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동과 그 계획의 재현과 반복: 장소의 기술적 구조에 대한 비판적 연구 : Representation and Repetition of Myeongdong and its Planning: A Critical Study on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the Concept Pla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한찬

Advisor
김승회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장소재현기술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6. 8. 김승회.
Abstract
(1) 건축에 관한 사유, 담론은 재현적인 본성을 지닌 기술이다. 이 때 그 바탕을 이루는 것은 동일성이라는 형식이다. 그런데 한편 관계 맺기의 도구적인 역할로서 그쳐야 할 형식은 사후적인 틀을 넘어서 어떤 개념, 사태 자체를 재단하고 규정하기에 이른다. 이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장소개념이 있다.
(2) 상업지역은 가장 현대적인 의미의 도시 장소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상업이라는 행위가 현대에 이르러 가장 근본적으로 제도화된 관계라는 데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우리는 장소로서 상업지역들을 관리하고 계획하려고 한다. 하지만 기존 장소개념의 재현적인 속성과 동일성바탕의 형식은 상업 장소에 대한 지속성 있는 계획을 어렵게 한다. 단적으로 동일성 형식에서의 시간적 지속[본질적 태도]과 복수자複數者 속의 동일성[공통점]의 강조는, 상업의 속성상 지역이 따라야 할 시류에 맞춘 변화와 지역 내 각 개별 점포간의 차별성을 무색케 한다. 동일성에 대한 다시쓰기가 필요하다.
(3) 이때 기술이라는 피할 수 없는 재현 안에서도 동일성 형식의 고착화를 넘을 수 있는 쓰기 방법을 탐구 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탐구의 대표적인 저작은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이다. 여기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것, 일반적인 것으로 포착 하는 사태들은 해체되고, 그 재현이전 본연의 실증적인 차이를 바탕으로 한 역동성, 반복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반복으로의 다시쓰기.
실증적인 차이는 재현적인 쓰기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존재성[강조], 차이로 동일성 형식에 저항한다. 이 때 어떤 기계적 반복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차이나는 것을 동일한 것으로 묶어두고자 하는 재현의 봉쇄들로 인해 나타난다. 2가지 봉쇄: 상대적 봉쇄와 자연적 봉쇄. 그리고 다시, 자연적 봉쇄를 이루는 명목적 개념, 자유의 개념, 자연의 개념. 이들 기계적 반복은 결과적으로 바깥의 대상, 사태에 있어서의 외연의 규정과 내포적 속성으로서 술어들의 짝짓기에서의 발산과 수렴의 문제로 요약된다.
(4) 명동은 서울의 대표적인 상업 장소다. 100년에 가까운 오랜 시간동안 명동은 서울의 대표 격 상업 장소로서의 위상을 유지 해 왔다. 이 때 명동이라는 장소에 대한 선행적인 탐구는 그 안에서 변하지 않은 것들에 집중한다. 곧, 동일성 형식의 전제에 의해 어떤 도시지역의 장소로서 정체성은 변하지 않은 것에 내지는 지역 내의 물리적 요소들이 최대한 공유하는 것들에 있다는 것이다. 이때 선행의 연구들이 주목하게 되는 것은 결국 변하지 않은 듯 보이는 필지의 구획과 가로, 건물들이 공유하는 듯 보이는 세장한 입면 등이다. 하지만 과연 명동은 변하지 않았음에 방점이 찍히는 공간일까? 도리어 이상 하리 만치 변하지 않은 듯 보이는, 일반적으로 정체성으로 포착되는 이면에는 어떤 사건이 있는 것일까? 변하지 않고 무언가를 지켜왔다 말하는 중에도 꾸준히 제기되는 명동의 위기는 어디서 비롯하는 것인가?
(5) 본 논문은 여기서 명동지역의 재현적인 기술들[도시계획]에 대한 반복으로의 다시쓰기, 분석을 시도한다. (1952년), (1983년), (2006년, 2015년). 이들 계획안의 재현은 결과적으로 어떤 반복의 형태로 나타날 것이며, 또한 이들 계획을 바탕으로 한 명동의 다시쓰기는 장소 명동은 연쇄적인 다시쓰기와 반복으로 지금까지 왔음을, 장소 명동의 역량, 동인의 바탕을 이루는 것은 이 같은 반복과 그 기저의 차이-화임이, 명동의 위기라 할 것은 이런 차이-화가 결과적으로 다음단계의 변화폭의 가능성을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임이 밝혀질 것이다.
(6) 명동에서 실현된 도시계획은 (1952년), (1983년), (2006년, 2015년)의 세가지다. 이들 세 계획들은 명확한 재현의 의도를 띠고 있다. 의 경우 전후의 복구로서, 의 경우 재개발에 반대하여 과거의 영화를 복원하고 지역을 보존하기 위한 욕구에서, 마지막으로 의 경우 도심부의 특성을 보존하겠다는 큰 틀의 기획안에서의 하나로서 재현의 목적을 띤다.
그런데 이들 각 계획안에서 재현하고자 포착하는 것들은 그 기획과는 달리 명동지역의 어떤 본질적인 것, 동일성을 유지해 온 어떤 것이 아니다. 의 경우 기존의 가로와 필지체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가로의 확 폭과 직선화의 변화만을 주었으나, 이들 차이는 결과적으로 기존의 충무로길과 명동길 사이의 이면 가로들의 위계를 흩트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모양 상 동일하나 실제로는 과거의 선적인 형상을 면적으로 펼치며 기존의 체계에서 차이-화를 낳았다. 재현을 위장한 차이-화. 그리고 두 번째 의 경우 재현은 가로체계의 보존과 건물의 보존 둘로 요약된다. 시범상가 조성계획의 기점이 된 78년의 재개발안의 경우 토지의 합필과 대규모 건축 그리고 대지안의 공지 확보가 안의 줄기를 이룬다. 이 안과 시범상가 계획과의 가장 큰 차이는 가로망의 강조다. 상가의 세장형의 입면의 연속적인 파사드와 공지간격을 거의 두지 않는, 지역 내에 공적인 영역이 있다면 그것은 기존 가로체계의 드러냄이다. 그런데 이 재현하고자 한 가로망은 실은 명동의 지속적인 틀이었던 것이 아닌 바로 직전의 계획, 52년의 에 따른 결과이다. 또한 이 때 가로망의 강조는 그 이외 각 개별 상점의 통일화를 수반하게 되는데, 이시기 현재 명동형 입면이라고 불리는 상점 입면의 통일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는 다시 어떤 정체성으로 에서의 재현 대상으로 등장한다.
결론적으로 명동에 있었던 3기의 계획은 재현적인 의도를 품고 있었으며, 그러나 그것이 명동의 정체성으로 잡아낸 것들은 어떤 본질적인 층위에 위치한 것이 아닌 직전의 계획안의 결과들 이었다. 즉, 명동의 정체성은 각 3기에 있어서 연쇄적인 반복의 순간적 단면이었던 것이다. 이들 단면은 동일성의 형식이 아닌 위장과 반복의 측면으로 읽어낼 때 사태의 본성에 접근케 한다. 정체성에 대한 오해에 따른 반복. 또한 이들 반복에서 드러나는 것은 명동의 외연이 점차적으로 현재의 슈퍼블록으로 한정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그 내포로서 내부의 각 가로와 상점들은 균질화를 거쳐, 점차로 변화의 동력, 차이-화의 힘을 잃어가는 과정을 거쳤다는 것이다.
(7) 명동에서 동일성 형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다시쓰기를 시도한다. 그러나 기술이 재현인 이상 이는 직접적인 기술, 지시로는 얻어질 수 없다.
이 때 다시쓰기의 첫째 방법은 외연으로 부터의 지시denoting다. 재현에 따른 기계적인 반복이 외연의 설정과 외연 내부의 내포적 술어들로 인한 것이고, 어떤 재현-기획에서 외연의 설정이 필연적인 것이라면, 외연의 설정과 그 바깥으로부터의 기술은 외연 내부의 무한infinite했던 속성을 고착화[한정限定] 시키지 않는 형태로 재현하는 것을 가능케 할 것이다.
바깥으로부터의 기술, 이로써 드러나는 명동은 이면의 가로라는 바깥으로부터의 정체성으로서 드러난다. 일제 강점기의 형성기 시점에서의 남대문로의 대로의 이면으로서 본정[충무로길], 황금정[을지로]의 영업지구 이면의 먹자골목으로서의 명동1가, 1952~1983년 시기, 신세계백화점의 미군PX의 이면으로서 달러골목과 명동길의 부흥, 중국대사관의 이면으로서 명동4길, 중앙로의 양장점과 고급상점 그리고 이면의 먹자골목 등. 명동의 정체성이라고 불리운 것을 유지한 지역은 늘 그 직접적인 제시가 아닌 바깥으로서, 어떤 이면으로서의 지역 이었다.
사면의 대로와 내부의 균질화, 차 없는 거리의 시행까지 완전히 슈퍼블록화 된 명동, 명동의 위기는 자신의 바깥을 잃어버림에서 비롯한다.
(8) 다른 한편의 차이-화. 『차이와 반복』에서 들뢰즈는 차이-화의 힘으로 위장과 전치를 제시한다. 그는 연극적인 상황을 예로 들면서 각 배역을 맡은 배우들의 무지를 연기하는 앎에 대해 말한다. 의식적인 가면. 다르지만 같음을 연기하는 가면. 다방으로부터 이어지는 명동의 머무를 수 있는 실내공간과 소위 명동형形 입면을 연기하는 리모델링은 이 같은 위장의 예시다. 이들이 제시하는 반복과 차이-화.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1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