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valuation of lymphedema in upper extremities by MR lymphangiography :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을 이용한 상지에서의 림프부종 평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재석

Advisor
최승홍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공명영상 림프관조영술림프부종림프관 신티그래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7. 2. 최승홍.
Abstract
목적: 상지 림프부종을 평가함에 있어서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의 유용성을 림프관 신티그래피와 비교하여 평가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본원의 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자원자 및 환자에서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우선 7명의 자원자에서 가도부트롤 피내주사를 한 뒤 3.0T 장비에서 지방포화 3차원 경사에코 자기공명 기법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의 프로토콜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일측성 림프부종 환자 6명에서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과 림프관 신티그래피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두 영상 기법의 실험 결과는 각각 2명의 영상의학과 의사와 1명의 핵의학과 의사가 분석하였으며, 림프 배액의 양상 및 지연 정도, 림프관과 림프절의 선예도, 그리고 림프관이 시각화되는 해부학적 높이의 다섯 가지 항목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환자의 임상 소견과 영상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각 환자에서의 진단 기준을 설정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과 림프관 신티그래피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은 모든 환자에서 지연된 림프 배액을 보여준 반면 림프관 신티그래피는 6명 중 5명의 환자에서 지연된 림프 배액을 나타내었다. 림프 배액 양상에 관해서는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과 림프관 신티그래피 각각에서 모든 환자에서 부분적으로 퍼져있는 림프 배액이 보였다. 액와부 림프절은 두 영상 기법 모두에서 시각화되지 않았다.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 상에서는 모든 환자에서 늘어나있는 림프관이 중등도의 선예도로 나타났으나, 림프관 신티그래피 상에서는 1명에서 중등도의 선예도로, 4명에서 불량한 정도의 선예도로 나타났으며 1명에서는 림프관이 보이지 않았다. 림프관이 영상화된 높이는 두 검사 모두에서 상완 1명, 전완 4명, 그리고 수부 1명이었다.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은 4개의 항목 모두에서 100퍼센트의 민감도를 보인 반면, 림프관 신티그래피의 민감도는 림프관 묘사 항목에서는 83.3퍼센트였고, 나머지 3개 항목에서는 100퍼센트였다.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의 특이도는 림프 배액의 지연 항목에서 85.7퍼센트였고 나머지 항목에서는 100퍼센트였으며, 림프관 신티그래피의 특이도는 림프 배액의 양상 항목에서 66.7퍼센트였고 나머지 항목에서는 100퍼센트였다. 두 검사의 각 항목 결과값에서는 림프 배액의 지연 정도와 양상이 83.3퍼센트에서 일치하였고 두 검사 모두에서 모든 환자의 액와부 림프절이 보이지 않았다. 관찰된 림프관의 해부학적 높이는 66.7퍼센트의 환자에서 일치하였다.
결론: 자기공명 림프관조영술은 림프관의 형태를 평가함에 있어서 림프관 신티그래피보다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그밖에 액와부 림프절의 조영증강 여부와 림프관 배액 평가에 있어서는 두 영상 기법이 모든 환자 또는 거의 모든 환자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validate usefulness of magnetic resonance (MR) lymphangiography for evaluation of peripheral lymphedema in upper extremities by comparison with lymphoscintigraph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had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 and written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tients. Initially, protocol of MR lymphangiography for upper extremity was established in seven healthy volunteers with 3.0T fat-saturated three-dimensional gradient-echo MR after gadobutrol injection. Then six patients with unilateral lymphedema of the upper extremities were examined with MR lymphangiography and lymphoscintigraphy, and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Results of both techniques were separately evaluated by two radiologists and a nuclear physician in terms of delay and pattern of lymphatic drainage, conspicuity of the visualization of lymph vessels and axillary lymph nodes, and enhancing levels of lymphatic system. We calculat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oth techniques by using a combined consensus of clinical presentations and imaging findings of the patients determined by the radiologist, nuclear physician, and referring physician as the reference standard. We also evaluated correlation of both techniques.
Results: MR lymphangiography and lymphoscintigraphy showed delayed drainage and partially diffuse drainage in all patients. Axillary lymph node was not visualized on both techniques. MR lymphangiography demonstrated lymphangiectasia with moderate conspicuity in all six patients while lymphoscintigraphy showed lymph vessels with moderate conspicuity in one patient, poor conspicuity in four patients, and no visualization in the other patient. Both MR lymphangiography and lymphoscintigraphy showed lymph vessels up to upper arm in one patient, forearm in four patients, and only hand in the other patient. MR lymphangiography showed sensitivities of 100% for all four categories, while lymphoscintigraphy yielded a sensitivity of 83.3% for delineation of lymph vessels and 100% for the other three categories. Specificity of MR lymphangiography was 85.7% for delay of drainage and 100% for other three categories, while lymphoscintigraphy showed specificity of 100% for delay of lymphatic drainage, depiction of lymph vessels and enhancement of axillary lymph nodes, and 66.7% for pattern of lymphatic drainage. Delay and pattern of drainage was same in 83.3% and non-visualization of axillary LNs was indistinguishably noted in all patients on both techniques. Anatomic level of enhanced lymph vessel was identical in 66.7% of the patients.
Conclusion: MR lymphangiography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depiction of lymph vessels. MR lymphangiography and lymphoscintigraphy yielded same results in all or most patients for evaluation of axillary lymph nodes enhancement and lymphatic drainage in upper extremity.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9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