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의 지위 변화와 완화되는 남아선호사상과의 관계 : Changes in female status and disappearing son-preference i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한나

Advisor
조영태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남아선호사상출생성비여성의 사회적 지위여성의 가정 내 지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2012. 8. 조영태.
Abstract
연구배경: 우리나라의 출생성비는 1980년대 중반부터 심하게 왜곡되었다가 2007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정상성비로 되돌아오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불균등한 출생성비가 보고되는 다른 아시안 국가들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만 관찰되는 현상이며, 그 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불균등한 출생성비는 남아선호도에 의해 주로 기인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남아선호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HASA)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19-48세 기혼여성이다. 1994년, 2003년, 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른 남아선호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영향력 차이를 살펴보았다. 독립변수로 사용된 여성의 지위는 가정 내 지위와 사회적 지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3개 년도 자료의 설문문항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아 두 개의 비교모델을 설정하여 가정 내 여성의 지위를 나타내는 변수를 다르게 측정하였다. 1994년과 2003년도의 비교모델에서는 부모세대의 동거여부를 2003년과 2009년도의 비교모델에서는 일상생활비에 대한 의사결정권한 변수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994년과 2003년도의 비교모델에서는 기혼 여성의 사회적 지위인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도시에 비해 농촌에 거주하는 기혼 여성 그룹에서 높은 남아선호도가 나타났다. 거주지 특성에 따른 남아선호도의 영향력 크기는 1994년에 비해 2003년도에서 감소되었다. 가정 내 지위를 나타내는 부모세대의 동거여부에 따른 남아선호도는 1994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부모세대와 동거할수록 더 높은 남아선호도를 보였다. 2003년과 2009년도의 비교모델에서는 기혼 여성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남아선호도가 관찰되었다. 또한, 기혼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의한 영향력은 사라졌으나 가정 내 지위에 따른 남아선호도는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즉, 일상생활비에 대한 의사결정이 부인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보다 남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경우에 더 높은 남아선호도가 관찰되었다.

결 론: 기혼 여성의 사회적•가정 내 지위가 남아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기혼 여성의 높은 가정 내 지위에 따른 낮은 남아선호도는 3 개 년도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반면, 기혼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영향력은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과거에는 기혼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낮은 남아선호도가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기혼 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높아지고 교육수준 또한 높아지자 사회적 지위에 따른 남아선호도의 영향력은 사라졌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사회적인 구조 속에는 남성과 동등한 위치로 인식되고 있으나,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는 남성보다 여전히 낮은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적인 여성의 지위 향상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의 지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In South Korea, patriarchal family system has brought about imbalanced sex ratio at birth and it kept prevailed even in the mid-1990. Unprecedentedly, imbalanced sex ratio at birth, however, steadily declined since the mid-1990 and it almost returned to the equilibrium in 2007. This is an unusual phenomenon unlike other Asian countries. Since imbalanced sex ratio at birth is caused by son preference,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d to the decline of son preference.

Method: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s of 1994, 2003 and 2009 which wer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cooperation with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The survey involved women who were aged 15-49 and ever-married. Dependent variable is womens opinion on must have a son. Independent variables are womens position in the society such as education and occupation level, and womens position in the household when it comes to decision-making and autonomy in the household. Since variables that indicating womens position in household are collected differently each year, we measured these variables using two comparison models which living with parents in 1994 and 2003 and decision-making on living cost in 2003 and 2009.

Results: The comparison models in 1994 and 2003 suggest those women who are less educated and in a relatively lower position in the society have higher son preference. In addition to this, those who reside in rural area has higher son preference rate than those woman living in urban area. However, the latter result has been less prevalent in 2003 than that of 1994s. The interesting result is the son preference in 1994. To recall, living with parents not only contributes in bringing about higher son preference but also weakens the power of wifes power in household. The comparison models in 2003 and 2009 suggest that the younger married women tend to have higher son preference rate. Also, the influence from the womans social status on son preference had been somewhat disappeared whereas the influence from the womans household status was still significant. In other words, higher son preference was observed in a situation where the decision making on living cost was carried out by the husband.

Conclus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influence of married womans status in the society and household on son preference is varied in different years. First, it has been observed that married woman with higher household status led to lower son preference in every years dataset. However, influence of womans higher social status on son preference is varied in each year. In the past, when married woman were enjoying higher social status, it definitely led to lower son preference rate. However, as the society kept developing, the chance of married woman participating in the social activity has been kept increasing which made the society to value the man lesser than befor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womans higher social status on son preference rate is on the brink of disappearance. This result is derived from the following reasons. Even though the notion of equality between woman and man is starting to be regarded as a social norm in the wake of social development, the womans position in household is still remained in low level. Thus, the emphasis on womans empowerment should be placed not only in a societal level but also in a household level.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2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