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백서의 전뇌 허혈 모델에서 유도 고혈압에 의한 신경학적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예름

Advisor
전영태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뇌 허혈 모델유도 고혈압신경 보호 효과세포 괴사세포 자멸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5. 2. 전영태.
Abstract
서론: 뇌에 허혈 손상이 가해지는 경우 신경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처치들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뇌허혈은 대부분 예측하지 못 한 경우에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뇌졸중이 발생한 이후에 적용할 수 있는 처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뇌허혈 후 유도 고혈압을 적용한 동물 실험에서 뇌혈류가 개선되는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도 고혈압이 신경 보호 효과를 가져오는지 세포 수준에서 검증된 바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백서의 전뇌 허혈 모델을 이용하여 유도 고혈압이 신경 보호 효과를 가져오는지 조직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체중 280 - 350 g의 Sprague-Dawley 수컷 백서 20 마리를 유도 고혈압 군과 대조군에 각 10마리 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양측 총경동맥을 겸자하고 혈압이 30 mmHg가 되도록 채혈하여 8 분 동안 전뇌 허혈을 유발한 후 다시 혈액을 주입하고 경동맥의 겸자를 풀었다. 유도 고혈압 군에서는 재관류 후 10 분 동안 평균 동맥압을 기저 혈압보다 20 mmHg 이상 유지되도록 phenylephrine 을 5 μg씩 투여하였다. 실험 1 주일 후 해마 CA1 부위에서 괴사된 세포 수와 세포 자멸사된 세포 수를 관찰하였다.

결과: 전뇌 허혈 및 재관류 1주일 후 괴사된 세포를 관찰하였을 때 생존 세포 수의 비율이 대조군에서는 26 ± 7%, 유도 고혈압 군에서는 35 ± 3% 였다. 생존 세포의 비율이 대조군보다 유도 고혈압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 = 0.004). 세포 자멸사된 세포 수의 비율은 대조군에서 43 ± 19%, 유도 고혈압군에서 57 ± 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165).

결론: 백서의 전뇌 허혈 모델에서 유도 고혈압은 단기적으로 세포 괴사를 감소시킴으로써 신경 보호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세포 자멸사 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7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