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EG 기반 멀티모달 일화기억 과정 연구 : EEG Correlates of Multimodal Episodic Memory Form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병탁-
dc.contributor.author이충연-
dc.date.accessioned2017-07-19T08:38:28Z-
dc.date.available2017-07-19T08:38:28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26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119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뇌과학전공, 2013. 2. 장병탁.-
dc.description.abstract일상에서 획득되는 수많은 에피소드와 경험적 지식들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고 인출되는 과정 및 구조는 기억 연구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이슈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비침습적 뇌영상 기법들이 발달됨에 따라 기억 처리와 관련된 특정 뇌 영역의 기능적 역할들이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뇌가 접하는 대다수의 자연적 감각 자극들이 동적이고 멀티모달한 특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연구들에서는 조건적이고 정적인 실험 자극이 제시되는 다소 통제적인 실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현실과 유사한 경험이 반영되는 일화기억 과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서술적 요소가 포함된 비디오를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고, 각각 자율적/강제적인 기억 인출을 유도하는 실험 과제를 통해 일화기억 처리과정과 이때 측정된 뇌영상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제시된 자극을 저장하고, 인출하는 단계에서의 피험자 뇌전도를 측정하고,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주파수 대역별 특징들을 추출하여 비교하였으며, 인출 단계에서 피험자의 응답 시간을 기록하여 행동 요소를 고려한 분석에 대한 지표로 삼았다. 실험 결과에서는 비디오와 같이 멀티모달한 실험 자극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존 연구들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반응시간과 같은 행동 요소를 통해 기억 과정과 관련된 뇌전도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이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연구의 제약사항 3
3.1. EEG 측정의 제약 3
3.2. 실험 대상의 제약 4
3.3. EEG 주파수 대역의 제약 4

II. 이론적 배경 5
1. 기억의 구조 5
1.1. 기억의 정의와 종류 5
1.2. 정보 획득과 인출의 뇌 구조적 차이 7
2. 뇌영상 기술 8
2.1. 기능적 뇌영상 기술의 종류 8
2.2. EEG 측정의 원리와 분류 9
3. 기억 관련 연구 11
3.1. 기억 연구의 방법과 특징 11
3.2. 기억 과제 관련 EEG 연구 13

III. 연구 방법 15
1. 실험 대상 15
2. 실험 자극 15
3. 실험 절차 16
4. EEG 측정 및 분석 18
4.1. EEG 측정 방법 18
4.2. 전처리 과정 19
4.3. EEG 분석 방법 20

IV. 결과 및 논의 22
1. 기억 저장과 인출 단계에서의 뇌 반응 차이 22
2. 응답 시간을 고려한 분석 25
3. 기타 요소 분석 28

V. 결 론 30

참고문헌 31
영문요약 41
부록 4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559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일화기억-
dc.subject기억인출-
dc.subject멀티모달자극-
dc.subject뇌전도-
dc.subject반응시간-
dc.subject.ddc611-
dc.titleEEG 기반 멀티모달 일화기억 과정 연구-
dc.title.alternativeEEG Correlates of Multimodal Episodic Memory Form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ng-Yeon Le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v, 50-
dc.contributor.affiliation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뇌과학전공-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