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 등산로 초입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ountain trail entrance space of Metropolis ~ Based on Uidong, Wonjidong, Jinguandong a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세철

Advisor
김승회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등산여가등산로 초입 공간여가공간도시계획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3. 8. 김승회.
Abstract
현재 대한민국은 등산객·등산복의 물결 속에 살고 있다. 대중교통은 등산객으로 가득하고, 등산로 초입은 등산객과 차량들, 노점들로 북적거린다. 본 연구는 이런 현실의 변화에 주목하고, 등산의 파급효과가 도시를 변화시키는 힘으로 작용할 때, 도시공간은 행위를 어떻게 수용하는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도시계획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집중하였다. 이 물음은 여가의 양상과 의미를 규명하고 여가공간의 실재를 파악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등산로 초입 공간은 등산인구의 집적으로 인해 새롭게 탄생되는 도시공간이다. 먼저, 본 연구는 등산로 초입 공간의 개념 정립을 위해서, 도시, 여가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등산로에 대한 선행연구 및 등산로의 현황 고찰을 하였다. 또한 이를 근거로 등산로 초입을 이라는 용어에 대해 등산 과정에서 본격적인 자연 탐방 행위 이전과 이후의 활동이 일어나는 도시 공간으로 정의하였다. 도시공간으로서의 등산로 초입에 대한 연구는 도시적 현황에 대한 광역적 분석과 도시 형태론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대상지는 북한산 우이동기점, 진관동기점, 청계산 원지동기점으로 선정하였다. 도시 형태 분석은 이 세 지역에 대해 도시조직을 구성하는 요소별로 시간적인 변화를 관찰하여, 요소 사이의 관계를 살펴 봄으로써 각각 대상지의 도시조직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대상지 서로 간의 비교뿐만이 아닌, 기존의 시각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도시 등산로 초입 공간의 범위와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로써 등산로 초입 공간을 포함한 도시 여가공간 계획과 도시계획의 단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등산로 초입 공간이란, 하나의 점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아닌 복합적인 활동을 수용하는 중심가로라는 점, 또한 등산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곳에 한정된 것이 아닌 교통 인프라를 따라 인프라의 결절점에 형성되는 도시공간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곳의 건축행위들이 가설건축과 같은 건축요소로 필지를 최대로 점유하여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모두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등산로 초입 공간은 가로 위계를 조정하여 지역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중심가로 범위 설정을 위해서는 시작점을 분명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통 인프라를 따라 도시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역이 협소한 경우 적절한 버스노선을 통해 공간을 분산시키는 방향으로 도시계획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등산로 초입 공간을 인식하는 것은 등산로 초입 공간이 도시 여가공간 계획에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현재의 도심 여가공간이 가지고 있는 문제인 도시적 불연속성은, 등산로 초입 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내·외부 공간이 만들어내는 가로 연속성을 고려하여, 가로변 건축물의 외부공간계획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등산로 초입에서 일부 관찰되는 상업 프로그램의 다층화는 도시의 용도 계획 시 고려해야 할 변화를 예측 가능하게 하는 사항으로서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Now Korea is in the wave of mountain-climbing people in outdoor suits. Public transportations are full of mountain climbers and mountain trail entrances are crowded with people, cars, and flea markets. As a factor that causes a change of urban space, the study has a focus on this wave of change, how the impact of mountain climbing is accommodated by urban space, and how an urban planning should be considered in certain situation. This question l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appearance and meaning of leisure and to the research of an existence of leisure space.
The object of this study, mountain trail entrance, is a new space that appeared by highly accumulated people of mountain climbing. First, to define the exact concept of mountain trail entrance space, considerations about theories has been done which shows the relation between metropolis and green space and leisure.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term mountain trail entrance has been defined as a space wher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limbing, take place in. The study of mountain trail entrance as an urban space has been proceeded with analysing about urban situation of the site and using theory of analysing urban form based on Uidong, Jinguandong area of mountain Bukhan, and Wonjidong area of moutain Cheonggye. Analysis on urban form has been done by observing the change in components which form urban fabric of the 3 areas. And character of the 3 areas has been drawn to a conclusion by observing the realtions of these components. A comparison of not only the 3 areas but also of the existing perspective have led to a clear definition and an exact scope of mountain trail entrance space. From this, a clue for urban planning, for leisure space including mountain trail entrance, has been suggested.
The study emphasizes mountain trail space not as a space that appears as a dot in a city but as a space of a street which accommodates multiple activities, and a space which is not limited to a place around mountain trail but follows urba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node. Architectural activities in those areas, which provides various inner and outer-space, appears with fully occuping a plot by using temporary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xact strating point of a main street because a mountain trail enterance space can be controled by adjusting the hierarchy of the street. Because this space appears with node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urban planning can be done by distributing the mountain trail entrance space by adjusting a bus line.
This study insists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mountain trail entrance area as an important factor of urban planning about leisure space. A problem of urban discontinuity, which present leisure space has, can be solved by planning open space of a plot that consists main street, like urban continuity made by a variety of inner and outer-space appears in mountain trail entrance space.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multilayerising of urban program which is observed in mountain trail entrance spac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urban planning.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0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