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王思任 遊記文의 공간인식 연구 : Space Recognition in Wang Siren[王思任]s Travel Not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우나영

Advisor
오수형
Major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晩明 時期王思任遊記文空間認識풍경(landscape)미적거리(aesthetic distan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2014. 8. 오수형.
Abstract
유기문에는 낯선 공간(space)을 의미화하여 장소(place)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주체의 행위가 나타나는데, 이때의 공간은 낯선 공간과 친숙한 장소 사이에 존재하는 미학적인 풍경(landscape)이다. 이러한 공간인식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곧 작가의 세계관과 한 시대의 사회문화상을 분석하는 것과 같다.
산수 공간의 아름다움은 魏晉南北朝 시기에 처음 발견되지만, 이때의 공간은 일종의 이상향으로서의 虛景이었다. 한편 唐宋 시기 문인들은 命名, 감정이입 등의 방식을 활용하여 공간을 의미화하고 자신만의 장소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에서 공간과의 일정한 미적 거리(aesthetic distance)를 유지하는데 실패하고 말았다. 이러한 공간인식은 엄밀한 의미에서 미적 감상이라고 할 수 없다.
한편 明나라 중엽 이후 사회경제의 발전과 陽明學의 발전에 힘입어 유람 문화가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공간을 주체에 의해 파악되는 심미적인 대상으로 파악하는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 시기 문인들에게 유람은 쾌감을 주는 유희 활동이었으며, 공간은 道의 擔持體로서의 산수가 아니라 現前하는 감각적인 대상인 풍경으로 인지되었다.
본 논문은 만명 시기 대표적인 유람객인 王思任(1574-1646)의 《遊喚》을 비롯한 47편의 유기문을 공간인식의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왕사임 개인의 세계관을 살피고 더 나아가 晩明 시기의 사회문화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왕사임은 표면적으로는 공간과의 합일을 지향하나, 실제로는 공간을 소유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망을 표출하고 있다. 그는 공간을 압도하고 소유하려는 과정에서 공간과 갈등하고 대립하기도 한다. 그래서 그의 유기문에는 정통 문인들이 지향하는 공간과의 합일을 통한 優美의 감정보다는 대립과 충돌에서 파생되는 崇高의 감정이 더욱 부각되어 있다. 또한 왕사임은 명승지 등의 세속적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기문을 많이 남겼다. 공간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인간의 감정과 욕망이 긍정된 당시의 사회상을 잘 보여준다.
왕사임은 공간을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일종의 玩物로 간주하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기화하고자 하였다. 왕사임이 공간을 이해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공간의 감각적인 아름다움을 향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공간에 축적된 역사․문화적 지식 및 개인적 의미 등을 활용하여 공간의 문화적 의미를 향유하는 것이다.
왕사임은 이러한 공간인식을 텍스트 속에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문학적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그는 역동적인 공간체험을 생생하게 재현하기 위해 대화체 및 白話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이는 당시 유행하던 小品體 유기문의 전형적인 수법이었다. 또한 왕사임은 공간의 감각적인 아름다움을 재현하기 위해 다양한 수사를 활용하여 세밀하게 경물을 묘사하였다. 개성적인 비유와 산수의인화 수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한편 그는 공간의 역사․문화적 의미를 활용하기 위해, 수많은 典故를 활용하여 공간의 시공간적 의미를 증폭시켰다. 또한 그는 組合化와 節目化라는 독특한 구성 체제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공간경험을 시공간적으로 분절하거나 결합시킴으로써 공간의 모습을 재구성하고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왕사임 유기문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소품문이라는 문체 및 해학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그의 유기문이 지니는 가장 큰 특색은 바로 새롭고 주체적인 공간인식을 전면에 담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유기문은 만명 시기에 새롭게 나타난 공간인식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준다.
In travel notes, there is a recognition activity which changes strange and abstract space into a familiar and concrete place. At this time, space is an aesthetic 'landscape' that exists between space and place. Analyzing Space Recognition is equal to analyzing the writer's world-view and society's culture.
The beauty of Nature space was first found in the Wei[魏] and Jin[晉] periods, but at this time space was imagined as a utopia. In the Tang[唐]and Song[宋] dynasties, writers of travel notes failed to keep their 'aesthetic distance' in the process of making space into their own and meaningful place by naming or empathy for spaces.
In the Late Ming[晩明] Period, while the travel industry grew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and Yangmingxue[陽明學], there was a revolution in space recognition. Writers started to recognize spaces as an aesthetic art. Travel was a type of play that gave enjoyment, and space was recognized as a visual-perceptual, sensuous 'landscape,' not a materialization Dao[道],a kind of imaginary utopia.
This paper is aimed at understanding Wang Siren[王思任]'s Space Recognition by analyzing his 47 travel notes, including 《Youhuan[遊喚]》. He was a famous and influential writer in the Late Ming Period, and traveled widely across China during his life. His travel notes reflect the change in space recognition in the Late Ming Period.
Wang Siren superficially wanted a mystic union with nature, but actually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possess nature. To be an owner of nature, he often conflicted with nature. In his travel notes, sublime[崇高] beauty caused by tension and conflicts with nature appeared remarkable rather than graceful[優美] beauty caused by harmony with nature. In addition Wang Siren wrote lots of travel notes dealing with secular space like famous beauty spots and villages. His attitude about space concretely shows positive thoughts about the emotions and desires of humans at this time.
Wang Siren regards space as entertaining, and tried to make space into his own meaningful place using various methods. First he tried to enjoy the sensuous beauty of space. Secondly, making full use of cultural knowledge and personal reminiscences of space, he enjoy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of space.
To embody these kinds of space recognition in his travel notes, he used various literary devices. First he used a dialogue style and vernacular language[白話] to embody his dynamic space experience. This is a typical style of xiaopinwen[小品文], much in fashion at that time. Secondly, he used diverse rhetoric for detailed descriptions of sensuous space. Simile and personification were mainly used. Thirdly, to amplify cultural meaning and visuospatial memory of space, he used lots of literary quotations [典故]. Fourthly, he used unique structures of text like combination style[組合化] and section style[節目化] to embody his own space experience.
The earlier studies on Wang Siren's travel notes were focused on his style of writing as a xiaopinwen and provided a vein of humor. But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his travel notes is that these texts convey an independent attitude toward space that reflects cultural changes in the Late Ming Perio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8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