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의회복환경에서 본 행태의 장에 관한 연구: 서울 청계천을 중심으로 : Behavior Settings Study based on Attention Restoration Environment Perspectives: A Case of Study of Cheonggyecheon in Seou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종상-
dc.contributor.author김무한-
dc.date.accessioned2017-07-14T05:36:21Z-
dc.date.available2017-07-14T05:36:21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502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973-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협동과정 조경학, 2015. 2. 성종상.-
dc.description.abstract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가능한 최대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의 상태를 말한다. (이는 단순히 장기적인 질환이나 각종 질병이 없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런 관점에서 건강 증진을 위한 도시오픈스페이스 환경을 고민한다면 적어도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을 목표로 최상의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비록 건강이라는 주제가 일반적인 개념이지만, 물리적인 환경을 다루는 조경 설계가들에게는 추상적이며 어려운 내용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를 해야 한다. 첫째, 과연 치유와 회복과 같은 내용들이 도시 속 인공 자연을 통해 얼마나 만족되는지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둘째, 건강 환경을 조성하고 설계하는 이들을 위한 그들의 언어와 방식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다. 즉 단면이나 평면 혹은 스케치들로 논의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청계천 주요 구간을 대상으로 주의회복(Attention Restoration) 효과와 공간 유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계천의 주의회복환경(Attention Restoration Environment) 효용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둘째, 그 효용에 사람과 환경이 어떤 관계 속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하고자 한다. 셋째, 세부 공간 유형별 주의회복환경 효용에 대한 차이와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주의회복환경의 물리적 공간의 특징과 유형들을 분류·제시함으로써 향후 공간 설계 등에 유용한 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정적인 행위가 발생하는 지점들의 분포와 공간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관찰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수집된 데이터의 코딩 그리고 행태 지도를 활용하였다. 둘째, 설문을 진행하였는데, 설문 내용으로 연구 대상지 전체의 주의회복환경 정도를 묻기 위한 PRS(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의 문항들, 응답자들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개인 정보 수집, 환경 인식범위를 확인하기 위한 지도 작성,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는 ZIPERS(Zuckerman Inventory of Personal Reaction Scale)의 문항들을 활용하였다. 셋째, 정적인 행위를 대표하는 앉는 행위가 발생하는 행태의 장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경관들을 논의하기 위해 스케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계천 조사 구간의 평균 PRS는 6.12로 도출되었다. 이는 선행 연구를 기준으로 옥상 정원이나 언덕 그리고 정원에 비해서는 높은 수치이고, 자연호수가 주는 주의회복효용 정도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둘째, 개인 정보에 따라 PRS의 차이가 유발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로 이용 횟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 정보에 따른 ZIPERS의 차이가 유발되는지도 확인하였는데 환경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반응이 결정되는 적정 이용 횟수가 있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동행인 수에 따라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이 낮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공간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각 5개 공간 유형별로 ANOVA분석과 넓이에 따른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쪽 경계부와 같은 소규모 공간 유형이 PRS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지점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경관들을 스케치한 뒤 정성적인 분석을 통해 시각적인 경관의 차이에 대해 논함으로써 구체적인 내용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들에 따라 주의회복환경 조성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 방법과 접근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밝혀내지 못했던 주의회복환경의 영향 요인들과 구체적인 공간 유형들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주의회복환경 조성과 그를 위한 관리 및 정책 등에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겠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01
2. 연구 범위 및 과정 05
1) 공간 및 시간적 범위 05
2) 내용적 범위 06
3) 연구 과정 07
3. 연구 구성 09
Ⅱ. 행태의 장과 주의회복환경
1. 도시공원과 주의회복이론 10
1) 도시공원의 건강효용 10
2) 청계천의 건강효용 12
3) 주의회복이론 13
4) 주의회복환경 환경 단위 15
2. 도시공원에서의 행태의 장 17
1) 행태의 장 이론 17
2) 행태의 장 이론의 설명범위 18
3) 도시공원에서의 행태의 장 19
3. 주의회복환경으로서의 행태의 장 23
Ⅲ. 연구방법
1. 개요 26
2. 행태의 장 도출 28
1) 점유지점 정보 수집 28
2) 공간 유형 분류 32
3. 설문 35
1) PR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35
2) ZIPERS (Zuckerman Inventory of Personal Reaction Scale) 38
3) 기타 설문 문항과 진행 39
4. 스케치 41
5. 소결 41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 행태의 장 42
1) 서있는 행위자들의 행태의 장 42
2) 앉아 있는 행위자들의 행태의 장 46
2. 주의회복환경 설명 내용 52
1) 설문 응답자 정보 52
2) PRS의 요인 54
3) ZIPERS의 요인 58
4) PRS와 ZIPERS 61
5) 환경인식범위와 PRS 64
3. 주의회복환경과 이용자 특성과의 관계 66
1) 설문응답자 정보에 따른 PRS 66
2) 설문응답자 정보에 따른 ZIPERS 69
4. 청계천의 주의회복환경 평가 71
1) 청계천의 PRS 71
2) 공간 유형별 PRS와 ZIPERS 73
3) 행태의 장의 유형별 넓이와 PRS 78
5. 주의회복환경의 유형별 경관 80
1) 안쪽 경계부 80
2) 인공수변 82
3) 자연수변 83
4) 디딤돌 주변 84
5) 교량하부 86
6) 주의회복 경관의 유형별 차이 88
6. 주의회복환경 조성을 위한 제언 90
V.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92
2. 연구의 한계 및 의의 94
3. 향후 연구 95
부록
부록 1. 환경-행태 연구의 방향 96
부록 2. 관찰 방법론 101
부록 3. 공간 유형별 추가 PRS 설문 108
부록 4. 선행연구에 나타난 PRS 문항 112
부록 5. 설문지 문항 117
인용문헌
본문. 123
부록. 133
Abstract 13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88870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건강 환경 설계-
dc.subject스트레스 저감 환경-
dc.subject주의 회복 환경-
dc.subject주의회복이론-
dc.subject행태의 장-
dc.subject행태 지도-
dc.subjectPRS(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dc.subjectZIPERS(Zuckerman Inventory of Personal Reaction)-
dc.subject.ddc712-
dc.title주의회복환경에서 본 행태의 장에 관한 연구: 서울 청계천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Behavior Settings Study based on Attention Restoration Environment Perspectives: A Case of Study of Cheonggyecheon in Seoul-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viii, 139-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