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독립 큐레이터의 등장과 현대미술 전시 패러다임의 변화: 하랄드 제만(Harald Szeemann)의 전시를 중심으로 : The Emergence of Independent Curator and Change in Curatorial Paradigm of Contemporary Art : Focusing on Exhibitions of Harald Szeeman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영선

Advisor
김정희
Major
미술대학 협동과정미술경영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하랄드 제만1960년대(The Sixties)전시 패러다임의 변화독립 큐레이터상호학제성(interdisciplinarity)전시기획 담론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미술경영, 2016. 2. 김정희.
Abstract
1960년대 후반 서구 사회에는 독립 큐레이터(independent curator)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새로운 유형의 큐레이터가 등장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유형의 큐레이터가 등장한 배경과 그로인해 큐레이터의 역할과 현대 미술 전시 방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고, 이 변화가 후대 큐레이터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큐레이터(curator)는 미술관, 박물관 소장품을 수집·관리·연구하면서 전시를 기획하거나, 베니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 카셀 도큐멘타(Kassel Documenta)와 같은 국제 전시를 기획·감독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그러나 큐레이터가 지금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은 근래의 일이다. 이처럼 큐레이터 개념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맥락에 따라서 변화해왔다. 큐레이터는 돌보다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cura에서 파생되었는데, 로마시대에는 행정적인 부분을 돌보는 공무원을, 중세시대에는 영적인 부분의 치료나 책임을 맡는 성직자를 의미했다. 근대시기로 접어들면서 박물관 및 미술관이 일반 대중들에게 공개되었고, 비로소 큐레이터는 전시를 하는 기관을 담당하는 사람을 뜻하게 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사회, 정치, 문화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면서 다양한 미술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큐레이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그 유형이 다양화 되었다. 현대 미술 전시에서 미술가들의 이름뿐만 아니라 큐레이터의 이름도 언급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전설적인 큐레이터라고 불리는 하랄드 제만(Harald Szeemann, 1933-2005)은 1969년 기획한 전시 《당신의 머릿속에 거하라: 태도가 형식이 될 때(작품-콘셉트-과정-상황-정보)(Live in Your Head: When Attitudes Become Form(Works – Concepts – Processes – Situations – Information)》를 통해서 새로운 전시 기획 방법을 보여주었다. 그는 과정을 중시하고 형태의 우월성을 거부하는 미술가들을 베른의 쿤스트할레(Kunsthalle Bern) 미술관으로 초청하였으며, 그들은 마치 그곳이 자신들의 작업실인 것처럼 자유롭게 작품을 제작하고 설치를 진행하였다. 전통적인 전시 방법에서 벗어난 그의 전시는 처음에는 대중들에게 혼란스럽고 과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시에 관한 사안이 베른 시 당국과 시 의회에 결부되었으며, 의원들은 제만이 사람의 생명을 위험에 처하게 하지 않는다면 관장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결정을 내리며 그를 압박했다. 그는 미술 기관 내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의 전시 기획을 실천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최초의 독립 큐레이터로서 활동하게 된다.
독립 큐레이터는 기존의 미술관 큐레이터가 가졌던 소장품의 보존, 소장품 수집 등의 다양한 업무들 중 전시를 기획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들은 문자 그대로 미술관이나 갤러리에 소속되지 않은 상태로 전시 기획활동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자신만의 전시 콘셉트를 드러내거나 아이디어를 피력하는 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었으며, 전시적 실천이 보다 독립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외견상으로는 미술 기관 내에서의 제약으로 인해 전시를 자유롭게 기획하지 못하거나 자리가 없어 전시를 기획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던 이들에 의해 새로운 유형의 큐레이터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는데,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독립적인 상태로 전시기획을 하는 큐레이터들이 많아졌고 하나의 유형이 되었다.
본 논문은 1960년대 후반 새롭게 제시되어 오늘날까지도 우리가 동의하는 큐레이터의 역할을 정립하는 데 제만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1960년대의 사회, 문화, 정치, 사상적인 변화들을 정리하고, 이어서 이러한 변화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난 새로운 미술 경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큐레이터 유형이 등장한 배경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했다. 또한 새롭게 등장한 큐레이터를 유형별로 독립 큐레이터, 작가적 큐레이터, 상호학제적(interdisciplinary) 큐레이터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과 각 유형에 속하는 큐레이터들이 기획하였던 대표적인 전시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만의 전시기획 방식과 그의 업적이 오늘날의 전시기획에 미친 영향의 긍정적인 점과 부정적인 점을 함께 분석하였다. 제만은 참신하고 창의적인 방식의 전시를 누구보다도 빨리 적극적으로 제시하였지만, 동일한 전시 방법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상투적인 전시가 되었으며, 이는 점차 미술 기관에서도 수용 가능한 일반적인 방법이 되어버렸다. 또한 그는 전시를 통해서 일시적인 하나의 세계를 만들고, 작가로서의 자신을 부각시킨 큐레이터였기 때문에 예술가들의 자율성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독창적인 전시 방법을 추구하면서도 제만이 가졌던 한계들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후대 큐레이터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전시기획적 실천이 고민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본 논문은 단일 큐레이터의 전시기획 방법론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큰 시각에서 전시의 역사와 큐레이팅의 역사에 대해서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다양화된 큐레이터의 유형을 분류하여 경계가 모호한 큐레이터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노력하였으며, 막연히 이상적인 직업으로 여겨지는 큐레이터의 이미지가 아닌 현실적인 큐레이터의 개념과 이들이 처한 상황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큐레이터 지망생들과 자신들이 꿈꾸어온 이상과 다른 현실로 인해 혼란스러운 젊은 큐레이터들에게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고민해보는 계기가 되어줄 것을 희망한다.
Around the significant era of the late 1960s in the Western countries, new types of curators who work as independent curators emerg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hanges in role of curator and curatorial methodology in this era a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n the next curators.
Curators nowadays are, in general conception, thought to acquire cultural heritages for museums, maintain them and study on them as well as organize art exhibitions or to plan and supervise such international exhibitions as Venice Biennale and Kassel Documenta. However, such conception is rather contemporary than historical. The conception of curator has changed along to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economic contexts. The word curator originated from the Latin cura, which means to take care of, and was in Roman age used to signify government worker who at that time took care of the state administration and in the Middle Age the clergy who was to take care of spiritual therapy or be in charge. It was only contemporary era when the public was for the first time allowed to museums and curators were meant to take charge at the art institutions, similar to who they are now.
In the late 1960s, the new trend in art history accompanied the simultaneous social, political, cultural changes and so there emerged those curators who responded to the new atmosphere. It was about this period when the conception of role of curator started to shift and contain more than one role of curator. Some art exhibitions were mentioned not only under the artists names but also under certain curators names. Harald Szeemann(1933-2005), the legendary curator, in his own exhibition 《Live in Your Head: When Attitudes Become Form(Works – Concepts – Processes – Situations – Information)》(1969) invited attitude-oriented and anti-form artists and provided with the exhibition spaces as art studios. The untraditional curatorial methodology first introduced by Szeemann unintendedly confused and shocked the public in the beginning. The city government and the parliament got involved, and they decided that Szeemann could remain the director if he did not put human lives in danger. Since then he decided to resign and started himself as the very first independent curator in history as he had realized that it would be hardly possible under the influence of art institutions to practice the new methodology.
This study supposes that Harald Szeemann played the core role in establishing such roles of curator that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late 1960s and that we have agreed until now since then. It organizes the social, cultural, political, ideological changes in 1960s and looks into the new trend that emerged with these changes in order to analyze from the various angles the background where the new roles of curator were born. It also categorizes the new types of curator as independent curator, curator as an artist, and interdisciplinary curator and provides the analysis and summary of each category and its exhibition model.
In this study the analysis o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his methodology and his contribution is provided. While he introduced creative and innovative exhibitions before anyone else, the methodology repeated to convention and became gradually acceptable even by the art institutions. Also, he was criticized that he, in his own exhibition, created the temporary one world and emerged himself as a creator to intrude artists autonomy. This study seeks to navigate and set direction for art exhibition history by noticing the post-Szeemann curators who have had their creative methodologies and further overcome what he had as his limitations.
What differentiates from the others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exhibition methodology of a single curator but to provide with the history of exhibition and of curatorship on the broad perspective. It attempts to categorize the various roles of curators and well comprehend the vague lines among conceptions of curator and moreover to present more realistic conceptions of curator and the realities of curators nowadays unlike as a dream occupation.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provides the aspiring curators and even young curators who are confused in between the long-dreamed ideal and the different reality with an opportunity to navigate and set a direction for the futu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