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서비스시설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공공체육시설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Focusing on survey about utiliz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순은-
dc.contributor.author강태희-
dc.date.accessioned2017-07-19T07:34:49Z-
dc.date.available2017-07-19T07:34:49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168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07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2014. 8. 김순은.-
dc.description.abstract전 세계적으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건강에 대한 관심은 이전 어느 때보다 뜨겁다. 뉴스 보도를 통해 웰빙 열풍, 다이어트 열풍 등 우리 사회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은 하루에도 몇 번씩 확인할 수 있다. 이제는 단순히 건강한 삶을 사는 것을 넘어서서 몸매를 가꾸고 체육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만족감을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에서는 필요 체육시설이 무엇인지에 대한 문항에 70% 이상의 사람들이 공공체육시설이라고 응답했다. 뿐만 아니라 시급히 시설확충과 개선이 필요한 체육시설 역시 공공체육시설이었다. 체육시설 이용자들은 공공체육시설이 더 많이 생기기를 바라고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기대했다.
그렇다면 국민들의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시설확충과 더불어 좋은 서비스를 요구하는 현 상황에서 누가 공공체육시설의 담당 주체가 되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가 제일 먼저 고려해야 할 문제일 것이다. 체육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공공체육시설의 설치 및 운영주체는 기초자치단체다. 체육관련 예산의 경우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어 예산을 편성하여 운용하고 있지만 시민들이 직접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간이운동장(마을체육시설) 및 생활체육관에 대해서는 주로 기초자치단체가 운영주체로서 지역특성에 맞는 시설을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현재 공공체육시설 개수와 면적은 이전과 비교했을 때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이 선호하는 공공체육시설들이 적절하게 공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공체육시설 공급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체육시설 이용자들의 특성과 공급 대상의 지역적 특성이 포괄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역주민들이 만족할만한 적절한 공공체육시설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의 공급과 운영 및 관리에 치우친 공공체육시설 연구의 틀을 깨고 이용자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여러 종류의 많은 체육시설 중에 왜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지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한다면 어떤 영향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지 먼저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공공체육시설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현재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에 대해서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12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를 활용하였다.
공공체육시설 이용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체육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체육시설과 그 밖에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으로 나누어 어떤 영향요인들이 공공체육시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공공체육시설 이용자들만을 대상으로 영향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의 구성은 개인적 특성, 시설접근성, 체육활동 참여 특성, 지역 특성으로 나누고 각 특성마다 변수를 세분화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이용여부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유의미했던 변수는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 중 연령과 직업 변수였으며, 그리고 시설 접근성, 체육예산 변수가 공공체육시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주거지 근거리에 있는 약수터, 등산로에서 걷기 활동에 많이 참여했다. 생활 주거지 주변으로 간단하면서도 간편한 체육시설을 공급이 더 많이 확충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설들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용률이 높았다.
둘째, 공공체육시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 중 연령, 직업, 소득이 유의미했고, 시설 접근성, 체육활동 참여 특성, 지역적 특성 변수들이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높을수록 이용횟수가 높았으며 직업과 소득은 사무·관리직,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고소득층 보다는 기능직 및 단순노무, 전업주무 및 학생 등과 같은 저소득층일수록 이용횟수가 더 높았다. 공공체육시설의 특성상 사용 요금을 내지 않거나 민간 체육시설과 비교했을 때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체육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민들의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체육활동 참여 특성으로는 단체종목 이용자와 참여 동반자가 없는 이용자들이 공공체육시설 이용횟수가 많았다. 이는 공공체육시설이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부여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간주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 지역에 공공제육시설을 공급할 시 체육시설의 특징과 시민들의 수요를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공공체육시설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해 본 결과 이용자들의 개인적 특성, 시설 접근성, 지역적 특성의 영향요인들은 각각 체육시설 이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각 지역마다 이런 영향요인들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공공체육시설을 공급하는 주체는 공급자의 입장만 고려해서 시설 공급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지역의 특성, 지역 구성원의 체육활동 참여 특성을 고려해서 시설 공급을 해야 한다고 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ntensified interest in health has led to an increase in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long with this trend, the influence of public sports policy on the public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shows that more than 70% of respondents said they need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they want to exercise at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Moreover, demand for service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was the highest among various sports facilities.
The questions of 'which institution is the primary agency dealing with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what measure should be adopted to respond to demand for quality improvement of public sports facilities' should be the center of the analysis of public sports policy. According to the sports facilities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law, local governments are in charge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the supply of the facilities has not been managed properly and ignored characteristics of demand-side. In other words, policy makers should take account of users' individual property and targeted areas' characteristics.
Studies on public sports facilities mostly focused on supply-side which resulted in dissatisfaction about the facilities of the public. Careful examination on demand-side should be done for an effective public sports polic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e study conducted a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public sports facilities users with「Survey 2012 Peoples Participation of Physical Activity」fro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ess to facilities,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rea. Two questions were answered in the stud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first, what factors influenced utilization of public or private sports fac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second, why some people work out at public sports facilities more than others.
First, the result shows that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whether to use public facilities or private are age, occupation, access, and each local government' budget for sports policy. Most of all, access to facilities was the most influential independent variable. The most common practices of physical activities among people who use public sports facilities in a residential area were walking and hiking. In that sense, when building new sports facilities, proximity should be the priority and the facility should offer areas for walking and hiking. Another influential variable is age. Older users exercise at public sports facilities more frequently than younger user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examined what factors influence frequency of public athletic facility use.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occupation, income, access to facilities,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rea significantly affected the number of use of the facilities. To be specific, people with no companions exercise at the public facilities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 companions. Besides, participating in team sports such as ball games induced more use of the public facilities. This result implies that public sports facilities offer opportunities to meet neighbors and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rt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efforts to satisfy demand-side for the better use of public facilities.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515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공서비스시설-
dc.subject공공체육시설-
dc.subject체육정책-
dc.subject체육시설이용-
dc.subject.ddc350-
dc.title공공서비스시설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공공체육시설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Focusing on survey about utiliz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86-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