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인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분만 후 경구당부하검사를 이용한 당뇨병 발병의 예측 : Predi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using postpartu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Korean women with previous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학철-
dc.contributor.author김영기-
dc.date.accessioned2017-07-19T10:09:50Z-
dc.date.available2017-07-19T10:09:50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19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35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상의과학과, 2013. 2. 장학철.-
dc.description.abstract서론: 임신성 당뇨병은 여성의 당뇨병 발생에 있어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경력이 있는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분만 후 경구당부하검사 지표들과 정맥당부하검사 지표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분만 후에 시행한 경구당부하검사 지표들과 임상적으로 중요한 신체계측치수만을 이용하여 분만 후 장기적인 당뇨병 발생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며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158명의 임신성 당뇨병 여성을 대상으로 분만 후 6주, 1년, 2년, 3년에 75 g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고, 분만 후 1년에는 정맥당부하검사도 함께 시행하였다. 분만 후 1년 경구당부하검사에서 얻어진 인슐린 분비능 및 인슐린 감수성 관련 지표들과 분만 후 1년 정맥당부하검사를 통해 얻어진 급성인슐린분비반응(acute insulin response to glucose, AIRg) 및 인슐린감수성지표(insulin sensitivity index, SI)를 Box-Cox 변환으로 정규분포 변환한 후 이들의 상관성을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여 증명하였다. 당뇨병 발생에 위험인자로 제시될 수 있는 변수들을 발굴하기 위해 분만 후 추적 관찰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여성들과 당뇨병으로 진단되지 않은 여성들의 임상적 특성을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또한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초기 임상적 특성, 신체계측치수, 75 g 경구당부하검사 지표, 정맥당부하검사 지표들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이후, 앞서 얻어진 위험인자들을 바탕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예측모델을 수립하였고 분만 후 당뇨병 발생을 예측하였다. 만들어진 예측모델로 ROC 곡선을 작성하여 분만 후 당뇨병 예측에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분만 후 1년에 시행한 정맥당부하검사를 이용한 인슐린 분비능 지표인 급성인슐린분비반응은, 분만 후 1년의 인슐린분비능지표(insulinogenic index, IGI)30 (r=0.707, p<0.01)과 의미 있는 상관성을 보였다. 정맥당부하검사의 인슐린감수성지표는 분만 후 1년의 여러 인슐린 감수성 관련 지표들과 상관성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Matsuda 지표와 가장 강한 상관성 (r=0.496, p<0.01)을 보였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기간 중 체중 증가, 분만 후 6주에 시행된 경구당부하검사에서 얻어진 120분 혈장 포도당 농도, 분만 후 6주의 HOMAβ를 이용하여 분만 후 3년 내 당뇨병 발생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고, ROC 곡선 분석에서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은 0.867 (p<0.001)이었다.
결론: 분만 후 경구당부하검사 지표들과 분만 후 정맥당부하검사 지표들 간의 상관성을 증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분만 후에 시행한 경구당부하검사 지표들과 간단한 신체계측치수를 이용하여 분만 후 3년 내 당뇨병 발생에 대한 예측 모델을 수립 하였다. 수립된 예측 모델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된 논문들보다 임상적으로 유용한 강점이 있고 장기적인 당뇨병 발병을 예측할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초록-----------------------------------i
목차-----------------------------------iii
도표 및 그림 목록---------------------------iv
1. 서론---------------------------------1
2. 대상 및 방법----------------------------7
3. 결과--------------------------------15
4. 고찰--------------------------------32
5. 참고문헌------------------------------38
6. 초록 (영문) ----------------------------4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3613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임신성 당뇨병-
dc.subject경구당부하검사-
dc.subject당뇨병-
dc.subject예측모델-
dc.subject.ddc610-
dc.title한국인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분만 후 경구당부하검사를 이용한 당뇨병 발병의 예측-
dc.title.alternativePredi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using postpartu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Korean women with previous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eong Gi Ki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44-
dc.contributor.affiliation의과대학 임상의과학과-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