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태평성시도> 연구: 등시(燈市)로 표현된 태평성대 : A study of The City of Supreme Peace: The Era of Great Peace Represented by the Lantern Fai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지민

Advisor
장진성
Major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태평성시도(太平城市圖)태평(太平)등회(燈會)등시(燈市)팔경시(八景詩)왕화(王化)The City of Supreme PeaceTaepyeongseongsi doThe era of great peacetaepyeongLantern FestivalDeunghoeLantern FairDeungsiThe “Eight Scenes” poemsPalgeongsiThe benevolent rule of the sovereignwanghwa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고고미술사학과, 2017. 2. 장진성.
Abstract
는 상업 활동이 정밀하게 묘사된 성곽도시를 그린 도시풍속화이다. 이 작품은 19세기 전반 경에 제작된 상업화와 도시화의 이상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작품으로 알려져 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그림에 나타난 상업 공간을 도시를 상징하는 하나의 하위 요소인 상설 시장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는 도시의 전반적인 경관을 담았다기보다 상업 공간의 묘사에 많은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편 상업 공간의 묘사만큼이나 흥미를 끄는 요소는 그림의 전면에 걸쳐 그려진 상당한 수의 등(燈)과 여성 및 아이들이 많이 등장하는 등장인물의 구성이다. 본 논문은 에 보이는 독특한 등장인물의 구성 및 등(燈)의 표현을 바탕으로 작품의 상업 공간이 특수한 성격의 시장인 등시(燈市)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는 등시를 통해 태평성대(太平聖代)를 시각화한 작품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가 등시를 그린 작품이라는 근거는 그림의 여러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는 축제의 분위기를 더하는 다양한 등이 그림의 전면에 걸쳐 그려져 있다. 는 세시풍속지(歲時風俗志)에 기술된 조선 후기 등회(燈會)의 풍속이 사실적이며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에 그려진 등(燈)을 파는 상점은 등회에 맞춰 일시적으로 공양용(供養用) 등을 파는 잡화점이다. 의 상점들은 생활용품보다는 특이한 고가의 사치품들을 많이 팔고 있다. 기록에 따르면 등시는 전국에서 진이(珍異)한 물건을 가지고 모여 교역하는 장소였다. 그림에는 등회의 공연으로 알려진 서양추천(西洋鞦韆)이 그려져 있다.
가 등시를 그린 작품이라고 가정할 경우 화면에 등장하는 이례적인 인물의 구성도 자연스럽게 설명이 된다. 에는 유난히 여성과 어린이가 많이 등장한다. 문헌 사료들을 검토한 결과 등회는 여성과 어린이들이 적극적으로 즐겼던 세시 명절이었다. 의 여성들은 실내와 실외를 가리지 않고 여러 가지 노동과 유흥 활동에 적극적인 모습으로 나타나있다. 특히 거리에 가족과 함께 나들이를 나온 여성 노인의 모습은 동아시아 그림의 전통에서 보기 힘든 장면이지만 등회와는 깊은 연관성이 있다. 에는 다양한 어린이의 생활이 그려져 있으며 독특하게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는 아이들이 많다. 등시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장난감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한편 에는 거리의 인구 밀도가 매우 높게 표현되어 있다. 그림을 자세히 보면 의도적으로 많은 요소를 그려 넣으려 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이러한 표현들은 등회를 보기 위해 전국의 사람이 몰려들어 거리가 발을 딛을 틈도 없이 복잡했다는 기록을 떠올리게 한다.
그런데 속 상업 공간은 조선의 등시를 그리고자 한 것은 아니다. 는 중국풍(風)의 건축물과 인물들로 가득 차 있으며 중국과 조선은 등회의 풍속을 공유하고 있었다. 에서 조선의 등시에만 한정된 표현은 등과 등간(燈竿)뿐이다. 같은 시기 제작되었던 는 당대(當代)의 풍속이라는 시간성과 한양이라는 장소성이 분명히 내재된 그림이다. 또한 조선의 등회는 사월초파일에 종로에서 청계천을 아우르는 범위에서 열려 구체적인 시간성과 장소성이 명확했다. 그러나 에는 조선 후기 등회의 시간성과 장소성을 드러내는 표현이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는 등시라는 풍속을 소재로 어떤 이상 사회를 표현한 작품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문학에서 등회의 경관은 일관되게 왕화(王化)로 구현된 태평성대로 해석되었다. 이는 등회의 경관을 하나의 소표제(小標題)로 포함한 팔경시(八景詩)가 조선시대 전체에 걸쳐 유행했던 사실과 관련이 깊다. 조선의 팔경시는 개별적으로 선택된 여덟 개 이상의 경물이 모두 물상을 읊조리며 왕화를 칭송하는 구조적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등회의 경관은 조선시대 팔경시의 출발점에서 왕화로 구현된 태평성대를 상징하는 하나의 기호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등회의 경관은 팔경시의 전통 속에서 꾸준히 재생산되며 왕화로 태평성대가 구현된 상징성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등공양(燈供養)은 단순한 공양 행위로 하나의 상징성을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등회는 주도하는 집단이 선택적으로 구성한 제례 행사의 절차 및 봉헌되는 각종 공연에 의해 그 성격이 좌우되었다. 왕화로 이룩된 태평성대라는 상징성은 상원연등회(上元燃燈會)의 정체성이다. 조선의 문학은 상원연등회의 정체성을 채택하여 등회를 노래했다. 중국에서 시작된 상원연등회는 기원부터 왕권과 관련을 갖고 발전했다. 상원연등회는 송대(宋代, 960~1279) 이후부터 황실의 주도 하에 개최되면서 왕화로 구현된 태평성대라는 상징성이 강화되었다. 상원연등회는 삼국시대의 단편적인 기록으로 그 전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고려시대에는 국가 주도의 주요한 행사로 발전했었다. 고려의 상원연등회는 중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왕조의 공덕을 추앙하고 왕실의 번영을 송축하는 절차와 공연으로 구성되었다.
조선 전기 팔경시 속의 등회는 고려시대 상원연등회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인다. 상원연등회는 조선 태종대(太宗代, 1400~1418)까지 사월연등회와 공존했었다. 또한 당시 사람들은 고려시대의 상원연등회에 관한 구체적인 절차와 내용에 대해서도 숙지하고 있었다. 팔경시의 흐름 외에 상원연등회의 정체성을 이어준 것은 정조사(正朝使)의 연행 경험이었다. 조선에 전해진 정조사의 연행 경험은 등회의 경관이 가지는 상징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상원연등회의 구체적인 절차와 공연 내용은 왕과 왕실을 송축하고 권위를 확인하는 성격이 강하다. 는 상원연등회의 상징성을 기반으로 하는 등시를 그린 그림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왕실을 송축하고 그 권위를 재확인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만의 고유한 성격은 상업화 및 도시화의 맥락에서 제작된 다른 작품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가 등시를 소재로 한 그림이라는 점은 작품의 제작자 및 제작 목적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등회는 왕과 왕실을 송축하는 상징이었다. 는 왕화로 상징되는 왕실의 권위를 위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The screen painting The City of Supreme Peace (Taepyeong seongsi do, 太平城市圖), currently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n imaginary urban landscape which describes specific and detailed commercial activities in a city surrounded by a fortress. This painting can be dated to the early nineteenth-century. It is known as a visualiza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late Joseon Korea (1392-1910). In previous studies, the commercial zone in the painting was thought of as a daily market, one of the elements that symbolize the city. However, the painting focuses more on depicting the commercial zone rather than sketching a cityscape. Besides the detailed depiction of the commercial zone, two fascinating elements of this picture are: (1) various kinds of lanterns that are scattered over the whole painting; and (2) the unusual composition of the people appearing in the painting.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commercial zone depicted in the painting is a Lantern Fair (燈市), thus explaining the peculiarities in the description of the commercial zone in the painting. Furthermore, The City of Supreme Peace is suggested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era of grand peace (太平) represented by the Lantern Fair. There are many pieces of evidence that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commercial zone in the painting is a Lantern Fair.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lanterns over the whole painting, exuding a festive atmosphere. The customs of a Lantern Festival (燈會) in the late Joseon dynasty described in the books of seasonal customs (Sesipungsokji, 歲時風俗志) are realistically and closely reflected in this painting. The shop that sells lanterns is actually a general store which temporarily sells lanterns for the Lantern Festival. Most of the merchandise in this painting are not a household items but high-priced luxury products, consistent with historical records of Lantern Fairs. This painting also contains a swing circus (西洋鞦韆) known as a performance often seen in a Lantern Festival.

Assuming the commercial zone presented in The City of Supreme Peace is a Lantern Fair, the distinctive characters in the painting are now naturally explained. There are many women and children in the painting, unlike the usual depiction of a marketplace which is dominated by men. Review of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the Lantern Festival was a holiday for women and children. In the painting, all women both indoor and outdoor are very active in labor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There are old women enjoying the festival with their families on the street in the painting, which is an extremely rare case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 painting. But it is very relevant to the historical sources about a Lantern Festival. There are a variety of childrens activities in the painting. That children carrying multifarious toys are easily observed is an interesting case. Toy stores for children are established in a Lantern Fair. The population density in the street is very high. A close look at the picture confirms that many elements are drawn intentionally for complexity. These portrayals remind us of the records that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gathered to see a Lantern Festival and the streets were too crowded.

The City of Supreme Peace does not represent the Lantern Fair of Joseon Korea. This painting is full of Chinese architectural buildings and people in Chinese hair style and clothing. The only element unique to Joseon Korea is the description of various lanterns. The Landscape of the Capital City (Seongsi do, 城市圖) drawn at the same period is a painting which contains exact information about time and place. It depicts the customs of the capital city of Hanyang (漢陽, present-day Seoul) during the eighteenth-century. The Lantern Fair of the Joseon dynasty is also known to take place at specific time and place. It was held from Cheonggyecheon (靑溪川) to Jongro (鍾路), two of the major districts of Hanyang, on April 8. But, there are not any elements reflecting such information in the painting. For this reason, The City of Supreme Peace is presumed to be a painting of a certain ideal society whose characteristics can be explained by the custom of a Lantern Fair.

The scenery of a Lantern Festival is consistently interpreted as the era of great peace accomplished by the benevolent rule of the sovereign (王化) in litera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composing poems about the scenery of a Lantern Festival as a subtitle (小標題) of the Eight Scenes poems (八景詩) prevailed in the Joseon dynasty. The Eight Scenes poems consist of more than eight individually selected scenes. Each scene praises the era of great peace accomplished by the benevolent rule of the sovereign. The scenery of a Lantern Festival seems to have become a symbol of the era of great peace at the beginning of the Eight Scenes poems of Joseon Korea. The symbolic meaning of a Lantern Fair was continuously reproduced with the Eight Scenes poems as an influential work of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 of a Lantern Festival chang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leading group that holds the festival. Since a lantern is just one kind of offerings, it cannot have a certain special symbolic meaning. Therefore, the character of the Lantern Festival is constructed by the procedures and performances selected by the leading group. The era of great peace is the symbolized meaning of the Lantern Festival on the fifteenth day of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Sangwon Yeondeunghoe, 上元燃燈會, Ch. Yuanxiao denghui 元宵灯会). It was the identity of the Sangwon Yeondeunghoe that the Eight Scenes poems of Joseon Korea sang of.

Al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views about the origin of the Sangwon Yeondeunghoe can be traced back to ancient China. From its beginning, the Sangwon Yeondeunghoe has always been intimately linked to the authority of the king. It was organized by the Chinese imperial court from the Song dynasty. Accordingly, the Sangwon Yeondeungho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ymbolic meaning of the era of great peace. A few fragmentary historical records of the Sangwon Yeondeungho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 have survived. It developed to be a major ceremony which was held by the royal court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As a result, the Sangwon Yeondeunghoe of the Goryeo was composed of the procedures and performances for praising and venerating the royal court.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cenery of the Lantern Festival in the Eight Scenes poem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seems to be based on the meaning of the Sangwon Yeondeunghoe of the Goryeo. Until the Joseon king Taejong (太宗, r. 1400-1418) abolished Sangwon Yeondeunghoe, both Sangwon Yeondeunghoe and the Lantern Festival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our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coexisted as the two Lantern Festivals in early Joseon dynasty. People of the time were well informed of the details of the Sangwon Yeondeunghoe of the Goryeo. Except for the continuous tendency of the Eight Scenes poems, it was the experience of Yeonhaeng (燕行 trip to Beijing) that kept the identity of the Sangwon Yeondeunghoe. The information on the Sangwon Yeondeunghoe of China collected by Yeonhaengsa (燕行使 Korean emissaries to China) was known to Korea. It could help to retai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cenery of the Lantern Festival.

In conclusion, The City of Supreme Peace served as a means of venerating the royal court and reconfirming the authority of the king by adopting the scene of a Lantern Fai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reen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paintings that were created in the context of commercialization and urbaniz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2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