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역 상류 도시 물 순환 건전성을 고려한 수순환 계획 : Hydro circulation design proposal considering water cycle soundness on uppermost stream basin - Focused 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Gwanak District, South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종상-
dc.contributor.author박준성-
dc.date.accessioned2017-07-19T07:07:53Z-
dc.date.available2017-07-19T07:07:53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610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73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5. 2. 성종상.-
dc.description.abstract수 순환은 기본적으로 강우에 의한 지표 유수의 흐름, 지표하부로의 침투와 대기중 증발 및 증산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 순환 구조의 대표적인 이점으로 지하수, 미기후조절 그리고 경관 및 친수성을 활용한 이용가치가 있다. 그러나 수 순환은 강우 패턴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밀도 높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각종 수 순환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의 중심에 있기도 하다. 본 계획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유역의 최상류에는 교외지, 근교외지 및 대학 캠퍼스등 하천의 발원지 또는 중간거점에 입지하는 도시개발유형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입지여건은 기존 자연하천을 공학적으로 재구성하는 계기가 되었고 기존의 수 순환체계를 대체하여 불투수성 피복으로 인한 침투능 저하, 지하수위 재충전률 상쇄 및 기저유량 감소, 불투수면 증가에 따른 지표 유출수 증가, 지하관망에 의한 빠른 유달 속도로 하류 수문환경에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서 재해 유발에 직접 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펌프를 이용한 유지용수 공급, 대형 인공 저류조와 인공제방을 설치하고 있으나 비용과, 토지이용에 따른 한계, 강우 패턴의 불규칙성 등의 한계에 따른 비효율적인 대책이 수립되기 마련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문제들은 일반적인 도시가 하천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증가가 수 순환을 왜곡시킴으로서 문제를 확대시킨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 차원에서 문제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계획의 대상지인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는 관악산 자락이자 도림천 최상류 유역에 입지한 기성시가지로서 상주인구 2만의 유사 도시이다. 이는 도림천 수원의 발원지점과 중, 하류 사이에서 하류의 수문 환경을 지배하게 됨으로써 신림동 일대 상습 범람, 침수, 도림천 건천화 등의 문제의 원인으로서 지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수 순환 왜곡으로 발생하는 도시 내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하고 대상지 분석을 통해 수 순환 개선 대안 제시와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1. 서론
1.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1.1.1. 계획의 배경 01
1.1.2. 계획의 목적 02
2. 계획의 범위 및 방법
2.1. 공간적 범위 03
2.2. 대상지 선정 배경 04
2.3. 내용적 범위 05
2.4. 계획 흐름도 06
2. 이론적 배경
2.1. 도시 물 순환문제
2.1.1. 도시 수문학 07
2.1.2. 도시 수문환경 특징 08
2.1.2.1. 불투수면 08
2.1.2.2. 하수암거화 09
2.1.2.3. 하천의 공학적 재구성 10
2.1.3. 도시 수문환경 문제 10
2.1.4. 최상류 하천 12
2.2. 수 순환 개선 기법
2.2.1. 계획적 접근 13
2.2.1.1. 하천조성 13
2.2.1.2. 도로 폭 22
2.2.1.3. 불투수면 분산 22
2.2.1.4. 녹지 체계 네트워크 23
2.2.2. 여과, 침투 및 소형 체류시설 23
2.2.2.1. 옥상녹화 23
2.2.2.2. 녹지의 기능적 개선 24
2.2.3. 저류시설 27
2.2.3.1. 유역단위 저류시설 27
2.2.3.2. 건물 개별 저류시설 27
2.2.4. 침투시설 29
2.3. 사례연구
2.3.1. Bishan-ang Mo Kio Park 32
2.3.2. Boneyard Creek Restoration 33
3. 계획의 조건 이해
3.1. 대상지 개요
3.1.1. 대상지 현황 34
3.1.2. 역사적 개요 35
3.2.절. 유역 개황
3.2.1. 일반현황 36
3.2.1.1 인문환경 36
3.2.1.2 자연환경 39
3.2.2. 수문환경 43
3.2.2.1. 관악산댐 자하연 - 도림천 44
3.2.2.2. 관악산계곡 공대폭포 - 도림천 49
3.2.2.3. 기타 시설현황 51
3.3. 수문 분석
3.3.1. 수문학적 분석 52
3.3.1.1. 유출수 흐름 분석 52
3.3.1.2. 유출량 분석 62
3.3.2. 대상지 공간적 이해 73
3.3.2.1. 활용가능부지 분석 73
3.3.2.2. 교통 및 보행 분석 73
3.3.3. 분석의 종합 76
4. 기본구상
4.1. 계획의 방향 79
4.2. 기본 계획 80
5. 계획
5.1. 수 순환 계획
5.1.1. 하천 83
5.1.1.1. 하천선형 83
5.1.1.2. 하천형태 및 호안 96
5.1.2. 공간 100
5.1.2.1. 동선 100
5.1.2.2. 녹지 101
5.1.3. 하천유지관리를 위한 시설 103
5.1.4. 종합계획도 113
5.1.4.1. 유역 종합 113
5.1.4.2. 유역 3 114
5.1.4.3. 유역 5 115
5.2. 수 순환 검증
6. 결론
[참고문헌] 120
[부 록] 124
[Abstract] 14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63693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수 순환-
dc.subject물 순환 건전성-
dc.subject분산식 우수관리 시스템-
dc.subject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dc.subject지표유출량-
dc.subject침투량-
dc.subject.ddc712-
dc.title유역 상류 도시 물 순환 건전성을 고려한 수순환 계획-
dc.title.alternativeHydro circulation design proposal considering water cycle soundness on uppermost stream basin - Focused 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Gwanak District, South Ko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Joonsu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x, 141-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