감각을 불러일으킨다. 마지막으로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는 복합화된 용도 사이를 흐르면서 일반 상업시설 내에 조성되는 복도와 달리 수직∙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판매시설 외의 장소를 경험하게 만든다. 호텔이나 오피스, 갤러리, 영화관, 서점 등의 다양한 테넌트를 결합하는 용도의 복합은 도시에 분산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하나로 결합하여 시설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도시가로가 내부가로로 치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도시가로가 사람이 통행하는 거리의 개념을 넘어 도시 공간의 일부로, 걷는다는 동적인 행태와 정적인 건물 구조물과의 관계에서 유발되는 상호 복합화된 실체라 볼 수 있듯이 도심형의 복합 상업시설에서 조성되는 내부가로는 매장 사이를 분할하는 통로를 넘어서는 시설의 중심공간으로 쇼핑이라는 행위가, 순환하는 동적 가로와 정적인 상점들과의 관계에서 유발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 복합화된 실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백화점과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과 정의를 충족하는 사례를 선정하여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구체적인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건축물 내부가로의 특징과 유형을 분류할 때 프로그램에 따른 내부가로의 구현 양상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인 진행을 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에 초점을 맞추어 상업시설과 도시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그러나 내부가로가 나타나는 다양한 복합 상업시설 중에서 국내의 도심 입체연계형 복합 상업시설인 디큐브 시티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유형의 복합 상업시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s the human desire for consumption widens and diversifies, the space for consumption is also representing complex and polysemantic patterns beyond a simple function of buying and selling goods. Such a phenomenon is well exhibited at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that include various programs such as sales,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Inside such enlarged-scale and multi-use commercial complexes, various programs such as those in a city have emerged, and people have increasingly used complex programs while walking inside those buildings as if they were using a city. This can be viewed as the reflection of the streets of modern cities in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s as the streets inside the buildings play the role of streets in a city. Research trends in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mostly revolve around the introduction of entertainment elements with a focus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planning.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and cities remain at qualitative studies through theoretical stud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r survey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concrete attribute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by conducting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study with regard to actual cases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research flow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ly, a theoretical review on 'the internal streets of commercial complexes' was made by exploring the historic transition of commercial spaces and precedent studies. Secondly, a case analysis was performed by selecting the objects of comparative analysis. Finally,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attributes of the internal street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that are comparable to department stores were derived.
By activating commercial streets, modern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are mov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standardized pattern of planning based on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to a new pattern of enriching consumer experiences and boosting consumer confidence. To this end, the creation of internal streets in such commercial complexes is essential so as to offer customers various experiences. In this study, internal streets were defined as "the streets that create movements and function as the place of transfer, and an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patial structure and shape of an architecture, and thereby a public architectural space in which social behaviors arise."
In the present study, to identify the attributes of the streets formed inside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five urban environmental images claimed by Kevin Lynch were used as analysis tools. By applying path, landmark, edge. node, district from an architectural viewpoint, certain analysis elements were derived, including vertical and horizontal circulation systems, the planning of symbolic sculptures and key tenants, the planning of subway connection modes and entrances, the planning of central open space, and the planning of usage composition and detailed stores.
The attributes of the internal street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drawn from the case analysis can be summarized into connected boundaries, an emphasis on the centrality of main circulation and horizontal circulation, atypical and dispersed central space planning, and the development between complex usages.

Firstly, the internal street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extend city streets via aboveground and underground connections and the buildings' interior and exterior connections. By using a building's open space and external st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ding's interior and exterior is reorganized and its connection with the city is secured.
Secondly, the inner street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clarify the hierarchy of primary and secondary passages and make the primary passage as a central open space. In particular, a facility's interior is designed in a complex manner that uses disconnected escalators so as to emphasize circulating horizontal streets and creates rest and events on a spacious main passage.
Thirdly, the internal street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diversify customers' visual experiences and bring new life into a monotonous pedestrian environment by combining themselves with dispersed open spac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experiences give rise to the effects of extending the residence time of customers, and internal stree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a rectangular courtyard stimulate a sense of direction.
Finally, unlike the corridors created within general commercial facilities, the internal street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hile flowing between complex usages, which, in turn, allows customers to experience places other than sales facilities.
In other words, the internal streets created within an urban mixed-use commercial complex are the facility's central space which goes beyond the passages that sectionalize stores. The streets may also be a mutually complex existence in which the behavior of shopping can be cau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circulating and dynamic streets and static stores.
The present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conducting a concrete comparative analysis utilizing the space syntax theory by selecting the cases that satisfied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epartment stores and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However, given that this study's focus was limited to D-Cube City, which is the country's urban mixed-use commercial complex among various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that exhibit internal streets, further research on various types of mixed-use commercial complexes is considered necessary to generalize the present study finding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0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