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궁가 중 "약성가"의 음악적 특성 연구 - 박봉술, 정광수, 정권진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하다

Advisor
김우진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박봉술 정광수 정권진 우조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6. 8. 김우진.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판소리 수궁가 중 대목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여 유파별 특징을 구명하는 것이다. 20세기에 활동했던 박봉술, 정광수, 정권진의 음원을 채택하고 분석하여 각 창자별 음악적 특징을 비교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정노식이 『조선창극사』에서 설명한 동·서편의 소리 특징이 각 창자별로 어떻게 수용되어 에 나타나는지 유추하고, 유파별 개인의 음악적 성향을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설의 특징을 살펴보면, 박봉술은 두 창자와 비교하였을 때 사설이 전체적으로 간략하다. 반면, 정광수와 정권진의 사설은 수식이 많고 사설의 길이가 길다. 박봉술의 사설은 증상을 먼저 나열하고 치료법을 나열한다. 그러나 정광수와 정권진의 사설은 증상별 치료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박봉술의 사설은 두 창자와 다르나 정광수와 정권진의 사설은 순서와 내용이 동일하다.
둘째, 음역을 살펴보면, 박봉술은 B3~A5이고, 정광수는 E3~B5이고, 정권진은 A3~A5이다. 박봉술이 세 명의 창자 중 가장 좁은 음역대를 사용하고 정광수가 가장 넓은 음역대를 사용한다.
셋째, 악조를 살펴보면, 세 명의 창자 모두 mi․sol․la․do․re의 5음으로 구성된 우조를 사용한다. 박봉술은 중모리 대목에서 5음 중 mi․la․re음에 비중을 두어 소리를 구사하고, 자진모리 대목에서 5음 중 mi․la음에 비중을 두어 소리를 구사한다. 정광수는 5음 중 구성음 전체를 골고루 쓰며 소리를 구사한다. 우조를 바탕으로 중간 중간 평조 선율을 넣어 소리한다. 정권진도 5음 중 구성음 전체를 골고루 쓰며 소리를 구사하고, 우조를 바탕으로 중간 중간 평조 선율을 넣어 소리한다. 각 창자별 종지음은 박봉술은 mi음으로 우조나 평조 종지가 아닌 다른 형태로 종지하며, 정광수는 do음으로 평조형태로 종지하고, 정권진은 la음으로 우조형태로 종지한다.
넷째, 선율을 살펴보면, 박봉술은 중모리대목에서 구절 단위마다 휴지를 주어 소리를 거뜬거뜬한 느낌으로 구사하고 자진모리 대목에서는 급강 선율을 사용하여 고졸한 느낌을 준다. 정광수는 고제에서 나타나는 순차적 하행 선율이 자주 나타나며 꺾는 목이 나타난다. 정권진은 다른 창자들에 비해 도약 진행 없이 선율이 단조롭고 평이하다.
다섯째, 장단을 살펴보면, 박봉술은 중모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으로 구성되고, 정광수와 정권진은 자진모리장단으로 구성된다. 박봉술은 용왕의 증상이 나타나는 부분은 중모리장단으로 연주하며 치료법의 나열은 자진모리장단으로 나누어 연주한다. 정광수와 정권진은 장단의 구분 없이 자진모리장단으로 전체 대목을 연주한다.
여섯째, 붙임새를 살펴보면, 박봉술이 사용한 붙임새는 대마디대장단, 완자걸이, 엇붙임, 교대죽, 잉어걸이, 길게뻗는 장단, 완자걸이+엇붙임의 총 7종류이다. 정광수는 대마디대장단, 완자걸이, 완자걸이+엇붙임, 완자걸이+교대죽, 완자걸이+도섭, 엇붙임, 엇붙임+잉어걸이, 교대죽, 교대죽+잉어걸이, 도섭, 길게뻗는 장단의 총 11종류 붙임새를 사용한다. 정권진은 대마디대장단, 완자걸이, 완자걸이+엇붙임, 완자걸이+도섭, 완자걸이+잉어걸이, 엇붙임, 엇붙임+잉어걸이, 교대죽, 도섭, 길게뻗는 장단의 총 10종류 붙임새를 사용한다.
일곱째, 시김새를 살펴보면, 박봉술이 사용한 시김새는 밀어올리는 목, 떠는 목, 흘러내리는 음, 끌어올리는 음, 졸라떼는 목으로 총 5종류이다. 정광수가 사용한 시김새는 밀어올리는 목, 떠는 목, 흘러내리는 음, 끌어올리는 음, 꺾는 목, 내려치는 목으로 총 6종류이다. 정권진은 밀어올리는 목, 떠는 목, 흘러내리는 음, 끌어올리는 음, 조시는 목, 치는 음, 포깍질 목으로 총 7종류 시김새가 나타난다.

이상 각 창자별 수궁가 중 에서 나타난 음악적인 특징을 종합해 볼 때 박봉술의 는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깔끔하게 구성되어 단조롭고 고졸한 느낌으로 소리한다. 따라서 동편유파의 소리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광수의 는 붙임새의 사용이 많고 꺾는 목을 사용하여 섬세한 느낌으로 소리한다. 그러나 고제에서 나타나는 선율이 나타나고 내려치는 목을 사용하여 우직한 느낌도 더한다. 따라서 정광수는 동․서편유파의 소리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다. 정권진의 는 선율이 대체적으로 평이하며 붙임새의 사용이 많고 한 음정에서 나타나는 화려한 시김새를 사용하여 섬세한 느낌으로 소리한다. 따라서 서편유파의 소리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1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