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s of Attributions of Others' Success and Self-Efficacy on Academic Helping Behavior in Upward Social Comparison : 상향 사회비교 상황에서 타인 성공의 귀인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병윤

Advisor
이선영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cademic helping behaviorattributionupward social comparisonself-efficacyothers' succes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2016. 8. 이선영.
Abstract
도움행동은 타인의 유익을 위해 시간, 노력, 필요한 정보 등을 주는 행위를 일컫는다. 특히 청소년기 도움행동은 오랜 기간 연구를 통해 학업적 성취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학업상황에서 나타나는 도움행동은 특히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학생들의 유능감 및 책임감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의 도움행동 및 타인배려는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왕따나 학교폭력과 같은 비행행동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등 학교 장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도움행동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문화가 경쟁을 부추기고, 나보다 더 뛰어난 대상과 비교를 하는 상향 사회비교 상황에서의 학업적 도움행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향 사회비교 상황에서 타인의 성공에 대한 귀인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유발되는 정서와 후속 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상향 사회비교 상황에서 타인 성공의 귀인을 능력으로 했을 때 학업적 도움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개인내적 변인인 자기효능감을 넣어 타인 성공의 귀인 유형과 학업적 도움행동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5명의 중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자기효능감은 Bandrua et al(2003)이 살펴본 학업적, 공감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상향 사회비교 조작은 사자성어 문제풀이에서 같은 반 친구보다 낮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하였으며, 귀인 조작은 문제 풀이 후 그 친구가 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하였다. 학업적 도움행동은 친구를 도울 의도에 대해 물어보는 자기보고식 척도와 몇 개의 공부팁을 줄 것인지에 대해 행동 척도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귀인 유형에 따라 정서와 학업적 도움행동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력 귀인 집단이 능력 귀인 집단보다 부정정서를 덜 느꼈고, 친구를 돕겠다는 의도와 행동은 더 높았다.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공감적 자기효능감은 도움의도에,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도움행동에 각각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향 사회비교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우리나라 교실에서 나보다 더 잘하는 친구의 성공을 어떻게 귀인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의 도움행동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상향 사회비교가 우리나라 학급 장면에서 피할 수 없는 상황적인 요소라면 단순히 다른 친구가 더 잘했다라는 결과피드백 보다는, 교육자로서, 친구의 성공이 노력으로 인한 성취를 했다는 생산적인 교육적 피드백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의 자기효능감도 키워야 함을 보여주었으며, 학생들의 친사회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내적 변인과 대인간 변인이 함께 제공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적 도움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교차원의 개입이 더 필요할 것이다.
Helping behavior refers to actions that give time, effort, information for others benefit. Helping behavior of youth has been known for its positive effects in youth development. Especially, helping behavior in academic settings is an integral factor in education. However, Korean students have been reported to be relatively low in helping behavior and concern for others compared to those in other countries. This study attests to helping behavior in upward social comparison as Korean students often face fierce competition and compare themselves with superior classmates. I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ributions of others success on academic helping behavior in upward social comparis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relations between attributions of others success and academic helping behavior.
A total of 305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s perceived self-efficacy included measures of academic, empathic, and social self-efficacy. To manipulate an upward social comparison situation, students were compared with one of the classmates named Activity Friend, who received higher score than themselves. The attributions were manipulated by giving a statement that explains how the superior target received higher score: Effort vs. ability. Helping behavior was measured by two ways: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the number of studying tip they would give to the superior targ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and helping behavior between the types of attribution. Students in the effort attribution condition felt less negative emotion and reported higher both in intention to help and help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whereas empathic and social self-efficacy worked as a moderator of intention to help and academic helping behavior, respectively.
This study indicated that students academic helping behavior toward the superior other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attribution of the others success in an upward social comparison sit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other areas, and showed that both interpersonal factor and intrapersonal factor have to be provided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prosocialit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for school to be more involved in promoting students helping behavior.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9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