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타악 합주곡 다드리Ⅰ에 사용된 전통 장단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우진-
dc.contributor.author심운정-
dc.date.accessioned2017-07-19T10:48:42Z-
dc.date.available2017-07-19T10:48:42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222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309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4. 8. 김우진.-
dc.description.abstract전통 음악에서 타악기는 빠르기와 강세 등을 조절하는 장단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타악기는 선율악기를 반주를 담당함으로서 부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이와 별도로 야외에서 활동하며 연주하기에 쉬운 타악기가 중심이 된 풍물굿이 생겨나면서 풍물굿은 마을공동체를 위한 마을굿으로써 농경 생활에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던 것을 시작으로 하여 타악기의 역할은 점차 주도적인 역할로 진화하게 되었고, 남사당패, 여성농악단을 거쳐 사물놀이의 탄생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1993년에 최초의 창작타악그룹 푸리가 한국의 장단이 세계의 민속 리듬은 물론 현대의 대중음악 리듬과 조화롭게 접목되기를 바라며 결성되었고, 국내 및 해외에서 다양한 연주 활동을 하였으며, 총 2장의 음반을 출반하였다. 사물놀이는 지역별로 전승되고 있던 풍물굿 가락들의 구성을 달리하여 무대작품으로 재창조하는 역할을 하였던 반면에, 푸리는 창작음악에서 전통적인 요소를 수용하였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타악기의 합주가 중심이 되어 구성된 푸리의 음악을 분석해봄으로써 창작 음악에서 전통 장단이 활용된 사례를 연구하였다. 그 중 에 수록된 다드리Ⅰ을 장단에 따라 총 4개의 단락으로 구분하여 창작음악에서 전통 장단의 수용양상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단락에서는 풍물굿의 시작에 연주하는 일채를 응용하여 따에서 타점을 촘촘하게 만들어가며 따드락으로 발전시켜 점차 박자를 추가하여 경기도당굿 중 진쇠장단에 도달하였다.
제2단락에서는 경기도당굿 중 발뻐드레장단에 호남우도굿 중 자진모리장단을 얹어 동시에 연주한다. 소박구조가 같은 2가지의 장단을 혼합하여 전통장단과의 차이를 두었으며, 자진모리 2장단이 굿거리 1장단과 같다는 점을 이용하여 제3단락의 굿거리를 이끌어내기 위한 이음새의 역할을 하였다.
제3단락에서는 제2단락의 자진모리장단을 완자걸이로 연주함으로써 영남농악 중 길군악장단을 연주하는 효과를 내서 제3단락의 기본 장단으로 활용하였다. 순서대로 1명씩 호남우도굿 중 굿거리장단의 다양한 변형 장단을 활용하여 독주하였는데, 독주자를 제외한 나머지 3명의 연주자는 제3단락의 기본 장단인 길군악장단을 연주한다.
제4단락에서는 제3단락의 길군악장단을 풀어서 연주하여 기존의 휘모리장단에서 1박을 빼고 휘모리 변형 장단을 연주한다. 그 후 제2, 3단락에서 사용하였던 길군악장단을 기본 장단으로 하여 각 주자가 자진모리장단과 굿거리장단을 얹어서 동시에 연주하고 마지막 부분에는 1명의 연주자가 후두둑가락을 추가하여 연주하여 클라이맥스를 만들었다. 또한, 전통적인 장구 연주법은 유지하되 양손에 모두 궁채를 사용하여 장구의 음색에서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작음악에 사용된 장단은 기존의 전통적인 형태 그대로, 혹은 기존의 형태를 응용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가 활발해져서 창작타악 분야의 레퍼토리 또한 다양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 연구범위와 방법 4
3. 선행연구검토 5

Ⅱ. 악단 및 악곡 6
1. 창작타악그룹 푸리 소개 6
가. 푸리 결성 목적/구성원 6
나. 연혁 및 활동 8
2. 다드리Ⅰ 소개 10
가. 악곡명의 의미 및 배경 10
나. 조율 방법 11

Ⅲ. 다드리Ⅰ 분석 13
1. 제 1단락 13
가. 제 1마디~제 43마디 13
나. 제 44마디~제 67마디 16
다. 제 68마디~제 91마디 18
2. 제 2단락 23
가. 제 92마디~제 115마디 23
나. 제 116마디~제 157마디 27
3. 제 3단락 32
4. 제 4단락 42
가. 제 266마디~제 275마디 42
나. 제 276마디~제 329마디 43
다. 제 330마디~제 353마디 44
라. 제 354마디~제 407마디 45
마. 제 408마디~제 439마디 46
바. 제 440마디~제 446마디 47
4. 전통 장단의 활용 사례 49

Ⅳ. 결론 52

참고문헌 54

Abstract 56

다드리Ⅰ 악보 57


표 목차

제 1단락에서 나타난 전통 장단의 양상 23
제 2단락에서 나타난 전통 장단의 양상 32
제 3단락에서 나타난 전통 장단의 양상 40
제 4단락에서 나타난 전통 장단의 양상 48



악보 목차

제 1마디~제 16마디 14
제 37마디~제 43마디 15
경기도당굿 중 진쇠장단 16
제 44마디 17
제 52마디 17
제 60마디 17
경기도당굿 중 올림채 18
제 64마디 18
제 68마디~제 73마디 19
경기도당굿 중 발뻐드레장단 19
웃다리풍물 중 마당삼채 연결가락 20
제 77마디~제 85마디 21
제 92마디~제 99마디 24
제 102마디~제 107마디 25
호남우도굿 중 북 독주 가락 25
호남우도굿 중 꽹과리의 자진모리 맺음가락 26
제 110마디~제 113마디 26
호남우도굿 중 자진모리 중간 맺음가락 27
삼도설장고가락 중 휘모리장단 28
영남풍물가락 중 길군악장단 앞부분 28
영남풍물가락 중 길군악장단 뒷부분 29
제 136마디~제 143마디 29
제 127마디 33
호남우도굿 중 굿거리 기본장단 33
제 164마디~제 173마디 33
제 174마디~제 181마디 34
호남우도굿 중 자진모리장단 35
호남우도굿 중 굿거리 맺음장단 35
제 182마디~제 217마디 36
제 218마디~제 253마디 38
제 254마디~제 265마디 40
제 272마디~제 275마디 43
제 282마디~제 321마디에서 나타난 리듬 43
삼도설장고가락 중 영산가락 44
제 328마디~제 339마디 45
제 354마디~제 401마디의 리듬 46
제 404마디~제 408마디 47
제 440마디~제 443마디 48


그림 목차

장구의 크기 1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59880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창작타악-
dc.subject푸리-
dc.subject다드리Ⅰ-
dc.subject장구 합주-
dc.subject.ddc780-
dc.title타악 합주곡 다드리Ⅰ에 사용된 전통 장단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85-
dc.contributor.affiliation음악대학 음악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