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Homelessness of Third Culture Kids (TCKs)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남지은

Advisor
김동일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hird Culture Kidsemotional claritypsychological well-beingmoder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13. 2. 김동일.
Abstract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현재 한국사회에서도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다양성을 야기하는 사람들 중에는 국제결혼 이민자, 탈북자(새터민), 혹은 이주 노동자와 같이 성인 시기에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외국인들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에 부모님을 따라 혹은 부모님의 결정에 따라 성장기의 상당기간을 보내다가 한국으로 돌아오는 사람들이 있다. 사회과학자 Useem(1963)은 인도에서 생활하는 미국인 아이들을 관찰하던 중 그들이 고국(제1문화: 미국)과도 다르고 체류국(제2문화: 인도)과도 다른 새로운 생활 형태를 만들어내 나름의 중간문화(제3문화: 문화들 간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들을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
이하 TCK)라고 칭하였다.
외관상으로는 역동적이고 멋진 삶을 살았을 것으로 보이는 TCK들이지만, 이들에게는 특유의 어려움이 있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심리사회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그들은 새로운 문화로의 적응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문화정체성 형성에 독특한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특정 문화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다른 여러 문화 사이에 떠 있는 느낌을 받는다고 보고하는데 (Useem & Cottrell, 1996), 이런 상태를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cultural homelessness)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문화적으로 어느 특정 집단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정서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은 문화적 고향(home)을 필요로 한다(Vivero & Jenkins, 1999). 하지만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라는 위험을 안고 있는 TCK들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TCK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많은 경우 문화적 소속감을 가지고 있지 않은 TCK들이 정신건강 문제를 보일 때 혼란스러운 정서 상태를 호소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 명확성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의 국제학교와 귀국반을 운영하고 있는 일반학교에 재학중인 174명의 TCK 청소년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는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낮았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한 TCK일수록 신뢰로운 관계를 적게 맺고 있고, 일상생활에서 통제감이 적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 명확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수준이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은 개인들은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정도가 낮을 때 긍정적인 대인관계 수준이 높았으나, 정서인식 명확성이 낮은 TCK들은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의 수준과 상관없이 긍정적인 대인관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TCK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문제만 다루어서는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로 힘들어하는 TCK 청소년들은 우선 상담과 같은 개입을 통해 이들의 정서경험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높은 TCK들은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수준과 상관없이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개인적 성장 영역 점수가 전체 표본집단의 평균점수를 넘었지만,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낮은 TCK 청소년들은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각할수록 개인적 성장에 대한 더욱 강한 욕구를 보고하였다. 즉,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낮으면서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각한 TCK 청소년들은 표면상 매우 진취적이고 열정이 넘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으나 내면의 정서경험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결과들과 종합해 볼 때, 이런 아이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다른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으므로 상담자들은 이러한 양상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정서인식의 명확성의 조절효과는 TCK 청소년들에게 정서를 다루어 줄 수 있는 상담이 효과적인 개입방안이 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TCK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상담자들이 필요하다. 특히 TCK들을 만나는 상담자들은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이 요구된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Korean Third Culture Kids (TCK), a group of ethnic Koreans who internally posses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due to their cross-cultural experiences. A small but increasing body of research on TCKs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attempted to delineate who TCKs are and what their significant issues in life seem to be. However,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this population in Korea, only a few qualitative studies and no systematic research confirming important factors for this population exist in Korea. Thus,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into the challenges of Korean TCKs from the framework proposed by Vivero and Jenkins (1999) called cultural homelessness (CH), a state of lack of cultural group, emotional detachment from any cultural group, and a need for a cultural home. Specifically,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TCKs. Furthermore, to explore the assertion that CH individuals with mental health issues tend to struggle with confused emotional experience (Vivero & Jenkins, 1999), the study set emotional clarity as the moderator variable. A survey with relevant measures was conducted on 174 Korean TCK adolescents.
Results revealed that cultural homelessness was significantly and invers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s hypothesized, indicating that those with higher CH tend to have decrease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CH ha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Positive Relations and Environmental Mastery dimensions of the Sca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PWB
Ryff & Keyes, 1995). In other words, individuals with high CH tend to have fewer important and trust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ave reduced sense of control over daily life situations and responsibilities.
Also,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 and psychologically well-being was confirmed. More specifically,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H and EC existed in two of the six SPWB dimensions: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personal growth. First, lower levels of CH corresponded to greater levels of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for individuals with higher emotional clarity, but not for those with lower emotional clarity. Second, those with high levels of emotional clarity, regardless of their CH level, actually scored above the sample mean on personal growth. However, TCK adolescents who are unclear about their emotions reported higher desire for personal growth when they score high on cultural homelessness.
Important implications of su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CK adolescents should be helped to enhance their emotional clarity first, prior to dealing with CH issues, since reduced CH alone does not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low EC and high CH TCK adolescents may give an impression of a highly-motivated, highly-achieving person, but may also be suffering unclear emotions. In sum, the confirme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points to counseling as a helpful intervention for TCKs with difficulties, and calls for culturally competent counseling practitioners. Further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s well a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8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