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성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섭-
dc.contributor.author이혜원-
dc.date.accessioned2017-07-19T03:33:46Z-
dc.date.available2017-07-19T03:33:46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171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64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4. 8. 정순섭.-
dc.description.abstract대륙법계인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제도이나, 신탁제도는 우리나라에서 영미법상 많이 행해지고 있는 민사신탁이나 비영업신탁이 아닌 상사신탁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대륙법계인 우리나라에서 신탁제도는 채권법과 물권법의 양대 분류 중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 신탁이 계약으로만 가능한지, 묵시적으로 성립되는지, 수동신탁, 사해신탁에서의 효과가 어떠한지 등에 대해 무수한 쟁점을 형성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특이한 것은 담보신탁이라는 제도이다.

담보신탁은 반드시 부동산에 대한 것만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현재 이용되는 것은 대부분 부동산에서이다. 신탁법이 명시적으로 담보신탁을 정의하고 있지는 않으나, 수익자를 자신으로 하는 자익신탁에서 수익권증서를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는 경우와 수익자를 타인으로 하는 타익신탁에서 그 타인에게 담보로 부동산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자면 ①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부동산 소유권을 신탁하면서 채권자를 수익자로 정하는 타익신탁을 설정하고 수탁자는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에 부동산을 처분하여 변제하는 유형, ② 위탁자가 자익신탁을 설정한 후 수탁자가 발급한 수익권증서를 채권자에게 담보로 제공하고, 수탁자는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 신탁재산을 처분하여 채권자에게 변제하여 주는 방식, ③ ① 유형에서 수탁자와 수익자를 동일인으로 하고 채권자를 수탁자 겸 우선수익자로 하고 위탁자에게 후순위수익권을 발행하는 방식, ④ 수탁자가 채무자에게 위탁자의 수익권에 대한 수익권증서를 발행한 다음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수익권에 대한 질권을 설정하여 주고 대출을 실행하는 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물론 현재 물적담보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부동산 담보수단은 근저당권이라고 할 수 있고, 그 원인으로 채권금융기관으로서는 담보설정비용을 채무자가 부담하므로 굳이 제3자인 수탁회사를 끌어들여 복잡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견해가 있었다. 그러나 근자에 채무자가 반드시 근저당권 설정비용을 부담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몇차례 대법원 판결을 거치면서 대두된 만큼, 근저당권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담보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담보신탁의 유용성도 새로이 부각되리라고 본다. 무엇보다도 근저당권 등 일반 담보와 다른 담보신탁의 특질은 도산격리 효과에 있고 이것이 다른 민법상 담보제도 대신 담보신탁을 이용케 하는 유인이 되고 있다.

도산격리란 신탁의 수익권을 취득하거나 신탁재산에 물상담보를 갖는 채권자는 채무자에 대한 회생절차가 개시되더라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회생절차와 관계없이 수익권 또는 물상담보권을 행사하여 채권을 회수할 수 있으며 부인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신탁의 제도적 기능이다. 담보신탁에도 일반 신탁제도와 같이 도산격리성이 인정된다는 판례가 형성된 이래, 대여자의 입장에서 다른 담보제도에 비해 채무자의 회생절차가 개시되더라도 도산격리가 인정되는 담보신탁을 이용할 실익이 부각되었다. 그렇다면 결국 담보신탁과 여타의 담보제도가 다른 점이 무엇인지, 과연 다른 신탁제도와 비교할 때 담보신탁에도 도산격리성을 인정할 만한 요소가 무엇인지가 궁금해진다.

이 문제에 대해, 신탁제도의 구조, 성질을 분석하거나 외국에서 비슷한 제도가 어떻게 취급되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과연 담보신탁에 대해서도 도산격리성이 인정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논의되기는 하였다. 그러나 현행 우리나라 제도 하에서 비슷하다고 볼 만한 제도나 신탁제도 고유의 특질에 비추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대표적 비전형담보제도인 양도담보, 담보권신탁, 워크아웃제도와 비교를 통해 담보신탁에는 어떤 특질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고, 신탁의 원리의 관점에서는 수익권의 발생시기나 신탁재산의 귀속주체를 누구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주요어 : 담보신탁, 도산격리, 담보권신탁, 수익권, 회생절차

학번 : 2011-21427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Ⅰ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논문의 구성 3

제2장 신탁재산의 독립성과 담보신탁의 회생절차에서의 취급 5
제1절 신탁 일반 5
1. 신탁의 개념 5
2. 신탁의 종류 6
가. 신탁의 유형 6
나. 신탁의 종류 7
(1) 공익신탁과 사익신탁 7
(2) 자익신탁과 타익신탁 7
(3) 영업신탁(상사신탁)과 비영업신탁(민사신탁) 8
(4) 금전신탁과 재산신탁 8
3. 신탁의 성립 11
4. 신탁의 기본구조에 관한 학설 13
가. 신탁재산 이중영유설 13
나. 채권설 13
다. 물권설 14
라. 신탁재산 실질법주체성설 15
마. 그 밖의 학설 15
바. 소결 16
제2절 신탁재산의 독립성 17
1. 개관 17
2. 신탁재산의 독립성을 나타내는 신탁법 규정 19
가. 신탁재산에 대한 강제집행 금지 19
나. 수탁자의 분별관리의무 20
다. 상계금지 21
라. 신탁재산의 공시 23
마. 혼동, 부합, 혼화, 가공의 예외적 취급 25
3. 신탁재산의 독립성의 적용범위 26
가. 학설의 태도 26
나. 구체적인 적용 26
(1) 신탁법상 신탁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26
(2) 수동신탁 27
(3) 자익신탁 29
(4) 담보부사채신탁법상 담보권신탁 31
(5) 담보신탁 33
4. 위탁자로부터의 독립성 33
가. 의의 33
나. 원칙 35
다. 예외 38
(1) 신탁 전의 원인으로 발생한 권리의 경우 38
(2) 신탁사무의 처리상 발생한 권리(신탁채권) 39
라. 효과 40
5. 수탁자로부터의 독립성 41
가. 수탁자의 사망과 신탁재산 41
나. 수탁자의 도산과 신탁재산 42
다. 수탁자의 고유 재산에 대한 강제집행 42
라. 신탁재산의 귀속 추정 43
제3절 담보신탁 44
1. 개념 44
2. 유형 44
3. 법적 타당성 46
가. 신탁법적 유효성 46
나. 양도담보 법리상 유효성 47
다. 상법상 유효성 48
라. 물권법정주의와의 관계 48
4. 법적 구성 48
5. 부동산 담보신탁 51
가. 의의 51
나. 필요성과 특성 51
다. 일반적인 형태 52
라. 제문제 53
제4절 회생절차에서의 취급 56
1. 개관 56
2. 회생담보권 57
가. 의의 57
나. 종류 59
3. 회생담보권자의 지위 60
가. 회생절차 외에서의 담보권 행사 및 변제의 금지 60
나. 상계의 제한 62
다. 회생절차에의 참가 및 그 가능범위 63
4. 회생절차에서 담보신탁과 관련한 판례의 태도 64
가. 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1다9267 판결 [근저당권말소등] 65
나. 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2다49484 판결 [부당이득금] 66
다.대법원 2003. 5. 30. 선고 2003다18685 판결 [정리채권자표기재무효확인등] 67
5.회생절차에서 담보신탁이 도산절연성을 인정받는 것에 대한 찬반론 70

제3장 담보신탁의 도산격리성에 대한 고찰 73
제1절 논의의 범위 73
제2절 양도담보와의 비교 고찰 74
1. 개설 74
2. 양도담보와 담보신탁의 비교 75
3. 수익권이 정리담보권이 될 수 있는지 여부 77
4. 소결 80
제3절진정신탁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도산절연을 인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 80
1. 개설 81
2. 진정매매에 관하여 81
3. 진정신탁과 담보신탁 84
4. 담보신탁에 도산절연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논의 87
제4절 담보권신탁과의 비교고찰 92
1. 개설 92
2. 일본에서의 담보권신탁(시큐리티 트러스트)에 관한 논의 94
가. 총론 94
나. 부종성에 관한 논의 96
다. 설정에 관한 논점 99
라. 담보 관리 102
마. 민사집행 및 법적 회생절차에서의 취급 103
바. 경매절차에서의 피담보채권의 소멸 시기 106
3. 우리나라에서 담보권신탁의 부종성에 관한 논의 107
4. 담신법에 따른 담보권의 신탁 111
5. 소결 112
제5절 워크아웃에서 도산절연이 인정되지 않는 점과의 형평 문제 114
1. 개관 114
2. 신탁재산에 대한 법원의 태도 116
3. 회생절차와 기업구조조정절차의 차이 118
4. 소결 120
제6절 신탁의 원리에서 본 도산절연의 타당성 121
1. 개설 121
2. 신탁재산의 귀속주체에 관한 논의 122
3. 수익권의 발생과 그 성질 126
4. 소결 131

제4장 결론 135

138

ABSTRACT 143

[표 목차]

양도담보와 담보신탁의 비교 75
기업구조조정절차・회생절차・파산절차의 비교 119

[그림 목차]

담보신탁 제1 유형 45
담보신탁 제2 유형 46
담보신탁이 도산법상 제한을 받는지에 대한 논의 정리 87
담보권신탁의 구조 95
신탁을 이용한 유동화 10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750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담보신탁-
dc.subject.ddc340-
dc.title담보신탁의 도산절연성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Ⅸ, 145-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