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애인 치과 병∙의원 개원 유도를 위한 적절한 보조금 산정에 대한 연구 : Subsidy Estimation for Inducing Opening of Dental Hospital or Clinic for the Disable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재-
dc.contributor.author송창목-
dc.date.accessioned2017-07-19T08:20:16Z-
dc.date.available2017-07-19T08:20:16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14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86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과, 2017. 2. 김영재.-
dc.description.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치과 병∙의원 운영을 위해서 얼마 정도의 지원금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산정해 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일반적인 치과 병원의 운영수익과 장애인 치과 병∙의원의 기회비용을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필요한 데이터는 장애인 치과를 운영하고 있는 푸르메 치과의 annual report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의 통계자료,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의 비급여 수가심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결론: 장애인 치과 병∙의원의 수익성은 일반 치과 병∙의원에 비해 낮았다. 이는 진료당 평균 치료시간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인 치과 병?의원의 진료당 평균 수익이 일반 치과 병∙의원보다 낮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환자들이 진료당 평균 수익이 높은 보철 진료를 더욱 많이 받기 때문이다. 리콜체크와 치주진료의 두 진료군은 일반 치과 병∙의원에서보다 장애인 치과 병∙의원에서 더 높은 수익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1. 장애인 치과 병∙의원 운영수익 모델 및 지원금 산정 공식의 설정 1
2. 관련자료의 수집 및 재가공 4
a. 진료빈도 4
b. 진료수가 7
c. 진료시간 14
d. 영업이익률 14
3. 진료군별 자료를 이용한 장애인 치과 병∙의원 운영수익 모델 및 지원금 산정 공식의 재설정 15

Ⅲ. 결과 17

Ⅳ. 논의 및 고찰 19

Ⅴ. 결론 22


References 22
Abstract 2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01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보조금-
dc.subject기대매출-
dc.subject진료빈도-
dc.subject진료시간-
dc.subject.ddc617-
dc.title장애인 치과 병∙의원 개원 유도를 위한 적절한 보조금 산정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ubsidy Estimation for Inducing Opening of Dental Hospital or Clinic for the Disabled-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angmok So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9-
dc.contributor.affiliation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