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반추방식이 우울한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재훈

Advisor
김창대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반추방식우울한 대학생대인관계 문제해결구체적 반추추상적 반추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13. 8. 김창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반추 방식이 우울한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소재 대학에 있는 92명의 우울한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세 집단, 즉 구체적 반추 집단, 추상적 반추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배정되었다. 그런 다음, 각 참가자들은 사전검사로 반추 검사와 우울한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해결을 측정하는 MEPS를 하고, 각 집단마다 해당되는 실험처치를 받은 후 다시 한번 앞의 검사들을 사후검사로서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실험처치에 대한 설명으로 먼저 구체적 반추 집단은 과거의 부정적 사건을 떠올렸을 때 드는 느낌에 집중하고, 그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어구 또는 이미지로 그 느낌을 적어보도록 하였다. 추상적 반추 집단의 경우, 참가자들은 과거의 부정적인 사건을 떠올리되 그때 드는 느낌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그 느낌에 대한 원인, 의미, 결과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은 위의 처치가 없는 대신 중성적인 글을 옮겨 적는 작업을 하였다. 모든 실험이 완료된 후, 72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어졌다.
그 결과, 구체적 반추 집단은 추상적 반추 집단 뿐만 아니라 통제집단보다도 더 높은 대인관계 문제해결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울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체적 반추 집단이 추상적 반추 집단보다 더 높은 대인관계 문제해결을 보임으로써 Watkins와 Moulds(2005)의 연구결과를 재확인하였다. 이는 우울한 환자들 외에 우울한 대학생들에게도 구체적 반추가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구체적 반추의 적용대상 범위를 확장시켰다. 또한, 구체적 반추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대인관계 문제해결을 보임으로써 구체적 반추집단이 우울한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해결을 향상시킨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상담현장에서도 우울한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구체적 반추가 그들의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구체적 반추를 통한 상담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대인관계 문제해결이 가상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측정되어졌기 때문에 이것이 실제 대인관계 문제해결로 이어지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을 보아 실제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대한 구체적 반추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구체적 반추가 장기적으로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통해서 그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없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 논의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ruminative mode on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for depressed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92 depressed college students from Seoul and Kyungi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concrete rumination group, abstract rumin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first completed the rumination scale and MEPS which measured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as pre-test and did it again as post-test after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for each group. As for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in concrete rumination group were asked to pay attention to the feelings aroused when recalling the negative experience in the past. Then, they were instructed to write down their feelings with words, phrases or images that best described them. In abstract rumination group, they were asked to think about the feelings aroused while recollecting the negative event in the past. Then, they were told to write down the cause, meaning, and consequence of the feelings. In control group, they copied the article about neural content. Upon the completion of all the experiments, the data of 72 participants a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concrete rumination group had highe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han abstract rumin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reconfirmed the results of Watkins and Moulds' study in 2005 where the concrete rumination group had highe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han the abstract rumination group.
This indicates the extension of the range of subjects from the clinically depressed patients to the depressed college students to whom the effect of concrete rumination applied. Also, it is proved that the concrete rumination helps the depressed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counseling field,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of applying intervention with concrete rumin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However, since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was measured based on the artificial scenario, it cannot be sure if this leads to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Therefore, the effect of concre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is needed to be studi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be investigated in the following study that how the effect of concre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of depressed would change in long term and what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 works within the concrete rumin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0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