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등미술교사의 경험으로 본 임용시험제도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한울

Advisor
김형숙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술 교사신규임용제도임용시험타당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2013. 8. 김형숙.
Abstract
초 록


본 논문은 중등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임용시험)에 관한 연구로서 미술교사 신규임용제도를 분석하고 현직 미술교사의 임용시험에 관한 경험과 견해를 토대로 미술교사 양성과 선발과정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즉, 미술교사가 되기 이전에 겪은 교사양성과정과 선발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임용시험의 실태에 대해 서술하고 특히 신규임용제도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그에 따른 보완점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 신규임용제도의 변천과정과 선발현황은 어떠한가? 신규임용제도의 양상을 알아보고 현재 신규임용제도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한다. 둘째, 중등 미술과 신규임용제도의 절차와 미술교사 자격기준은 어떠한가? 국내와 국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미술과 신규임용제도에 대한 현황파악을 한다. 셋째, 미술교사들의 신규임용제도에 대한 요구 및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실제 신규임용제도를 경험한 미술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신규임용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미술교사의 임용시험에 관한 경험 조사는 미술교사 3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양성과 임용시험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미술교사 5인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임용시험에 관한 심도 있는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녹취된 심층면담 자료는 전사하여 의미를 찾고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사의 양성과 선발의 수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과도한 경쟁은 개인적, 사회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양성단계에서 무시험검정을 강화하고 장기적인 수급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임용시험과 현장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현장과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서 임용시험에서 실천적 교수능력 평가를 강화하고 실기시험 유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수업실연과 면접평가에서 세분화된 평가도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중앙집권적으로 경직된 임용제도는 획일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미술교과의 특성을 살린 임용시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발방식을 다원화하고 포트폴리오 평가방식의 도입을 제안한다.
기존의 미술과 임용시험에 관한 연구에서 미술교사들의 경험과 견해를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러므로 실제 임용시험과 학교현장을 경험한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신규임용제도를 분석한 것은 미술교사 신규임용제도의 실질적인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신규임용제도의 현안을 파악하고 학교현장과 임용시험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개선안을 도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n analysis of the teacher appointment system based on the experience of secondary art teachers

Hanwoul Choi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r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research. It analyzes the appointment system for new art teachers and it aims to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in current training and selection system based on the experience and opinion of those who have taken the examination. Thus, this thesis describes the current training and selection system in details to particularly shine a light on existing problems and the measures to improv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has the examination change over the years and what is the current status? To answer this, the current trend and historical context were studied. Second, what is the appointment process and what are the criteria? To answer this, both domestic and overseas cases served as a basis to expose the current status of art teacher appointment system. Third, in regards to the appointment examination, what are the needs and improvement measures posed by art teachers? To answer this, issues of the current teacher appointment system were identified by the art teachers who have taken the examination themselves.
Thirty-four (34) art teachers were surveyed in regards to their experience in training and appointment examination. Also, five (5) teachers participated in in-depth discussion to provide their opinion on the current appointment examination. The collected survey result went through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The recorded in-depth discussion was transcribed and analysis per topic follow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First, the imbalanced supply and demand of art teachers created hyper-competition which causes both individual and societal damage. Therefore, license without examination should be promoted long-term supply and demand strategy is necessary. Second, the appointment examination does not reflect the field. In order to address this, evaluation of practical teaching skills should be promoted further and the necessary evaluation method needs to be researched. Detailed evaluation tool is needed for both teaching demo and interview evaluation. Third, the centralized appointment system bears the risk of conformity. Research on art teacher-specific appointment examination is necessary. To do so, I propose diversifying the selection method and introducing portfolio-based evaluation method.
Previous research on ar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left behind the analysis of experience and opinion of current art teachers. Therefore, research that subjects art teachers who have first-handedly experienced the training and appointment examination can rightly address the validity of the appointment system. Thus,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is research is present in the fact that it assess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ystem, and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relevance between the appointment examination and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Keyword: Art teacher, Teacher appointment system,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Validity
Student ID: 2010-2355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2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