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우리글 읽기에서 나타나는 중심와주변부 의미 미리보기 효과 : Parafoveal Semantic Preview Effect in Reading of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주혜

Advisor
고성룡
Major
인문대학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안구운동 추적우리글 읽기중심와주변 미리보기경계선 기법표기 체계의미 정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2015. 8. 고성룡.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의미 정보가 우리글 읽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우리글은 한글이라는 독특한 표기체계를 통해 영어와 비슷한 소리글자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글자 안에 있는 뜻은 한자어로부터 많은 부분에 영향을 받았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선행 연구에 의하면 우리글과 공통적인 특성을 공유하고 있는 두 언어 체계의 읽기 과정에서 의미 정보가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영어권을 필두로 한 알파벳 언어권에서는 글 읽기 과정에서 의미 정보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Rayner, Balota와 Pollatsek,, 1976
Rayner, Schotter과 Drieghe, 2014). 반면에 한자어를 사용하는 중국어의 경우에는 의미 정보가 읽기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Yan, Richter, Shu와 Klielgl., 2009
Yan, Risse, Zhou와 Kliegl., 2012). 이러한 상반된 결과를 통해 우리글의 읽기 과정에서 의미 정보의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여부는 흥미로운 연구 주제가 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이 설계되었다. 실험 1에서는 중심와주변부, 즉 우리의 시야 중 중심시야의 바로 근처에서 단일 단어의 의미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경계선 기법을 이용한 어휘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어휘 판단 과제란, 실험 참여자의 안구 위치가 단어 자극이 제시되는 화면에 있는 가상의 경계선을 넘어가는 짧은 시간 동안에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를 바꾸어 주고, 화면에 제시된 단어가 의미를 가지는 단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반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과제이다.
미리보기 단어는 하나의 표적 단어당 미리보기 단어(예: 경계)와 표적 단어(예: 경계)가 동일한 조건과 미리보기 단어(예: 경계)와 표적 단어(예: 감시)가 의미적 관계를 가지는 조건, 미리보기 단어(예: 경계)와 표적 단어(예: 병폐)가 시각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조건,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가 아무 관련이 없는 조건의 총 4가지 조건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실험의 결과,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가 동일한 조건은 다른 모든 조건들보다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가 의미적 관계를 가지는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은 두 단어의 의미 관계가 없는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에 비해 유의미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 간의 의미적 연관성이 표적 단어 처리에 대한 미리보기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의 시각적인 유사성을 가지는 조건에서는 두 단어가 무관한 조건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마찬가지로 경계선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실험 1에서 사용한 단어 자극보다 좀 더 큰 언어 단위인 문장을 자극으로 이용한 안구운동 실험을 진행했다. 미리보기 단어의 조건은 실험 1과 동일했다. 실험 2에서는 참여자에게 하나의 문장이 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고, 문장을 읽는 동안의 안구 위치를 추적했다.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가 바뀌는 영역에서의 눈 고정시간을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가 동일한 조건은 다른 모든 조건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가 의미적 관계를 가지는 조건에서의 반응시간 또한 두 단어의 의미 관계가 없는 조건에서의 반응시간에 비해 유의미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 1과 같이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의 시각적인 유사성을 가지는 조건에서는 두 단어가 무관한 조건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 2의 결과는 미리보기 단어와 표적 단어 간의 의미적 연관성이 표적 단어 처리에 대한 미리보기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 실험 1의 결과를 지지하며, 우리글에서 중심와주변부에 제시된 의미 정보가 읽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소리글자이면서도 글자의 뜻은 한자의 영향을 많이 받은 특징을 지닌 우리글에서 의미 정보가 읽기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표적 단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단어의 선정에서의 문제는 후속적인 보충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읽기 과정에서의 의미 미리보기 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로 영어와 중국어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므로, 두 언어권 이외의 다른 문자체계를 사용하는 언어권에서의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quired whether semantic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preview word in parafoveal viasul field, while reading Korean words or sentences. Two experiments using Boundary Paradigm(Rayner, 1975) were conducted. Both experiments used 2-character Korean words as a target and preview words. There were four preview word conditions
identical (e.g., 경계), synonymous (e.g., 감시), visually similar (e.g., 병폐), unrelated (e.g., 참회). Experiment 1 used word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which asked to make decision that the given word on the monitor was meaningful word in Korean. A reaction time of each trial was measured for the analysis. As the result, the identical preview condition showed the significantly fastest reaction time among the all conditions. Also, a reaction time of the synonymous preview condition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unrelated preview condition, indicating the existence of semantic preview effect. In experiment 2, the study used sentences, as a bigger unit of language. Participants of experiment 2 performed simple sentence reading task. Three kinds of fixation time of target area was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raditional preview effect on the identical preview condition, The synonymous preview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shorter fixation time than unrelated preview condition. It means that the results of experiment 2 also showed semantic preview effect, supporting the results of experiment 1. These results of both experiments indicate that semantic information in parafoveal vision would be extracted while reading Korea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7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