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환자 생존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의 실태와 관련요인 :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Post-Intensive Care Syndrome(PICS) of Intensive Care Survivo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승완-
dc.contributor.author전지혜-
dc.date.accessioned2017-07-14T05:30:32Z-
dc.date.available2017-07-14T05:30:32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02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88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7. 2. 강승완.-
dc.description.abstract집중치료 후 증후군(Post Intensive Care Syndrome: PICS)'은 중증 질환이나 급성 입원 치료 후 나타나는 복합적인 증상으로서 이전보다 악화되거나 새로 생겨난 건강 문제로 크게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증상으로 나뉜다.
본 연구는 중환자 생존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의 실태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관련 의료진 및 건강관련 종사자, 중환자 생존자에게 집중치료 후 증후군에 대해 인식하게 하고 예방과 치료의 중요성을 알려 중환자실 생존자의 삶의 질을 위해 장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서울 시내 일개 대학병원의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집중치료 후 증후군 측정을 위해 신체적 기능(K-ADL), 인지적 기능(MMSE-K), 정신적 기능(HADS, IES-R-K)의 구조화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 생존자 중 89명(85.6%)이 집중치료 후 증후군에 해당하였고, 이들은 본 연구에서 측정한 5개의 증상 중 평균 2개의 증상을 경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ICS 증상 중 인지적 · 신체적 문제에 비해 정신적 문제(불안, 우울, PTSD)가 많이 발생하였다.

2. K-ADL로 측정한 신체기능장애가 있는 대상자는 28명(26.9%), MMSE-K로 측정한 인지기능장애가 의심되거나 인지기능장애가 있는 대상자는 30명(28.9%)이었다. HADS로 측정한 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대상자는 총 36명(34.7%), 우울 증상을 호소하는 대상자는 총 75명(72.1%)이었다. IES-R-K로 측정한 PTSD를 호 소하는 대상자는 총 38명(36.5%)이었다.

3. 신체적 · 인지적 · 정신적 증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대상자의 질병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기능은 패혈증 (p=.047), 중환자실 재원 일수(p=.020), 승압제(p=.031)에서, 인지기능은 질병중증도(p<.001), 중환자실 입 · 퇴실 시 의식수준(p=.045, p<.001)에서, 불안은 패혈증(p=.042), 우울은 지속적 인슐린(p=.002),스테로이드 치료(p=.004), PTSD는 중환자실 입실 횟수(p=.01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PIC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테로이드 치료(p<.001), 질병중증도(p=.010), 성별(p=.011), 지속적 인슐린 치료(p=.022)였으며 이 변수들은 PICS를 33.7%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스테로이드와 지속적 인슐린 치료는 PICS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증도가 높을수록, 남자보다 여자가 PICS의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PICS의 실태를 파악한 연구가 드물기에 지역사회, 병원,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 있는 중환자 생존자를 대상으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중환자 의료진은 중환자 생존자가 더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도록 PICS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PICS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중환자실, 중환자 생존자, 집중치료 후 증후군
학 번: 2015-20552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용어 정의 4
II. 문헌고찰 6
1. 중환자실 환자의 경험 6
2. 집중치료 후 증후군 9
III. 연구의 이론적 기틀 18
1. 나이팅게일 환경이론 18
2.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 19
IV. 연구 방법 21
1. 연구 설계 21
2. 연구 대상 및 기간 21
3. 연구 도구 22
4.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26
5. 자료 분석 방법 26
6. 윤리적 고려 27
7. 연구의 제한점 28
V. 연구결과 29
1. 대상자 특성 29
2. 집중치료 후 증후군 40
3. 질병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기능, 불안, 우울, PTSD, 인지기능 43
4. 대상자 특성에 따른 집중치료 후 증후군 48
5. 집중치료 후 증후군 증상 간의 상관관계 55
6. 집중치료 후 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7
VI. 논 의 59
1. 집중치료 후 증후군의 실태 59
2. 집중치료 후 증후군의 관련요인 62
VII. 결론 및 제언 66
1. 결 론 66
2. 제 언 68
참고문헌 69
부 록 81
Abstract 9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6318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집중치료 후 증후군-
dc.subject중환자실-
dc.subject중환자 생존자-
dc.subject.ddc610-
dc.title중환자 생존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의 실태와 관련요인-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Post-Intensive Care Syndrome(PICS) of Intensive Care Survivor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ii,95-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