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간 포도막염환자의 황반부종 진단에있어 형광안저촬영 및 빛간섭단층촬영의불일치에 관한 연구 : Discrepancy in Fluorescein Angi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Findings of Macular Edema in Intermediate Uveiti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형곤-
dc.contributor.author김보혁-
dc.date.accessioned2017-07-19T10:29:53Z-
dc.date.available2017-07-19T10:29:53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5341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77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5. 8. 유형곤.-
dc.description.abstract목적: 중간 포도막염환자에서 발생한 황반부종을 진단함에 있어 형광 안저 촬영(FA)과 빛간섭 단층 촬영(OCT)결과의 불일치를 보고하고 이러한 불일치패턴에 따른 치료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보고하기 위함이다.
방법: FA와 OCT간의 황반부종 진단에 있어 불일치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치료 6개월 후에, 불일치 패턴에 따른 치료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FA와 OCT간의 불일치가 총 48안 중 21안에서 나타났다(44%). 교정시력은 일치군에 대해서는 치료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불일치군에 대해서는 개선되지 않았다. 중심 망막두께는 FA+/OCT+군과 FA-/OCT+군에서 치료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FA+/OCT-군에서는 감소하지 않았다. 평균 유병기간은 다른 군에서보다 FA+OCT-군에서 유의하게 더 길었다.
결론: 황반부종에 대한 FA와 OCT의 불일치는 중간 포도막염 환자에서 흔하게 나타났다. 우리의 결과는 치료 반응이 이러한 불일치의 패턴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환자와방법 3

III. 결과 6

IV. 토의 15

V. 참고문헌 21

VI. 영문초록 26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384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간 포도막염-
dc.subject황반부종-
dc.subject형광 안저 촬영-
dc.subject빛간섭 단층 촬영-
dc.subject불일치-
dc.subject.ddc610-
dc.title중간 포도막염환자의 황반부종 진단에있어 형광안저촬영 및 빛간섭단층촬영의불일치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Discrepancy in Fluorescein Angi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Findings of Macular Edema in Intermediate Uveiti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ⅲ, 26-
dc.contributor.affiliation의과대학 의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