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 site concentrations of propofol for dental treatment under deep sedation in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치과 치료를 위한 깊은 진정시 프로포폴의 적절한 효과처 농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승화

Advisor
서광석
Major
치과대학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적장애인치과치료깊은 진정프로포폴 목표농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3. 8. 서광석.
Abstract
국문초록
배경 및 목 적: 치과치료에 심각한 불안과 공포를 보이거나,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를 가진 성인 장애인 환자에서 일반적인 외래 치료로 효과적인 치과 치료가 불가능하다. 이런 환자에서 적절한 치과치료를 위해 전신마취 또는 깊은 진정법이 행동조절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치과 시술이 간단하고 통증이 적으며 짧은 시간이 예상되는 경우 깊은 진정의 적용 대상이 된다. 성인 장애인 환자에서 치과 치료를 위한 깊은 진정 방법으로 구강 내 시야 확보와 신속한 진정 깊이 조절을 위해 프로포폴을 이용한 정주진정법이 흔히 적용된다. 그러나 깊은 진정을 시행하는 경우 과진정에 의한 기도폐쇄, 호흡저하 등의 위험성이 있어 적절한 용량의 투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목표농도조절법(TCI)을 이용한 진정법이 시행되는데, 동반된 장애 질환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고, 기도 폐쇄 없이 적절한 치과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적절한 양의 프로포폴을 투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목적의 적절한 프로포폴의 투여량에 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어, 본 연구에서는 후향적 방법으로 환자에게 투여된 프로포폴의 양을 조사하여 목표농도조절법(TCI)시 프로포폴의 적절한 목표 농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윤리위원회 승인을 얻은 뒤, 2009년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프로포폴을 TCI를 이용해 깊은 진정을 시행한 심한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진정기록지의 프로포폴의 농도 정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장애인 진료실 마취대장을 이용하여 나이가 15세 이상으로 농도 조절법으로 프로포폴을 투여한 환자를 추출하였다. 각 환자의 진정기록지를 평가하여 깊은 진정을 위해 프로포폴 목표농도를 2-3 mcg/ml로 설정하여 투여를 하였으며, 환자의 진정상태와 BIS 그리고 기도상태에 따라 프로포폴의 농도를 0.5 mcg/ml 씩 조정한 기록이 있는 모든 환자를 선택하였다. 환자의 정보와 프로포폴 투여 농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결 과: 총 73 명 (남자 40명, 여자 33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31 ± 17 (15 –81) 세였다. 모든 환자는 심한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상 환자의 장애의 종류는 정신지체 21명, 자폐 16명, 뇌질환 및 뇌성마비 16명, 경련 질환 7명, 다운증후군 5명, 치매 3명, 시각장애인 3명, 2명은 심한 구역 반사를 가지고 있는 환자였다. 적용된 치과 시술은 충치 치료, 발치, 스케일링, 임플란트 식립등이 포함되었으며, 평균 진정법 시행시간은 72 ± 19 (40 – 145)분 이었다. TCI 정주를 위한 초기 농도는 3.0 ± 0.6 (1.5 - 5.0) ) mcg/ml 였으며, 안정화된 후 농도는 was 2.9 ± 0.7 (1.0 - 5.0) mcg/ml mcg/ml 이었다. 이때의 평균 BIS 값은 57.2 ± 13 (28 – 82)이었으며 치과치료 중 특별히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심각한 기도 폐쇄는 발생하지 않았다. 모든 환자는 53.9 ± 18,2 (20 – 150)분 동안 회복 실에서 머문 후 퇴원하였다.

결론 : 지적 장애 환자의 깊은 진정을 위한 목표농도를 평균 3.0 mcg/ml 로 적절한 치과치료가 가능하였다.

주요어 : 지적장애인, 치과치료, 깊은 진정, 프로포폴 목표농도
학 번 : 2011-23818
Abstract
Effect Site Concentrations of Propofol for Dental Treatment under Deep Sedation in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Brian Seonghwa Lee
Department of Dental Anesthesiolog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roduc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effective dental treatment in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verbal communication. Usually ambulatory general anesthesia is selected as a method of behavioral management in long-duration procedures. But, intravenous deep sedation is also effective in simple and short-time dental treatments for them. Propofol is the most commonly used anesthetic for sedation and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is useful for dental treat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and maintain an adequate depth of sed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because of problems with airway maintenance during dental treatments, inappropriate pain control and co-morbidities of brain and internal orga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adequate propofol target concentration for dental treatment in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Patients and Methods: After approved by the IRB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 undertook retrospective review of the sedation service records of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who underwent dental treatment under propofol sedation from January 2009 to May 2012. For these patients we provided deep sedation using propofol TCI infusion pump at the initial target concentration of propofol 2 - 3 mcg/ml according to patients. To provide an adequate deep sedation state, we adjusted the target concentration of propofol 0.5 mcg/ml per every step according to the state of unconsciousness, and the conditions of sedation and the side effects such as airway problems. When the conditions were stabilized to do dental treatment we maintained the concentration without change and we recorded the concentration changes. We evaluated the initial target concentration, stabilized concentration of propofol and monitored vital signs, including BIS score using sedation records.

Result: Total 73 patients (40 male and 33 femal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average ages of the patients were 31 ± 17 (15 – 81) years old. Every participant was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who were 17 of mental retardation, 16 of autism, 16 of brain and cerebral palsy disorder, 7 of epilepsy, 5 of Down syndrome, 6 of dementia and blind, and 2 of severe gag reflex patients. The kinds of dental treatment were cavity treatment, surgical tooth extraction, crown setting treatment, scaling, and dental implantation. The mean sedation duration was 72.5 ± 19.8 (40 – 145) minutes. The initial Propofol target concentration infusion amount was 3.0 ± 0.6 (1.5 - 5.0) mcg/ml. The propofol effect site concentration was 2.9 ± 0.7 (1.0 - 5.0) mcg/ml. The average value of BIS was 57.2 ± 13 (28 – 82).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re were no sudden movement of the patients and severe airway obstruction. Every patient was discharged after a 1-hour period of recovery room stay.

Conclusion: The propofol effect site concentration for deep sedation in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was lower than during the procedure of fiberoptic intubation for ordinary adults. However, using titration of target concentration, propofol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was a useful and safe method in their management during dental treatment.

Keywords : intellectually disabled, dental treatment, deep sedation, propofol target concentration
Student Numbers : 2011-2381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1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