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포우』: J. M. 쿳시의 자기성찰적 글쓰기 : J. M. Coetzee's Self-reflective Writing in Fo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주희

Advisor
민병천
Major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J. M. 쿳시『포우』자기성찰성해체주의메타픽션침묵의 알레고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15. 7. 민병천.
Abstract
본 논문은 J. M. 쿳시의 『포우』에서 작가의 자기성찰적 글쓰기 방식을 분석하고 작가의 자기성찰성이 작가의 탈식민주의 비판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고찰한다. 20세기 중반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권하에서 흑인에 대한 백인의 폭력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인종차별이 이루어졌던 현실 속에서 대부분의 아프리카 작가들이 사실주의를 통해 탈식민주의를 논하였던 것과 달리 쿳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학적 경향을 수용하면서 사회적 비판기능과 미학과 철학의 기능이 결합한 독특한 문학 양식을 발전시켰다.
특히 그의 다섯 번째 소설인 『포우』는 18세기 영국 문학사에 대표적인 사실주의 정전으로 평가받는 다니엘 드포우의 『요크의 선원 로빈슨 크루소의 생애와 이상하고 놀라운 모험』에 내포된 제국주의 적 요소를 해체주의 사상을 통해 전복하고 있다. 탈구조주의에서 강조하는 해체주의는 서양 형이상학의 이항대립의 위계질서를 부인하는 대신 항목들이 지니는 가치의 상대성과 다원성을 강조하는데 초점을 둔다. 항목 간에 존재하는 위계질서의 해체는 특정 항목의 우월성과 절대성을 바탕으로 성립되었던 권위와 권력의 타당성을 무효화하고, 더 나아가 특정 항목의 우월성을 근거로 성립하는 지배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포우』 역시 이러한 해체주의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 소설을 통해 쿳시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담론의 대상에는 모든 종류의 권력과 권위를 창출하는 사회체제와 철학사상뿐만 아니라 백인 중심 지배체제 내에서 백인 남성 작가라는 이유로 반사적으로 누리게 되는 작가 자신의 사회적 권력과 글에 대한 권위도 포함된다. 지배이데올로기가 부여하는 권력과 권위를 지니고 있는 이상 본인 역시 자신이 비판하고자 하는 지배 체제의 모순에 공모되어 있다는 작가의 의식은 『포우』에서 드러나는 쿳시의 자기성찰적인 글쓰기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포우』에서 자기성찰성이 표출되는 세 가지의 문학 요소에 주목하여 지배체제의 내부적인 해체를 시도하는 쿳시의 독특한 글쓰기 양식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고찰한다.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백인 중심 사회체제 내에서는 지배자이면서 동시에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는 주변인이라는 이중적인 위치를 보유하고 있는『포우』의 여성화자 수잔이 주변의 남성인물들, 즉 크루소와 프라이데이, 포우와의 권력 관계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체성의 혼란과 이에 반영된 쿳시의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의의를 분석한다. 『포우』의 크루소는 원작의 크루소와 달리 신앙심과 합리주의, 그리고 식민 개척의 욕망을 결핍하고 있으며, 프라이데이 역시 원작과 대조적으로 혀가 잘려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존재로서 서양 지배 문명에 쉽게 교화되거나 순응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포우』가 메타픽션이라는 장르성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작가 포우는 다니엘 드포우를 형상화한 인물로서 남성중심의 문학 사회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기성의 권력을 바탕으로 이야기의 구성 방식을 두고 여성화자인 수잔과 대립한다. 『포우』에 등장하는 남성 인물들은 공통적으로 인물의 정형성에 대하여 논하기 어려울 만큼 각기 다른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 선과 악 혹은 지배자와 피지배자와 같은 이분법적인 구분을 투영하기 어려운 존재들이다. 남성인물들의 비정형성과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수잔이 경험하는 정체성의 혼란을 통하여 쿳시가 등장인물들을 형상화하는 데 있어서부터 이항대립의 해체를 시도하고 있음을 논의한다.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포우』의 메타픽션이라는 장르성에 초점을 두어 쿳시가 메타픽션 장르가 갖고 있는 정치성과 자기성찰성을 활용하고 있는 방식을 탐구한다. 수잔은 영국에 돌아온 후 크루소의 섬에서 표류했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책으로 출간하기 위하여 기성작가인 포우에게 대필을 부탁하게 되는데, 이야기의 구성방식에 있어서 이 두 사람의 입장 차이는 곧 대부분의 작가들이 직면할 수 있는 글쓰기에 있어서의 딜레마를 대변한다. 단조로운 섬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보완하기 위해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추가적인 이야기 요소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수잔은 프라이데이의 침묵에 가려진 그의 과거를 재현하는 작업에 주목하고, 반면에 포우는 수잔이 크루소의 섬에서 표류했던 경험이 아니라 잃어버린 딸을 찾는 수잔의 여정에 관한 이야기를 새롭게 창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두 사람이 이야기를 구상하는 방식에 있어서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이 각자 시도하는 타인에 대한 재현은 공통적으로 서술 능력을 가진 재현자의 주관적인 해석과 선택에 의해 얼마든지 재현 대상이 왜곡되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메타픽션이란 장르를 통해 재현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재현의 정당성과 진실성에 대한 쿳시의 비판적인 성찰을 밝힐 수 있다.
본론의 세 번째 장에서는 알레고리 해석의 다층성과 그 철학적 배경을 염두에 두어 프라이데이로 대변되는 피지배자의 침묵의 알레고리가 탈식민주의 담화에서 기능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포우』의 프라이데이는 원작과 달리 혀가 잘려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존재로 형상화되어 있다. 신체의 절단에 의한 소통의 단절은 식민주의자들의 폭력성을 대변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프라이데이의 타자성을 부각시키기도 한다. 침묵에 의해 극대화되는 프라이데이의 타자성은 자신의 이야기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프라이데이의 과거를 재현하려는 수잔의 시도를 좌절시키며, 이를 통해 프라이데이의 침묵이 단순히 식민주의자들의 독단과 폭력에 의해 소외된 자들의 존재성뿐만 아니라 식민주의자들의 담화가 절대로 침범할 수 없는 타자의 고유성을 시사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쿳시는 프라이데이의 침묵이라는 알레고리를 통해 탈식민주의의 일반적인 담론에서 주로 부정적으로 거론되었던 타자 개념의 긍정적 기능을 역설하고 타자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윤리적인 자세를 촉구하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J. M. Coetzee's Foe, focusing on his reflective writing. Unlike many other postcolonial white writers under Apartheid (a system of racial segregation in South Africa), who pay their main attention to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social injustice, Coetzee is known to develop a unique literary aesthetics which combines self-conscious, self-reflective approaches with social criticisms of the contemporary world. Especially, through Foe, his fifth novel woven around the existing plot of Robinson Crusoe, he not only deconstructs the imperialistic ideas implied in its original plot, but proclaims the limits of the language use and the writer's authority.
This thesis investigates Foe by focusing on Coetzee's two-side criticism derived from his self-reflective writing: one on the dominant ideology resulting in racism (as of the exterior part) and the other on the writer's authority and language use (as of the writer's self). The detailed discussion on this main theme will proceed through three chapters, and these chapters will be categorized by three literary factors of the novel which are considered relevant to his self-reflective writing: ambivalence of main characters, functions of metafiction as a genre, and connotative meanings of Friday's speechlessness.
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presents an analysis of ambivalent aspects of each main character of Foe, Susan, Cruso, Friday and Foe. Foe has a frame story where Susan Barton, a castaway who landed on the same island inhabited by Cruso and Friday, attempts to convince the writer Daniel Foe to help transform her tale into popular fiction. Each of these characters doesn't have any consistent line of characteristics and thus retains an ambivalence in their character. It is this ambivalence of each character that causes Susan to go through the identical disorder from her relationship with each of other male characters. This ambivalence might be said to derive from the notion of blurred binaries articulated by deconstruction thinkers. From that point, this thesis argues that Coetzee regards the binary scheme of the existing metaphysical philosophy as the major cause for all types of segregation including race and gender. In an analysis of each relationship between Susan and each male character, Susan's ambivalent social position as a white woman is drawn critical attention to as well, because her ambivalence due to her sex and race leads her to remain as a semi-margin who is both dominant racially and subordinate sexually. In terms of the semi-margin as a social position, Susan has a resemblance to Coetzee, since he is a white man who has the vested rights in a society where the most of its population consists of blacks, but he still tries to serve as one of a few whites who oppose to the existing racial segregation.
The second chapter of the body explores two types of criticisms carried out by the genre of Foe, metafiction: one over imperialistic ideas in Robinson Crusoe and the other over the writer's inconsiderate trial of representing others. When Foe was released in South Africa in 1986, it was regarded as irrelevant to African political realities. Contrary to these criticisms on Foe, it is argued in this thesis that Foe does perform its political functions by disclosing the misbelief included in its original work that it's appropriate to civilize or represent others when they are regarded as inferiors. Coetzee points out in Foe the possible discordance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thus making it clear that any attempts to represent others are impossible tasks to achieve. The recognition of the inappropriateness of representing others leads to Coetzee's prudence in displaying an authoritative voice for others in literary forms.
The third chapter of the body focuses on an analysis of connotative meanings of Friday's speechlessness. It is argued in this chapter that Friday's cut off tongue signifies an impossible communication between white masters and black slaves and the racially abusive rules of whites over blacks in South Africa. By presenting Friday's speechlessness, that is, Coetzee turns out to attach a great importance not only to the nonverbal communication transcending limits of language but to the ethical attitude of listening to others rather than speaking for them when forming a relationship with different races. This thesis also attends to Coetzee's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whites' having a new perspective on other races
that is, whites need to acknowledge and accept any kind of existing differences between whites and blacks rather than attempt to bring them into their own seemingly superior cultu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5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